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5/21 20:19
월급통장은 대부분 은행 통장이 다되지만 기왕이면 큰 은행으로 하는게 좋습니다..
제가 단위농협통장을 주거래통장으로 쓰고 있었는데 회사에서 단위농협은 안되고 농협중앙회통장만 등록할 수 있다고 해서 어쩔 수 없이 가까운 신한은행 통장을 하나 만들어야 했습니다.. 은행별 월급통장의 혜택은 아랫분께 패스..
10/05/21 22:20
곰곰히 알아보고 생각해보니 저같은경우는 월급받으면, 적금 넣고, 다른곳에 이체다시키면, 월급통장에 돈이 많이 없을것같은데
차라리 CMA쪽으로 하는게 좋겠네요. 지금 제가 동양 CMA통장이 있는데..그쪽으로 하는게 좋겠네요...
10/05/21 23:52
대출 받으실 거면 제1금융권이 좋지만 저처럼 그럴 계획이 없다면 굳이 제1금융권을 고집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제일은행 통장중에 연 3.x 이자에 이체 수수료, 인출 수수료 무료인 수시 입출금 통장이 있습니다. 이것도 괜찮아요. ( 제가 사용하고 있진 않습니다. 회사 근처에 제일은행이 없어서 만들기가 쉽지 않더군요.. ) 그리고 저축은행 적금도 인터넷 이체 가능합니다. 제가 저축은행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장마는 작년말로 더이상 가입이 불가할 겁니다. 주택청약통장의 역할을 하고 있는 종합 블라블라 통장은 가입해 두시는게 좋습니다. 소득공제도 되고 주택청약도 가능하니깐요. 마지막으로 5000만원까지는 ( 이자 포함 ) 나라에서 보증을 해주므로 저축은행이 망하더라도 원금을 때일일은 없습니다. 다만 원래 약정이자가 아니라 시중 평균이자로 이자를 계산하고 돈받을 때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한 6개월 걸렸던걸로 기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