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10/20 20:38:00
Name 인필드
Subject 통계부분 추정에 관한 질문입니다...(고 수1 내용...)
군대 갔다가 새로 수능을 준비중인데

수1 에서 통계쪽 파트에서 이해가 잘안가는게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능력자 분들 좀 도와 주세요...



제가 지금 헤깔려 하는 부분이

표본에 대해서 모집단의 평균을 추정하는 부분인데요

먼저 모집단에서 N개를 추출했을 경우에

(n개 추출한 표본들의 평균, 그 표본들의 표준편차 제곱)을 만족하고

이것은 ( n개 추출한 표본들의 평균, 모집단의 표준편차 제곱)을 만족


만약 N개를 추출한 1개 표본들에 대해서 모집단의 평균을 추정할경우에

(N개를 복원 추출한 표본평균에 대한 평균,  N개를 복원 추출한 표본평균에 대한 평균 제곱)

을 이용하는데요

여기서 표본들의 평균에서 모평균을 추정할때

표본평균들에 대한 평균, 표본평균들에 대한 표준편차 제곱을

사용하는 이유가

단지 표본평균에 대한 평균은 모평균과 같고

표본 평균들에 대한 표준편차 제곱 = 표본의 표준편차 제곱/N = 모집단의 표준편차제곱/N

이기에

표본평균에 평균과 그것의 표준편차를 이용해서

구하는건가요???



요약하면..

한단위의 N개 추출한 표본에서 모평균을 추정할때

표본평균, 표본표준편차제곱를 이용해서 추정하는게 아니라

왜 표본평균에 대한 평균, 모표분편차제곱/n

으로 하는지가 궁금합니다...


단순히 표본평균에대한 평균과 그 표준편차제곱을 이용하면

모평균을 추정하는게 가능하기에 그냥 그것을 빌료와서 사용하는건가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어서 사용하는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파란별빛
09/10/20 20:41
수정 아이콘
모평균으로 해야 정규분포를 쓸수있어서 그렇지 않을까요...
표본의 분산으로 하면 분포 자체가 t분포인가? 로 달라지는 것으로 알고있어요.
인필드
09/10/20 20:43
수정 아이콘
표본평균으로 모평균을 추정할때 왜 표본 평균으로 식을 만드는게 아니라 왜 표본평균에 대한 평균으로 식을 만드는지가 궁금하네요...
VilleValo
09/10/20 20:48
수정 아이콘
모표준편차를 알고 있으니까 씁니다. 모르면 표본표준편차를 쓸 수 밖에 없겠지요.
표본표준편차를 이용할 때는 계산 방법이 달라지는데... 아... 책이 어디 갔더라-_-;
파란별빛
09/10/20 20:50
수정 아이콘
악 잘못 이해했군요. 그건 저도 잘...지금 고작 통계방법론만 배우는 중이라. ㅠ
후루꾸
09/10/20 20:54
수정 아이콘
표본 평균은 상수가 아니라 변수 입니다. 표본을 뽑는 경우에 따라 표본 평균이 바뀌기 때문에 값이 여러개 인거죠.

값이 정해져 있지도 않은데 그것만으로는 식을 만들 수 조차 없지요.

표본평균의 평균을 사용하다 보니 모표준편차제곱/n은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겁니다. 그게 표본평균의 분산이거든요.

참고로 말씀드리는건데 수1 통계에서 표본의 표준편차는 모표준편차와 조건없이 근사한다고 봅니다.

문제에서 표본의 표준편차 = 3 이든, 모표준편차 = 3 이든 풀이는 똑같습니다.

표본 표준편차 가지고는 모표준편차를 알 수 있을 뿐, 더 써먹을 수 가 없습니다.

왜 표본평균의 평균으로 만들어야 하는지는 문제집을 보시면 될테고, 표본평균이나, 표본표준편차로는 왜 할 수 없는지만 적었습니다.

거참 말로 하면 쉬운데 글로 쓸려니까 의미 전달도 잘 안되고 힘드네요.

