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9/12 14:05
    
        	      
	 컴퓨터 사용자보다 전화기 사용자가 보안 및 권한설정에 훠어어어어~얼씬 취약하기 때문 아닐까요?
 일반 컴퓨터 사용자들도 권한이나 퍼미션에 대해 거의 전무한 사람이 수두룩한 마당에 전화기는 그에 대해서는 말할 것도 없고 더욱 중요한 프라이빗 정보는 전화기에 훨씬 많기도 하다는 점까지 감안한다면 이해가 갑니다. 개발자들이 IOS나 안드로이드 만들면서 했을 것 같은 말 : 얘들을 도대체 뭘 믿고 루트를 주자는 거야? 
	12/09/12 14:06
    
        	      
	 기본적으로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는 루트 권한이 없는 사용자로 사용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루트(관리자) 계정은 왠만해서는 직접 사용하는 일이 없고,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경우에만 잠시 권한을 빌려 쓴 후 다시 일반 사용자 역할로 운영체제를 사용합니다. (이 점은 윈도우즈도 기본적으로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비스타 이상에서 프로그램 설치 시 관리자 권한을 요청하는 걸 보셨을겁니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보안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권한을 다 가지고 있으면 보안에 매우 취약해지기 때문입니다. 사용자의 동의 없이 멜웨어가 깔리거나 하는 것은 이 때문이죠. XP 이하 윈도우즈 운영체제들이 이런 문제때문에 몸살을 겪었죠. 안드로이도 기본적으로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동일한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일반 사용자는 관리자 계정이 아닌 일반 사용자 계정을 사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보안 정책상으로 그 역할도 제한되어 있어 관리자에게 권한을 빌려쓰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루팅은 이러한 권한 빌려쓰기를 가능하게 하는 것입니다. 루팅이 약관 위반이 되는 것도 바로 이때문입니다. 루팅을 하기 전까지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보안에 대한 책임이 제조사에 일정부분 있지만, 루팅을 하는 순간부터는 사용자가 이러한 보안 정책을 건드렸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제조사는 보안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약관에 따라 무상수리를 할 의무도 없어지죠. 쉽게 말하자면 보안 문제가 민감하기 때문이고, 일반 사용자는 되도록이면 이러한 문제를 건드리지 않게 하기 위해 막아놓은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12/09/12 14:07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만 IT지식에 기반해서 예상해보자면,
 생태계 주도권, 법적 문제에 연관돼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PC(IBM호환PC)의 경우 애초에 IBM에서 공개형으로 개방시킨 아키텍처라 제조사에서 MS와 계약하에 운영체제를 포함해 팔아도 컴퓨터 초기 형태로 포멧할 수 있죠. 왜냐면 MS 나 제조사가 PC 아키텍처에 관한 권한을 갖고 있진 않으니까 PC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인 운영체제 사 이 연결고리를 기술적으로 통제 할 수가 없습니다. 근데 iOS의 경우 기본어플이 애플과의 사업계약으로 묶여있고, 애플 철학인 폐쇄적 통일성, 파편화 방 지를 위해서(나쁘게 말하면 통제) 탈옥하지 않으면 못하게 막아둔 것 같고요. 한마디로 생태계 주도권 을 자신들이 쥐기 위한 행위죠. 안드로이드의 경우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해서 (IBM호환PC 개방과 유사 개념)개방된 운영체제지 만 구글측에서 안드로이드를 제작할 때 공개 개방을 모토로 해서 제조사가 자기 입맛대로 개량할 수 있게끔 해놨습니다. 안드로이드의 경우 폰 제조사에서 개량하고 거기에 탑재되는 기본어플들 또한 계약으로 묶어 개런티로 사업적 이득을 취하겠죠. 앱 생태계 지배권 확보 차원의 의미도 있고요. 이런저런 이유로 초기화를 해도 자신들이 개량해 놓은 기본어플 등이 깔린채로 초기화 되는걸겁니다. 물론 탈옥과 같이 루팅이란 방법을 쓸 수 있겠죠. 결론은 사업상 이득, ICT생태계 주도권, 기본어플 개런티 같은것도 물려 있어서 그럴겁니다. 
	12/09/12 14:16
    
        	      
	 간단히 말씀드리면,
 Android나 IOS도 같이 판매한것입니다. 그 관리자 권한이라는게 유저한테 공개하는게 아니라 개발자용 권한이죠. 그리고 권한 줘봐야 OS 바꾸겠다는건 꿈입니다. 그게 [혼자] 가능하시다면 제조사의 수많은 SW개발자는 바로 실업자 될겁니다. 
	12/09/12 14:22
    
        	      
	 만약 그 권한을 막 풀어놓으면 서비스센터가 불날겁니다.
 (물론 풀어서 쓸 사람들 다 풀어서 씁니다.. 유료앱을 공짜로 받아쓰기위한 불법적 용도가 아니라면 불법도 아니고 말입니다.) 
	12/09/12 15:20
    
        	      
	 문제는 쓸데없는 프로그램들 삭제조차 못하는 거 아닌가요?
 필수 프로그램만 정해서 못 지우게 하면 되는데 죄다 못 지우게 해버렸으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