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9/03 15:27
그냥 네임밸류인지 아니면 공대에 대한 취업과 관련인지 몰라도...
참~ 지방대의 몰락은 ??? 지방국립대가 저정도 수준은 아니죠.. 결론은 인하대 화이팅!!
12/09/03 15:36
대략적인 인식이야 얼추 맞는 것 같긴 하지만 대학순위만큼 의미없는게 있을까 생각되네요.
객관적인 지표도 딱히 없을뿐더러 최상위권대학 몇 개를 제외하면 수능 1~2개 차이인데 그게 얼마나 유의미한 차이일지... [m]
12/09/03 16:22
제가 건축과 가기 위해 입시 준비할때는 인하건축을 중대건축보다 위라고 들었습니다.
(어디가 좋다 나쁘다가 아니라, 제 기준이니 해당 학과 분들이 보시고 기분 안나쁘셨으면 좋겠습니다.)
12/09/03 16:43
기계과에 아주대가 빠졌네요..
다른 세 과처럼 4급간에는 못 들어갈지 모르나 아예 7급간 자체에 못 들어가지는 않죠.. 4or5 정도?크 뭐 모교라서 그러는 건 아닙니다 크크
12/09/03 17:48
입결기준으로 만드셨다는데, 전체적으로 수정할 곳이 많아보입니다
솔직히 해당학교 학생으로써 기분은 좀 많이 나쁘네요 도대체 무슨 입결을 기준으로 만드셨는지 모르겠지만, 4갤에서 훌리짓을 해도 이런식으로는 안만듭니다. 무슨 배치표 하나 참고해서 만드신것 같은데 요즘 수험생들도 배치표 안믿습니다. 배치표 자체가 학원 입맛대로 작성될 뿐 더러, 예전 원점수로 대학가던 시절과는 다르게 대학마다 반영하는 과목 비율이나 과목수도 다르기 때문에 배치표 신뢰도는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전체적 자료가 상당히 잘못되어진다고 보여집니다. 홍익대가 건축으로 유명하다지만, 입학점수로 고려대나 한양대 위에 급간으로 묶이는 것도 우스운 일이고 건국대 건축이 국민대나 동국대 보다 낮은 급간으로 위치한다는 점은 해당학생 입장에선 기분이 매우 안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전통적으로 부산대는 경북대 보다 기계가 강세이고, 경북대는 전기가 강세였습니다 그런데 자료는 정반대로 되어있네요. 전기쪽을 보면 부산대 경북대가 아예 서울과기대나 세종대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해 있는데... 도대체 무슨 자료를 조사하셨길래 이런식으로 나올수 있는지 의문이 듭니다. 아웃풋 다 제쳐 두고서라도 부산대 경북대 전기과 입학점수면 중앙대와 견주어 봐도 밀리지가 않습니다. 글쓴님껜 죄송하지만 전체적으로 신뢰도 0%인 자료라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훌리건 천국에서 외치는 이과서열인 설포카 연고한 서성 부산,경북+중시인아홍(5공) 이런식으로 서열세우면서 분류하는게 저 자료보다는 몇배나 더 정확할 것 같습니다 적어도 훌리짓은 철저하게 입학처에 가서 자료 따와서 입결자료 만들어서 그 기준으로 합니다.
12/09/03 18:03
전 경북대 기계공학과 학생입니다
더 이상 이런자료에 열받지 않습니다 왜냐면 현실은 우리과 졸업생이라면 대기업의 취업문제로 고민하지 않기 때문이죠 골라서 가니까 그리고 참고로 우리학교는 기계과보다 전자 전기가 더 높습니다 알아서 판단하세요
12/09/03 19:05
우선 카이스트에는 건설및환경공학과가 있습니다
얼마나 잘하는지는 모르겠구요 그리고 이 순위는 이과 순위가 아니라 (일부)공대 순위네요 자연대는 하나도 없는데 이과 순위라고 하기 좀 그렇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