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0/06/08 20:34:12
Name 동료동료열매
Subject 복근선명하신분들!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또 웨이트관련 질문글을 올리게 되네요 ㅠㅠ 일단 죄송스럽습니다.

요즘 기존의 3분할을 월/수/금으로 하고 화/목/토에 복근+유산소를 하면서 복근만들기에 나섰는데요

단기간에 나오는건 바라진 않지만 얼마전에 디씨에서 이 영상을 보고 좀 많이 충격을 먹었습니다.

http://gall.dcinside.com/list.php?id=extra&no=533955

나름 복근운동할때 레그레이즈 200개 정도와 크런치 100개쯤 하고 기타 헹잉레그레이즈 3셋, 경사 레그레이즈 3셋, 사이드 크런치 조금섞어서 열심히 한다고 했는데 여기 영상에 박재범군이 크런치를 (그것도 경사에서!)무려 1000개를 매일한다고 하네요 -0-
역시나 복근은 엄청나게 선명하고 이쁘게 잘 박혀있는데, 저는 저 정도 복근이 그렇게 엄청난 운동량을 바탕으로 만들어지는지 몰랐습니다.
실제로 복근 선명하신분들은 저정도 운동량을 소화하시면서 만드는건가요 정말 궁금합니다.
식단 조절역시 병행하고 있는데 이제 막 복근 각만나오고 있는상태라 질문이 성급하긴하지만 정말 궁금해서 글써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6/08 20:40
수정 아이콘
릴리러쉬님 여기 손님이 찾으세요.
릴리러쉬
10/06/08 20:58
수정 아이콘
재범군 정도면 아마도 운동중독일꺼라고 생각이 됩니다(나쁜 의미는 아니구요).
저정도 운동을 하지 않으면 스스로 찝찝해서 견디기가 힘든 정도일 껍니다.
재범군은 운동을 상당히 오래한 사람이고 하니 저정도 운동량이 가능한것이지 일반 사람이 저렇게하면 체력이 받쳐주지도 않을뿐더러 나중에는 운동을 한다는 느낌자체가 안 날껍니다.
우선 동료동료열매님이 운동을 어떻게 하시는지는 잘 모르겠는데..복근에만 집중하고 싶고 그리고 체력적으로 시간적으로 여유가 된다면 점심때 유산소운동을 1시간 정도하면 몸의 변화를 스스로 느낄수가 있을껍니다.몸에 지방이 어느정도 있다는 가정하에서요.
애초에 마른몸 그러니깐 마른비만이 아니라 정말 마른몸이라면 조금 이야기가 달라질테지만요.
제가 보기에 복근을 저정도 하신다면 운동량에 있어서는 절대 부족함이 없는거 같습니다.
다만 운동을 제대로 하고 있느냐가 문제겠지요.그냥 힘이 든다는 느낌이 아니라 복근 운동은 배가 찢어질꺼 같다는 느낌이 들어야 합니다.다른 고중량 운동하고는 조금 다릅니다.웨이트와 비교하자면 어깨운동시 사이드로 하는 운동과 비슷하다고 보면 될꺼 같습니다.
식단관리는 어떻게 하시는지 모르겠지만..혹시나 체중증가 보충제를 드시고 있다면 복근에는 좋지 않으니 그만 드시기를 권합니다.
저는 현재 웨이트는 잘 안하는 상태이고 복근운동과 유산소 위주로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복근 매일 40분 유산소는 매일 8키로~10키로씩 뛰고 있습니다.식단관리는 안하구요.
WizardMo진종
10/06/08 21:13
수정 아이콘
저는 그냥 지나갑니다.
영웅의물량
10/06/08 22:17
수정 아이콘
저도 유산소를 꾸준히 해보고 싶네요.
한달 정도 하니까 체지방만 3.5~4키로 가까이 빠졌었는데..
여유가 안나요 ㅠㅠ
니코크드만의
10/06/09 00:06
수정 아이콘
크크.. 동료동료열매님 나이가 어떻게 되시는진 모르겠지만, 혹 20대 중반을 넘으셨다면 일상생활을 하면서 재범군같은 데피니션을 찾는건 포기하시는게..아니 포기라기보단 불가능 하다고 보아야...
20대 후반~30대 로 가면 아무리 뛰어도 하복근은 나오지 않습니다...ㅠㅠ 나이 탓이죠..
그런면에서 정지훈씨 (맞나요?)는 정말 대단하다는 말밖에...
10/06/09 00:41
수정 아이콘
저도 선명한 복근을 찾아서 고민을 하다가 최근에 운동 방법을 조금 바꿨는데 꽤나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하루에 크런치 + 레그레이즈 1000개 가량을 매일 했었습니다. 물론 그렇게 운동을 할 때도 6개가 갈라져 있긴 했지만, 뭐랄까, 선명도 면에서 조금 떨어진다고 해야 하나, 크기 면에서 조금 작아보인다고 해야 하나 하는 게 있었습니다. 다른 근육에 비해서 복근이 쉽게 커지지 않는 근육이라는 이야기도 들어서 별로 신경을 안 쓰긴 했는데, 다른 근육과 함께 복근도 우람(?)한 몸을 보면 조금 부럽기도 했었습니다.