그나저나 합의 건은 어떻게 되갑니까? 진단은 몇 주나 나오셨는지 궁금하네요 허허.
09/10/20 22:27
수정 아이콘
위엣분 말씀대로 글로 설명드리기는 꽤나 까다로운데 추정에서 X바(표본평균)를 쓰는 이유는
x바들의 분포는 정규분포를 이루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정규분포하지 않는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해도 n만 크게 된다면
정규분포를 이룹니다. (이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정석에도 나와있는 이야기입니다. 소위 중심극한정리입니다)
정규분포를 이루고 있고 E(x바)가 m이라는 것이 확실하고, x바 들끼리의 표준편차도 모집단의 표준편차/root(n) 이라는 것을 압니다.
(이게 정확히 어떻게 나오게 되는지 고등과정에서는 알 필요 없습니다. 실제로 복원추출을 해보고 계산해보면 그게 맞다는 예만 나와있죠. 평균은 이렇고 표준편차는 이렇다고 그냥 받아들이면 됩니다, 여기서 표본평균, 표본평균들의 평균을 잘 구분하면서 생각하셔야 합니다.)

여기까지 이해했다면 이제 끝난거나 마찬가지에요, 추정은 전혀 대단한게 아닙니다 당연한 개념이죠..
앞의 전제는 모두 받아들인 상태에서 내가 하나의 x바를 갖고 있다고 생각해봅시다. 이해를 돕기 위해
평균이 m인 정규분포 곡선(X바의 분포죠)을 그려놓고 생각해봅시다. 그리고 95프로의 신뢰구간 식을 같이 한번 쳐다보셔야 합니다.

정규분포 곡선에서 내가 가진 X바가 어디있는지 모릅니다.
그래서 그냥 확률적으로 때려맞춥시다. 무슨 얘기냐면, 모든 X바에 대한 95프로 신뢰구간을 생각해보세요.
95프로 신뢰구간에 평균 m이 들어있지 않은 애들은 평균에서 멀리 떨어져있는 애들.. 5%의 애들밖에 없습니다.
내가 x바 하나를 가지고 있을때 이게 운이 없어서 5프로 안에 속하지만 않으면 신뢰구간에 당연히 m이 포함될 수 밖에 없죠.
(어찌보면 당연한 이야기죠?? 이런 당연한게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추정입니다.)

이제 답이 나왔습니다. 표준편차를 표본평균들의 표준편차를 쓰는 이유는 그것이 정규분포하고 그 분포로부터 생각해낸
결과이기 때문에 당연한 겁니다.
한가지 의문이 들수 있는것은 모표준편차를 모를 때, 표본의 표준편차(이것은 표본평균의 표준편차와 다른겁니다.)
를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가인데.. 고등과정에서는 그냥 그렇게 근사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나중에 이런걸 t분포라던가
해서 배우게 되는데, 수능에 필요치 않습니다. 그냥 같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통계, 추정 부분이 고등과정에서는 증명해 보기보다는 "그냥 받아들여야 하는" 개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인필드
09/10/21 00:11
수정 아이콘
독서실에서 공부하다보니 답변이 달렸네요.. 감사합니다..
오늘 공부하다가 한문제에서 문제가 오류있다고 생각했었는데
알고보니 제가 개념이 약한거더라구요..

새로 개념잡다보니 중간에 원래 아는 지식이랑 충돌하는바람에 ㅜㅜ

덕분에 새로 잡은 개념을 확실하게 할수 있게되었습니다.

아 글구 이전글에서.. 전치 4주나왔고... 저는 수능 준비 관계로
합의에 관해서는 자형이 도움주시는데 아직 합의는 못했습니다...
몇번 이야기는 했는데 서로 생각하는게 차이가 크네요;;;
후루꾸
09/10/21 00:25
수정 아이콘
4..4주??;; 이렇게 말하긴 뭣하지만 다행입니다. 딱 형사처벌의 기준점이네요.

