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7/04 01:24:37
Name 스타
Subject 만약 이영호가 초기 스타판에 존재했다면?
이미 상할대로 상해버린 본좌 논쟁이 아니라

만약 이영호가 스타판 초기에 게이머 생활을 했다면

지금까지 롱런 할수 있었을까요?

임이최와 더불어 당대를 호령했던 강자들이

피지컬과 변해가는 스타일에 적응하지 못해서 침몰한 경우가 많은데

만약 이영호선수가 스타 초창기(대충 임요환선수 등장시기쯤?)에 만약 게이머 생활을 시작했다면

지금까지 도태되지 않고 스1 생활을 할수 있었을까요?

물론 지금 능력치 들고 가버리면 바로 초창기부터 이영호!시대가 10년 이상 지속되었겠지만

당시 평균실력의 스타판에 이영호가 스타를 배우기 시작한거면

능력치를 계속 올리면서 지금까지 올수 있을까요??

대부분의 선수가 자신의 능력을 올리다가 한계에 도달해서 은퇴한게 대부분인데

이영호는 10년이상 게이머로 롱런 가능했을까요?

그리고 만약 가능할거 같다면 예상 성적은 어떻게 보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레필리아
12/07/04 01:29
수정 아이콘
전 불가능 하다고 봅니다.
세월 앞에 장사 없죠.
무지개곰
12/07/04 01:32
수정 아이콘
이영호선수가 잘하는 것은 많지만 그동안 쌓인 노하우와 빌드 등등이 조합되서

지금의 이영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분명 잘은 했겠지만 지금의 올드 레젼드와 비슷한 위치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도달자
12/07/04 01:42
수정 아이콘
2007년에 데뷔해서 지금 6년째.. 갓으로 각성한지는 한 2년(?)됬나요? 음..
너무 변수가 많은 가정이라 뭐라 할말은 없지만 진리의 스잘잘 이영호는 잘했겠지요.
프링글스
12/07/04 01:46
수정 아이콘
전 당시에 최강포스였던 최연성이 무너지는걸 보고 이판에 영원한 강자는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걸스데이
12/07/04 01:56
수정 아이콘
최연성이 등장하기 좀 전 부터 봐왔는데 전 최연성이 스타판 종결시키는 줄 알았습니다 이윤열선수는 얘기만 좀 들었는데 최연성만큼
매 게임 진짜 상대를 찍어 누른다는 압도적인 포스를 뿜진 않았던걸로..알구요 근데 그 최연성이 어느샌가 서서히 무너지고 마레기가
등장했을 때 최연성때와 같은 기분에 살짝 +까지 느꼈죠 아 이건 진짜 끝이다 얘가 진짜 종결시키겠다 근데 후에 또...택뱅리가 등장하고
10년도 3연 양대결승 갓포스때는 이게 뭔..?근데 그 이영호선수 마저도 그 이후로 11-12년도 10년도에 비하면 주춤하고 있죠
디레지에
12/07/04 02:03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와 비슷한 전성시기를 구가했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영원한 강자도 없고 전성기도 짧은 스타판이라서 지금까지의 롱런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냉면과열무
12/07/04 02:05
수정 아이콘
아마 다른 강자들처럼 최고의 자리에서 2~3년, 정상급의 자리에서 2~3년 머물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이윤열, 최연성이 리그를 씹어먹었을 때 그 아우라를 생각하면....
에휴존슨이무슨죄
12/07/04 02:12
수정 아이콘
임이최호...이 사람들을 서열질하는건 개개인의 기준에 따라 다르지만 시대의 차이가 있었을뿐 막상 같은시대에 데뷔했거나 하면 비슷했을거라 생각합니다. 굳이 뽑자면 임요환선수가 좀 특별하다고 하나...초창기에 나와서 더욱 힘을 받은 케이스 같기는 합니다만, 그것도 아주 미세한 차이일뿐이고요.

