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1/10/18 22:52:50
Name Fig.1
Link #1 https://www.fig1.kr/history
Subject [역사]청바지가 500년이나 됐다구?! (수정됨)
1. 님에서 만든 데님

제노바 선원
[제노바 선원]

16세기 제노바의 코르듀로이 목화는 품질이 좋기로 유명했는데요. 이를 본 프랑스 님스 지방에서도 좋은 품질의 직물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죠. 그 노력의 과정에서 탄생한 것이 님스 지역의 능직이라는 뜻의 Serge de Nimes이에요. 이 Serge de Nimes는 de Nimes으로 불리며 오늘날까지 데님으로 불리고 있죠.

이 데님은 내구성이 매우 강해 제노바 해군들이 입었는데요. 이것이 Jeans의 어원이라는 설이 있어요. 제노바를 뜻하는 프랑스어 단어가 Génes이기 때문이죠. 이후 데님은 서부개척 시절 마차의 천으로 이용되었고, 미국과 영국의 전쟁에서도 전략물자를 실어 나르는 데 요긴하게 사용되었죠.



2. 데님바지와 청바지는 다르다?!

청바지 리벳

앞서 언급했다시피 데님 바지는 오래 전부터 있어왔는데요. 하지만 우리는 Levis를 최초의 청바지라고 알고 있죠. 이전의 데님 바지와 청바지의 차이는 리벳이라는 구리 단추와 대량생산에 있는데요. 데님 바지에서 주머니 모서리와 단추 플라이의 밑부분 등에 금속 리벳을 설치한 것이 리바이스의 청바지로 내구성이 더 향상되었죠.

이 아이디어는 제이콥 데이비스라는 재단사에 의해 발명되었는데요. 그는 자신의 발명품을 사업화하기 위해 당시 샌프란시스코에서 도매상점을 운영하고 있던 Levi와 손을 잡기로 하고 1873년 특허도 함께 등록합니다.



3. 도대체 왜 있나 궁금했던 청바지의 작은 주머니

현재 청바지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오른쪽 주머니 안에 작은 주머니가 있고, 뒷쪽에 두 개의 주머니가 있는데요. 원래는 앞의 양쪽 큰 주머니와 오른쪽 뒷주머니만 있었어요.

1870년대 후반 오른쪽 앞주머니에 회중시계를 넣을 수 있는 작은 주머니가 생겼고, 1901년부터 왼쪽 뒷주머니가 추가되었죠. 또한 리바이스 청바지의 상징인 리벳이 현재는 뒷주머니에서는 빠져있는데요. 이는 1960년대에 리바이스가 안장, 가구 등에 흠집이 난다는 소비자 불만을 받아들인 결과죠.



4. 최초의 XX바지

리바이스 상표
[리바이스 상표]

1873년 특허를 내고 탄생한 청바지는 XX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는데요. 이 XX라는 명칭은 1890년 501이라는 명칭으로 바뀌게 되죠. 지금도 리바이스의 501라인은 최초의 청바지 라인이라고 볼 수 있어요.

1886년에 이 바지에 상표가 붙게 됩니다. 그 상표는 아직까지 쓰이고 있는 말 두 마리가 청바지를 반대 방향으로 당기고 있는 모습인데요. 이 상표의 그림은 리바이스 청바지의 내구성을 상징하죠. 1936년에는 다른 청바지와 구분할 수 있도록 Red Tab이 부착되었고 이는 리바이스의 상징이 되었죠.



5. 반항의 상징, 청바지

위험한 질주
[<위험한 질주>의 한 장면]

청바지는 1952년 <밤의 충돌>에서의 마릴린 먼로, 1953년 <위험한 질주>의 말론 브란도, 1955년 <이유 없는 반항>에서의 제임스 딘이 입으며 반항의 상징으로 떠올랐는데요. 이 때문에 미국 동부를 중심으로 한 일부 주에서는 교실에서의 데님 착용이 금지되었어요.

청바지는 락 음악의 역사와도 함께 하는데요. 엘비스 프레슬리가 청바지를 입고 나와 자유의 상징이 되기도 했어요. 심지어는 Elvis의 이름이 글자 순서만 바꾸면 Levis가 된다는 점이 화제가 되기도 했죠.

저항의 이미지는 70년대에도 이어져, 히피, 사이키델릭, 반전시위 등을 상징하는 의복이 되었어요. 펑크 록의 유행으로 디스트로이드 진, 흔히 말하는 찢청이 등장하기도 했죠.



6. 청바지가 파란색인 이유?

인디고 염료
[인디고 블루 염료]

대부분의 청바지가 파란색인 이유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있는데요.

골드러쉬 시절 광산에 뱀이 많았는데, 당시 파란색 염료에는 뱀이 기피하는 성분이 있기 때문에 사용했다는 설
원래 리바이스에서는 duck pants와 파란색의 데님 바지를 출시했었는데요. 파란색의 데님 바지의 경우, 인디고블루 염료의 성분 때문에 세탁할 수록 부드러워 진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더 선호되었고 이윽고 파란색만 출시하게 되었다는 설이 있죠.




<참고문헌>
리바이스 공식 홈페이지 https://www.levistrauss.com/
Howard, Michael C. (2014). Transnationalism and Society: An Introduction. McFarland.
 