기회가 왔습니다. 물론 결국 합의를 보는게 서로에게 이익이겠지만

하는 짓도 괘씸하고, 절대로 쉽게 합의해주면 안됩니다.
09/10/21 01:01
수정 아이콘
쪽지 보내드렸습니다 수능 잘치세요~~
사이몬PHD
09/10/21 15:05
수정 아이콘
조금 시간이 지난 것 같지만 한 마디 덧붙이자면...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통계학이라는 이름하게 배우는 것을 고전 통계학 (Classical Statistics)이라고 합니다.
(베이지안 통계학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고전 통계학에서 어떤 종류의 추정이건 가장 중요한 가정이 바로 "(Imaginary) Repeated Sampling" 이고 그 결과 모든 Estimator는 "Sampling Distribution"을 갖게 됩니다 (한국어로 어떻게 번역 되는지를 잘 몰라서 영어로 씁니다).
어떤 통계적 추론이건 바로 이 "Sampling Distribution" 을 이용하여 하게 됩는데...
원글의 예에서 표본 평균이 Estimator이고
표본 평균의 "Sampling Distribution"의 평균이 모평균과 같고 분산이 모분산/n 이라는 사실이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n이 충분히 큰 경우에는 표본 평균의 "Sampling Distribution"이 정규 분포에 근사한다는 사실 또한 알려져 있습니다 (중심 극한 정리에 의해).
왜 그런지는 주로 대학교에서 배우는 기초 통계학에서 배우는데 shpv님이 잘 설명해 주셨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6179 각종족별 동족전 연승기록은 얼마인가요? [2] 앵콜요청금지1931 09/10/21 1931
66178 도시바 노트북 Satellite U305 포맷에 대해 [2] 구경만1년2483 09/10/21 2483
66176 인생 관련 책 추천부탁드립니다. [3] 언제나남규리2373 09/10/21 2373
66175 고등학생 남자 아이들끼리의 대화. [42] 로즈마리3377 09/10/21 3377
66173 조금 더러운(?)... 귓구멍 관련 질문이에요. [5] 요비3437 09/10/20 3437
66172 로션을 발라도 얼굴이 떙기는 계절이 왔네요. [10] Xabi Alonso2165 09/10/20 2165
66171 노무라 종합 연구소(NRI)에 대해서 아시는 분 계신가요? [2] 쌈팍2563 09/10/20 2563
66169 나루토 만화책 질문입니다.(스포가있을지도..) [3] 구우사마2197 09/10/20 2197
66166 물렁한 뱃살 vs 딱딱한 뱃살 중 어느게 더 잘빠지나요? [20] 오승환투르크25851 09/10/20 25851
66164 통계부분 추정에 관한 질문입니다...(고 수1 내용...) [10] 인필드2145 09/10/20 2145
66163 영문 국제매매계약서 조항 해석 좀 부탁드려요ㅠ 5S252223 09/10/20 2223
66162 전 시즌 프로리그 개인 다승 순위는 어디서 볼 수 있나요? [1] 유소영1658 09/10/20 1658
66161 배틀넷포럼에서 XML 오류 질문드려요. Player[B+]1534 09/10/20 1534
66160 롤러코스터_불친절한 경태씨인가 라는 프로그램에 나오는 여배우 이름 아시나요? [3] 티나한 핸드레3392 09/10/20 3392
66158 상근예비역 자전거 타고 다녀도 되나요? [6] 오월4523 09/10/20 4523
66157 정모가시는 분 중에 대전분 더이상 없나요? 하나1817 09/10/20 1817
66156 타로카드에서의 Five of Swords 어떤 의미인가요...? [3] 휘련4325 09/10/20 4325
66155 다음사건의 시간적 순서좀 알수있나요..(최연성 선수관련) [1] 릴리러쉬1687 09/10/20 1687
66154 왕기춘 폭행사건에 대해 [11] 베컴3286 09/10/20 3286
66153 인터넷 가입시 현금지급에 관해서? [1] 라우르2099 09/10/20 2099
66152 잘못 알려진(논란이 있는) 속설들에는 뭐가 있나요? [26] kikira2079 09/10/20 2079
66151 중고차 추천좀 해주세요! [2] 류카1884 09/10/20 1884
66150 롯데월드 컨텐츠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언뜻 유재석1928 09/10/20 19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