이영호가 옛날에 나왔으면 임요환보다는 최연성/이윤열류 였을것같긴합니다. 이윤열만큼 오래갈수있었을까, 하는건 또 모르겠네요. 사실 꾸준하다는 말도 이제동/이영호 앞에선 이윤열도 한수 접는 느낌이지만, 정상에서 아예 바닥으로 쳤다가 다시 정상을 오른 선수는 이윤열/최연성밖에 못한거로 알고있어서...나락으로 떨어지지 않는 측면은 리쌍이 더 나을지 몰라도, 떨어지고 나서 올라올수 있느냐는...
텔레파시
12/07/04 03:17
수정 아이콘
전 부정적입니다. 옛날에 태어나 일찍 데뷔했어도 강자였을거라고 생각은 하지만..
굳이 비교하자면 택뱅리쌍 초기 이영호선수가 가장 뒤쳐질때 느낌? 분명히 강자인데 뭔가 아쉬운?
임이최 + 시대별 테란 강자 모두를 흡수하고 자기만의 노하우를 플러스시키고 예리하게 갈고닦은게 이영호라 생각하거든요.
좀 유치할수있고 그런데 10년이영호는 말그대로 최종병기..최강병기느낌이었습니다. 11년은 당대최강자 느낌이었구요.
임요환때 데뷔했으면 강자중한명, 이윤열때 데뷔했으면 강자중한명, 최연성때 데뷔했으면 최강자중한명, 마씨때 데뷔했으면 최강자중한명 요정도..?
이렇게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써도..그래도 최강자네요.. 맙소사..
클라우제비츠
12/07/04 03:17
수정 아이콘
빌드랑 온갖 타이밍들이 분석되기 전이라 얼마나 오래갔을진 모르겠지만 열정과 노력으로 본다면

분명 잘 했겠죠~
대세는탱구
12/07/04 04:50
수정 아이콘
전 어쨌든 이영호 선수가 프로게이머에게 가장 필요한 부분인 타고난 "센스"와 "눈치"에선 임이최보다도 몇 수 앞서있다고 봅니다. 따라서 굳이 임이최가 빌드를 정립하고, 이런 저런 운영법을 먼저 개발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영호가 등장했어도 극강의 포쓰를 뽐냈을거라 생각하구요. 다만 임이최 시대 전에 이영호 선수가 등장했다면, 게임 외적으로 이리저리 신경쓸 부분이 많았을 것이고 (1.5세대인 임요환 선수는 말할 것도 없고, 이윤열 선수는 각종 행사에서 노예처럼 혹사당한건 유명하죠...최연성 선수는 그나마 좀 낫네요), 리플레이 보안같은게 없던 시대라 상대적으로 전략이 빨리 노출되는 효과도 있었을테니 지금보다는 선수의 개인 능력 자체가 대성하진 못했겠죠. 따라서 선수 생명도 조금은 줄어들테구요. 그래도 임이최 누구보다도 전성기를 길게 가져갈만한 타입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윤열 선수보다 조금 길었을 것 같네요.

근데 예전엔 대회가 더 많았다는걸 생각하면 (개인리그도 잠시 3개였고, 팀단위 리그도 두개였고, 프리미어리그 같은 꽤 큰 이벤트대회도 존재) 승률, 포쓰, 경기력 등은 현재에 좀 못미치더라도 단순 대회 우승숫자는 늘었을 것 같아요.
도라귀염
12/07/04 07:27
수정 아이콘
아마 이영호선수가 독주했지 않을까요? 이윤열선수가 같은팀으로 잠시 있었을때 신입시절 이영호 선수를 보고 스타판의 모든 역사를 갈아치울 선수라고 극찬한걸 봐서는 천재라고 불리는 이윤열선수가 극찬했으니..
마늘향기
12/07/04 08:20
수정 아이콘
아무리 못해도 꾸준히 송병구 선수 이상은 했을 거 같습니다.
이영호 선수는 다른 부분에서도 최강인 점이 많지만,
트랜드를 흡수하는 능력 또한 프로게이머 중에서 최강이죠.
12/07/04 08:25
수정 아이콘
뭔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요구하는 룰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대체로 최고의 선수로 꼽히는 선수들은 그런면에서 본인의 재능과 시대의 흐름이 잘 어울렸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 같구요.
(그렇지 않다고 가정한다면, 다른 시대에 등장했다면 더 놀라운 성적을 냈을 거란 뜻이 되니... --;;)

