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4/08/19 11:31:45
Name 요하네스버그
Link #1 http://www.danseagrave.com/art/
Subject 데스메탈계의 거장 일러스트레이터 : 댄 시그레이브 (Dan Seagrave) (스압) (수정됨)


제가 소개하고자 하는 아티스트는 과거 80년대 말부터 90년대 초  헤비메탈의 극단적인 대안으로 급부상했던 데스메탈씬에 있어서 역사의 산증인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는 영국 태생의 화가 대니얼 시그레이브(Daniel Seagrave), 통칭 댄 시그레이브입니다.


Interview: Dan Seagrave (Artist) | No Echo


시그레이브는 1970년 영국에서 태어났고 이후 캐나다에 주로 거주하며 현재에 이르기까지 꾸준하게 작품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화가입니다. 
본업은 미술 분야이지만 이쪽 계통 예술가들이 으레 그러하듯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음악, 체육 등 다양한 영역을 두루두루 섭렵하는 경향이 있는것과 동일한 맥락에서 시그레이브 역시 영화제작, 음악활동, 프로듀싱 등의 영역에서도 크게 관심을 가지고 오랜 시간에 걸쳐 왕성하게 활동을 전개해 오고 있습니다.





367013937-788081283300867-6974879460820639556-n.jpg


본인 스스로의 예술관과 내면의 의식을 투영한 Temple 시리즈를 비롯해서 (해당 작품은 작가 본인에 따르면 하나 제작하는 데에 1년 이상 소요되기도 한다고) 다양한 밴드와 뮤지션들의 의뢰를 받아 앨범 커버 아트를 제작한 것으로 유명하며,

특히 앞서 언급된 것처럼 80년대 말부터 90년대 초부터 시작된 올드스쿨 데스메탈 거장들의 명반을 주로 맡아서 제작한 것으로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revolver-pantera_D3A1C5_lead.JPG
cover46_lead.JPG


그의 화풍에서 보여지는 가장 큰 특징은 작품을 보자마자 느껴지는 극한에 다다른 매우 세밀한 묘사와 압도될 수 밖에 없는 장엄하고도 놀라운 스케일에 있습니다.


image


더군다나 이러한 놀라운 디테일들을 CG가 아닌 직접 브러쉬 및 물감 등의 전통적인 기존의 채색도구를 이용한 작업방식을 고수함으로써 핸드메이드가 보여줄 수 있는 특유의 색감 및 묘사를 여감없이 보여주며, 극단적인 색감의 대비 등으로 인해 더욱 강렬하게 이미지를 뇌리에 박히게 합니다.



demonh64_D997D9_lead.JPG
cover28_lead.JPG


그의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묘사되는 형상들은 압도적이면서도 대부분 극단적으로 왜곡되어 불길하면서도 위태로운 느낌을 선사하며 거기에 전반적으로 칙칙한 채도와 색조를 활용하여 이러한 불안감을 더욱 증대시킵니다.

패턴, 문양, 고딕, 건축 등 구조적인 요소에서부터 기계문명, 괴수, 흑마술 같은 오컬트적인 요소까지 포함해서 대놓고 고어틱한 컨셉으로 디자인을 구축할때도 있는데 이런 그의 아트워크를 보고 있자면 마치 다크소울 시리즈의 세계관을 그대로 화폭에 묘사한 듯한 느낌을 선사받기도 합니다.

죽음, 악마, 혼돈, 허무, 공포, 폭력, 파괴 등 어둡고 과격한 이미지나 키워드를 음악적인 모티브로 주로 차용하는 데스메탈이라는 음악에 있어서 이러한 시그레이브 특유의 화풍과 본인이 추구하는 예술관 등이 함께 더해지면 그야말로 장르적으로 최적의 시너지를 불러 일으키게 되어 시그레이브는 벌써 30년이 훨씬 넘는 세월동안 지금까지도 꾸준하게 북미, 유럽을 주무대로 활동하는 대표적인 데스메탈 밴드들과 연결되며 그들의 작업물에 본인의 작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에 따르면 해당 밴드로부터 의뢰를 받아 본인이 작업한 작품을 해당 밴드가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이따금씩 있다고는 합니다. 
물론 그 경우에도 받을 건(?) 확실하게 다 받는다고)





