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7/22 00:04
범위의 경제의 대표적인 예로 가죽 제품 메이커가 있죠~ 가죽을 통째로 사서 각각의 부위를 구두 지갑 백 등등 사용하고... 가죽 가공 기술도 통합(?) 운용!
12/07/22 00:29
제가 조선업에 대해 잘모르지만 말씀드리면 한 공장(회사)에서 크루즈도 만들고 컨테이너선이나 여러종류의 선박을 만들수있는데 종류 마다 다른 공장에서 만드는 비용보다 한 곳에서 만드는게 적다면 범위의 경제에 해당됩니다. 제가 잘 몰라서 예를 저렇게 들었지만 언뜻 듣기로 한 회사에서 여러종류의 선박을 만들기 어렵다고 들은거 같습니다. 그러면 범위의 경제가 어렵겠죠(이건 부정확합니다 참고용)
범위의 경제의 다른예는 엄청 많습니다. 메모리칩이나 led를 생산하는 기업이 메모리칩나 led가 들어가는 스마트폰을 생산한다던가, 라면을 생산하는 회사가 과자도 생산한다 던가(같은 공장에서 포장하거나 원료 절감) 규모의 경제는 써주신거 보다 생산량이 늘수록 평균비용이 하락 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써주신데로 더이상 생산에 필요한 시설을 늘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죠. 보통 정부가 갖고있는 사업은 거의 규모의경제하에 있습니다. 철도, 수도 전기등 그리고 민간으로 넘긴 사업중에는 이동통신이 있겠네요. [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