그래서 과감히, 매일매일 500~1000개씩 하던 루틴을 버리고, 일주일에 3일 하루에 10~12세트, 한 세트에 12개 이하로 세트수를 바꿨습니다. 더불어, 러시안 트위스트를 집어넣어서 복근의 양옆과 가운데 줄 쪽을 깎는데 조금 집중을 했구요. 우드찹도 간간히..

그렇게 운동을 바꾼지 한 달 정도 지난 것 같은데, 확실히 크기 면이나 선명도 면에서 많이 좋아진 것 같습니다. 체지방률 같은 건 재어 보질 않아서 모르겠네요.(몸은 보이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정말 필요할 때 말고는 안 재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아마 더 떨어지진 않고, 크기 면에서 발달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어느 정도 크기가 이미 있으신 상태에서 복근이 지방에 덮혀 나오지 않는 것이라면, 재범군처럼 하루에 1000개씩 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어쨌든 개수가 늘어나면 크기보다는 칼로리 소모 쪽에 비중이 맞춰지게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직 크기가 안 크시다면, 세트수를 줄이고, 세트 당 반복수를 줄여보시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3650 통기타 치시는분들께 질문 [4] Liam1532 10/06/08 1532
83649 음원 다운 받는 사이트 어디가 좋은가요? [5] kapH2443 10/06/08 2443
83648 노래 추천 부탁드립니다 [5] 뜨거운눈물1919 10/06/08 1919
83647 선거법 질문 드려요~ [2] shovel1372 10/06/08 1372
83646 허리디스크 수술 질문드립니다. 1649 10/06/08 1649
83645 서울 근처에 당일로 놀러갈만한 곳 추천부탁드립니다. 총력팸1648 10/06/08 1648
83643 복근선명하신분들! 질문 드립니다 [12] 동료동료열매5728 10/06/08 5728
83642 빈혈로 눈이 컴컴해질 수도 있는 것인가요? [3] 화잇밀크러버2332 10/06/08 2332
83641 휴가 나가는 군인 고민입니다. [4] 한걸음2129 10/06/08 2129
83640 해를 보면 재채기가 나요 [24] 츄츄다이어리2425 10/06/08 2425
83639 사무실 직원들이 자리를 비울때 모니터를 끄고 다닐 수 있게 하는 방법??? [5] 티나한 핸드레1957 10/06/08 1957
83638 24일쯤에 친구들과 1박으로 여행을 가려고 합니다. Chico1618 10/06/08 1618
83637 수요일날 고백글 올렸었는데 2차 상담부탁드립니다 [21] 바닥인생2674 10/06/08 2674
83636 자바 문자열 크기비교 하는법좀 알려주세요. [8] 하만8035 10/06/08 8035
83635 워크래프트3 버전 바꾸는 법 질문입니다. [2] 언데드네버다1339 10/06/08 1339
83634 SPSS 요인분석 질문드립니다.. 서현1658 10/06/08 1658
83633 안녕하세요. 영작 질문 드립니다. [2] 고슴도치1295 10/06/08 1295
83632 파이어폭스 질문입니다. [2] TheBeSt1505 10/06/08 1505
83631 토렌트 사용시 질문 [4] 난다천사2884 10/06/08 2884
83630 특정사이트만 접속이 안됩니다. 도움 주실 수 있는 분 계신가요 ㅠㅠ [2] ManG1506 10/06/08 1506
83629 큐릭스랑 씨앤앰 방송이 같은 계열인가요? [3] 이재열2130 10/06/08 2130
83628 캐드버리 초콜렛 파는데 아시는분. + 초콜렛 추천 아스트랄2368 10/06/08 2368
83627 도로교통사고감정사 라는 자격증에 대해 아시는것좀... [3] 판다야어디가2032 10/06/08 20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