시그레이브의 방대한 작품을 여기서 다 소개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그가 작업한 앨범 아트들 중에 워낙 데스메탈씬에서 전설적인 명반들이 많아 대표적인 작품들 위주로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Dismember (Sweden) – Like an Ever Flowing Stream (1991)
IMG-5385









Entombed (Sweden) – Clandestine (1991)
IMG-5949










Morbid Angel (USA) – Altars of Madness (1989)
IMG-5950









Malevolent Creation (USA) – The Ten Commandments (1991)
IMG-5953









Suffocation (USA) – Effigy of the Forgotten (1991)
IMG-5386











Nocturnus (USA) – The Key (1990)
IMG-5952










Carnage (Sweden) – Dark Recollections (1990)
IMG-5954










Benediction (UK) – Transcend the Rubicon (1993)
IMG-5956










Gorguts (Canada) – Considered Dead (1991)
IMG-5957










Pestilence (Netherlands) – Testimony of the Ancients (1991)
IMG-5959










Hypocrisy (Sweden) – Penetralia (1992)
IMG-5958










Vader (Poland) – The Ultimate Incantation (1992)
IMG-5955










Decrepit Birth (USA) – ...And Time Begins (2003)
IMG-5960










Becoming the Archetype (USA) – Terminate Damnation (2005)
IMG-5961







Rivers of Nihil (USA) – Monarchy (2015)
IMG-5964











Demon Hunter (USA) – Exile (2022)
IMG-5965




더 많은 작품을 찾아보거나 그의 작품세계를 이해하고 싶다면 시그레이브 작가 본인의 홈페이지 혹은 그의 인스타그램 등에 잘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 SNS쪽에는 본인이 작업하는 과정이 짤막한 릴스로 이따금씩 영상이 업로드 하곤 합니다.

개인적으로 CG보다 손으로 직접 그리는 일러스트 제작 방식을 선호하는데다가 평소 음악적인 성향과 완벽하게 일치하다보니 완전 취향저격이 된 작가 중 하나인데 혹시 자신만의 최애에 해당하는 앨범 커버 디자인이나 아티스트들이 있다면 같이 공유해주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무더운 날씨가 지속되고 있는데 이럴수록 더 빡세게 메탈 들으면서 간만에 음반들도 좀 새로 사며 여러모로 예전 시절 추억들을 소환하고 있습니다. 다들 건강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p.s. 장르 특성이 특성인지라 대놓고 고어한 앨범 자켓도 몇개 그리긴 했는데 여기선 가급적이면 제외했습니다.
워낙 세밀한 묘사에 일가견이 있는 작가다 보니 당연히 고어묘사도 끝내주게(!) 잘하는데 본인이 선호하는 스타일이 아닌지 해당 묘사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입니다. 사실 이 분야의 최고봉으로는 데스메탈 역사상 최고의 상업성을 지닌 미국의 브루탈 데스메탈 밴드인 카니발 콥스(Cannibal Corpse)의 전속 앨범 일러스트레이터이자 그래픽 노블 작가인 빈스 로크(Vince Locke)라는 끝판왕이 있기도 하고.


p.s.2 블랙,데스 등 익스트림 계열 밴드들에게는 이례적인 케이스입니다만, 영국의 전설적인 데쓰레쉬 밴드였던 볼트쓰로워(Bolt Thrower)의 경우 앨범커버를 밴드명의 어원에 걸맞게 워해머4000 시리즈의 일러스트를 차용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오른쪽은 리마스터판)
7e15d4f5d5d2ca98f6a2bc7996a853af.jpga1419088630_10.jpg