이영호선수가 초창기에 등장했다면, 그의 여러가지를 고려하면 놀라운 성적을 냈을거라고 생각합니다만,
반대로 이영호선수가 10년정도 일찍 태어났다고 하면, 과연 스타를 했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이영호 선수같은 사람이 10년전에도 있었고, 그 사람은 스타를 안했을 가능성도 매우 높다고 생각이 들어요.
다른 선수들도 자신들의 시기가 아닌때에는 전성기만큼의 성적은 내지 못했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뭔가 재능과 시기가 안맞아서 성적이 덜 나온 선수들도 있었겠고, 그런 선수들이 좀 더 활약했겠죠.
릴리러쉬.
12/07/04 08:41
수정 아이콘
이윤열만큼은 영원할줄 알았는데 그것도 아니었던거 보면 이영호도 다를꺼 같지 않습니다.
웃으며안녕
12/07/04 11:03
수정 아이콘
이영호라면 이윤열에 버금가는 커리어에 플러스 꾸준함으로 이판에 살아남아 있었을 꺼 같습니다.
어디까지나 변수를 고려한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12/07/04 11:03
수정 아이콘
역대 최강자들과 비슷할꺼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초창기때 이영호가 선수가 등장했다면 게임적인 것 말고 외적인 영향들이 많았겠죠 그 시절에는 제대로 프로팀의 형태가 갖춰지지 않았고 연습에 관련된것도 지금과 다르니까요 이영호 선수가 데뷔할때의 연습환경과 임요환 선수 나 이윤열 선수가 데뷔할때의 연습환경은 천지차이죠

개인적으로는 비슷한 포스를 뿜겠지만 오히려 선수생활이 더 짧았을꺼라 생각됩니다. 손목이나 이런부분에 부상이 있고 그걸 제대로 관리 못해줬을것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9403 스타리그 4강 오프를 가보고 싶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2] 스웨트1538 12/07/04 1538
139402 이거 뭐가 문제인가요?? [2] 김치찌개1915 12/07/04 1915
139401 백팩 추천... [5] NO.6 Xavi2156 12/07/04 2156
139400 대학로 동아리 공연할만한 곳 추천부탁드립니다! nothing1726 12/07/04 1726
139399 어메이징스파이더맨 3D? 디지털? [10] 아레스1704 12/07/04 1704
139398 여자와의 대화 해석 질문... [27] 한검2373 12/07/04 2373
139397 미군 백팩 쓰시는 분 도와주세요;; [1] 아레치2487 12/07/04 2487
139396 만약 이영호가 초기 스타판에 존재했다면? [18] 스타2154 12/07/04 2154
139395 편의점 도시락 설문조사해봅시다. [8] 감모여재1972 12/07/04 1972
139393 서울 지역 고시텔. 원룸 시세에 대해 아시는 분 계신가요? [7] 秀SOO수1671 12/07/04 1671
139392 페이스북 중 여기 빨간 표시된거는 어떤건가요? [3] 바카스1556 12/07/04 1556
139389 2메가정도되는 jpg나 pdf형식의 그림파일을 1메가 이하로 줄일수 있는 방법있나요?? [3] 대변1531 12/07/04 1531
139388 팔을 올리면 가슴, 옆구리 쪽이 아픕니다 [2] 칙촉1555 12/07/04 1555
139387 컴퓨터 블루스크린이 계속 뜨네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4] 황신강림2167 12/07/03 2167
139385 사회적 환경과 호르몬에 대한 질문입니다. [4] 고양이맛다시다1211 12/07/03 1211
139384 아령으로 운동하기... [4] Art Of Life2406 12/07/03 2406
139383 리니지 한달 요금.. [7] 블루팅4406 12/07/03 4406
139382 [디아3] 액3기준 수도사는 어떤챔프가 까다롭던가요? [5] Tad1576 12/07/03 1576
139381 [lol] 펄스건 이즈리얼스킨 스마트키 이상 현상 [7] 군인동거인2142 12/07/03 2142
139380 담양 떡갈비 잘아시는분..!! [7] 인디2132 12/07/03 2132
139379 [lol] 케넨 사거리 너프되면 고인이될까요? [11] o에코o2279 12/07/03 2279
139378 오늘 스타리그 재밌었나요? [9] 바람꽃2025 12/07/03 2025
139377 이번 스타리그 결승대진은 어떻게 될까요??? [6] 유안1286 12/07/03 128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