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5/20 15:28
학부 과정이냐 대학원 과정이냐, 교재의 exercise 문제냐 과제/프로젝트 관련 질문이냐 등등에 따라서 답변이 달라질 것 같습니다.
뭐 저 같으면 전공이 전공이다 보니 그냥 양자역학 시뮬레이션으로 구조최적화를 해보겠습니다;; ...라고 썼더니 미크론 단위군요... 결정질에 낚였... 그렇다면 coarse-graining model이나 mesoscale simulation인데 이건 너무 나간것 같고... Crystal Structure Database 같은데 뒤져보면 나오지 않을까요?
10/05/20 15:50
본의아니게 낚아서 죄송합니다 (__ 제목 정하기도 고민 좀 했어요.
제 졸업연구(석사)에서 조금 이론적인 부분도 첨가해 볼까 하는 일이에요. 괜히 건드렸다는 생각이 절로... coarse-graining은 잠깐 찾아보니 말하자면 연속적인 것을 대충 끊어서 단순화 시키는 것 같군요..근데 이걸 어..어떻게!? 요건 논문 좀 읽어보겠습니다^^ 비정질이라 결정구조 데이터베이스는 찾아볼 생각을 안했는데, 물질명으로 구조를 찾는 것이 아니라 배위수나 결정모양이나 반경비 등으로 검색도 가능한가요? 아니 애초에 저런 반경비와 배위수의 결정구조가 있는지도 의문이네요.ㅠㅠ 답변 감사드립니다. 머리 싸매면서 애꿎은 공책만 이리저리 연필로 그어대다가 다른 방법도 알려주시니 희망이 생기네요 흐흐;
10/05/20 17:25
답변 감사드립니다. 아몰퍼스가 맞고요;;
단지 몇가지 가정으로 규칙성을 세워두고 실제 결과물 분석으로 상관관계를 보일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생각해 봤었습니다. 분자 단위의 시뮬레이션은 가능한지 조차 모르겠습니다만 입자들을 적당히 배치 구성해서 표면에서의 분포를 나타내 보고자 우선 단위격자로 나눠 보려고 한건데..좀 멀리 간 듯 싶네요. 접근 방법을 달리 해 봐야겠습니다^^ 랩 선배분들이나 교수님께도 몇차례 물어보긴 했었는데 일단 해보자 정도였기에.. 조언 감사드립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