* 배려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25-07-29 08:4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 게시글로 선정되셨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及時雨
24/08/19 11:53
수정 아이콘
흥미롭네요!
Neanderthal
24/08/19 12:15
수정 아이콘
데스메탈...가까이 할 수 없는 너!...ㅠㅠ
24/08/19 12:41
수정 아이콘
좋아하는 앨범들이 많네요. 소개해주신 인물은 이번에 처음 알게 됐는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4/08/19 13:15
수정 아이콘
메탈이 대중적인 장르는 아닌데도 앨범 이미지 보면 항상 고퀄이라서, 누가 그렸을까 했는데 전문 일러스트레이터가 있었군요
서린언니
24/08/19 14: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런 쩔어주는 앨범아트 때문에 아직도 엘피나 시디 사시는 분들이 계신다고 하죠. 디지털로 오면 뮤비일러나 섬네일아트 정도 되려나요
Zakk WyldE
24/08/19 21:55
수정 아이콘
옛날 타워레코드 같은데 가서 내가 잘 모르 밴드의 앨범을 한 번 사서 들어봐야겠다 싶으면 앨범 커버보고 골라 듣기도 하고 그랬죠.. 흐흐
24/08/19 23:19
수정 아이콘
논외지만 테스타먼트 더 개더링 앨범아트가 바꼇더군요 더 기괴해짐;;
명왕의찬가
24/08/20 23:09
수정 아이콘
오우 글 감사합니다. 디스멤버랑 인툼드는 1991년 앨범이 맞나 싶을 정도로 레코딩이 장난 없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추천게시판을 재가동합니다. [6] 노틸러스 23/06/01 32939
3920 [잡담] 똥꼬는 얼마나 소중한가.. [25] 언뜻 유재석1274 24/08/15 1274
3919 칸예 웨스트, 언니네 이발관, 프랭크 오션 잡담. [6] aDayInTheLife1269 24/08/26 1269
3918 악보 지옥.......ㅠㅠ [12] 포졸작곡가1245 24/08/23 1245
3917 [서평]《손쉬운 해결책》 - 아직은 자기계발 심리학이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엔 미숙하다 [39] 계층방정1190 24/08/19 1190
3916 데스메탈계의 거장 일러스트레이터 : 댄 시그레이브 (Dan Seagrave) (스압) [8] 요하네스버그1163 24/08/19 1163
3915 대리운전, 투잡 or 알바로서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소소한 팁 [44] 청운지몽15212 24/08/14 15212
3914 지리산은 왜 智異山으로 쓰고 지리산으로 읽을까? - 상고한어의 흔적 [16] 계층방정14687 24/08/11 14687
3913 유럽사는 딱 3가지만 알면 됩니다 | 세상에서 가장 짧은 세계사 [32] Fig.114738 24/08/06 14738
3912 외박 복귀 D-4시간, 기차 타고 가면서 써보는 잡썰 [36] No.99 AaronJudge14268 24/08/04 14268
3911 MP3의 추억. iAUDIO G3 세척? 수리?기 [28] 우스타15437 24/07/28 15437
3910 뉴욕타임스 6.24. 일자 기사 번역(지하 미생물은 지구를 변화시킨다.) [9] 오후2시12257 24/07/28 12257
3909 내가 알고싶지 않은 바보들의 소식까지 알아야되는 세상 [33] 고무닦이12663 24/07/26 12663
3908 영어 원서를 읽고자 하는 분들을 위한 몇가지 팁 [46] 마구스12078 24/07/23 12078
3907 양극성 장애(조울증)을 치료하며 위로가 되었던 노래들 - 上편 [14] 욱상이11771 24/07/22 11771
3906 안락사에 대하여(부제: 요양원 방문 진료를 다녀본 경험을 바탕으로) [64] 아기호랑이10651 24/07/20 10651
3905 인류 역사의 99%를 알아보자: 서울에 200명도 안살던 시절 [12] 식별16142 24/07/16 16142
3904 ‘삼체’를 소설로 읽어야 하는 이유 [36] Schol16005 24/07/14 16005
3903 아이를 LG트윈스의 팬으로 만든 죄책감에 대하여 [43] likepa15047 24/07/10 15047
3902 2024년 방콕 광역권 지도 업데이트 [13] 쿠릭14787 24/07/04 14787
3901 장롱면허 레이 운전 분투기(3시간) [82] 사람되고싶다16887 24/06/16 16887
3900 [에세이] 군대에서 광신자가 되는 방법 [9] 두괴즐17720 24/07/03 17720
3899 전통주 회사 전직자의 주관적인 전통주 추천 [69] Fig.118049 24/06/11 180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