* 리바이스의 시초에 대해서 여러 참고문헌이 있었지만 각자 내용이 달라, 리바이스 공식 홈페이지의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었습니다.



<이전글>


* 손금불산입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3-09-26 09:11)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 게시글로 선정되셨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VictoryFood
21/10/18 22:56
수정 아이콘
지금까지 선박의 돛, 천막 재료로 옷을 만든게 청바지의 시작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아니었군요.
21/10/18 23:18
수정 아이콘
그 이야기도 많이 있던데, 리바이스가 원래 도매점이었다보니 이것저것 취급했고 그 중에 천막, 돛, 데님바지가 섞여있지 않았나 싶습니다.
가우너
21/10/18 23:39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어렴풋이 궁금했던건데 넘 재밌게 잘읽었네요~~
이전글들도 정주행하겠습니다..!!
21/10/19 08:1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미뉴잇
21/10/19 02:57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21/10/19 09:4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메타몽
21/10/19 09:09
수정 아이콘
골드 러쉬 때 청바지가 처음 나온게 아니라는 걸 이번에 처음 알았고

그 조그마한 주머니가 회중시계 보관 주머니라는걸 알게되니 리바이스가 얼마나 오래된 기업인지 실감이 납니다 흐흐
21/10/19 09:49
수정 아이콘
골드 러쉬때 리바이씨가 청바지를 만들었다는 글이 굉장히 많더라고요. 저도 처음엔 헷갈렸는데 리바이스 피셜이 정확하겠죠?!
전체적인 타임라인을 정리해보자면
'데님바지 >>>> 골드 러쉬 > 샌프란시스코에 리바이스 도매점 창업 > 제이콥 데이비스가 청바지 제작(정확히는 리벳 특허) > 리바이스에서 청바지 사업 시작' 인 것 같네요
21/10/19 10:42
수정 아이콘
저 구리 리벳의 용도는 무엇일까요?
21/10/19 13:12
수정 아이콘
봉제선 모서리에 위치해있어서 뜯어지는 것을 막는 용도입니다. 내구성 +9가 되는거죠
hm5117340
21/10/19 20:57
수정 아이콘
빈티지, 아메리칸 캐주얼을 파고들면 반드시 거쳐가게 되는 리바이스 빈티지 라인들...lvc 말고 리얼 44501,47501 이런거 보면 정말 멋지긴한데 가격이 미쳐돌아서..요즘에는 리바이스라는 브랜드자체가 젊은층에게는 생소한 브랜드로 인식되어 있는데 조금 아쉽긴 합니다
21/10/20 13:17
수정 아이콘
헛 그럼 요즘 젊은 친구들은 뭐입나요?! 저는 청바지라곤 뱅뱅이랑 리바이스밖에 모르는데..
키스 리차드
21/10/20 11:01
수정 아이콘
세탁할 수록 부드러워 진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더 선호되었고 이윽고 파란색만 출시하게 되었다는데
왜 청바지는 빨지 말라고 할까요? 크크크
21/10/20 13:20
수정 아이콘
빳빳 청바지파의 프로파간다 아닐까요? 크크크
키스 리차드
21/10/20 19:49
수정 아이콘
설마 저항정신의 잔재라던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762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농작물들 [35] VictoryFood15627 23/08/11 15627
3761 그녀가 울면서 말했다. [28] ItTakesTwo15012 23/08/10 15012
3760 [LOL] 52세 할재(?) 플레 찍기 도전 성공 [45] 티터14811 23/08/10 14811
3759 [기타]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일반인 1호 기증자가 되었습니다 [6] Periodista15652 23/08/03 15652
3758 [역사] 산업혁명이 만든 기네스, 과학혁명이 만든 필스너우르켈 [27] Fig.114981 23/08/10 14981
3757 오래 준비해온 대답 [17] 레몬트위스트14790 23/08/08 14790
3756 나는 운이 좋아 칼부림을 피했다. 가해자로서든, 피해자로서든 [46] 상록일기15351 23/08/04 15351
3755 몇년이나 지난 남녀군도(+도리시마) 조행기 [4] 퀘이샤14114 23/08/03 14114
3754 사극 드라마에서 나오는 이방원에 대한 이성계의 빡침 포인트에 대한 구분 [29] 퇴사자14495 23/08/02 14495
3753 권고사직(feat 유심) [60] 꿀행성15957 23/07/30 15957
3752 가정 호스피스 경험기 [9] 기다리다13923 23/07/28 13923
3751 만년필 탄생의 혁신, 그리고 두 번의 뒤처짐 | 워터맨의 역사 [12] Fig.113490 23/07/26 13490
3750 교사들의 집단우울 또는 분노 [27] 오빠언니13934 23/07/22 13934
3749 초등학교 선생님은 힘든 것 같다... 아니 힘들다 [98] 아타락시아113771 23/07/20 13771
3748 제로 콜라 그럼 먹어 말어? [71] 여왕의심복14514 23/07/14 14514
3747 밀란 쿤데라, 그리고 키치 [10] 형리12527 23/07/13 12527
3746 [역사] 설빙, 샤베트 그리고 베스킨라빈스의 역사 / 아이스크림의 역사 [42] Fig.112534 23/07/11 12534
3745 중국사의 재미난 인간 군상들 - 위청 [26] 밥과글12552 23/07/10 12552
3744 펩 과르디올라는 어떻게 지금 이 시대의 축구를 바꿨는가. [29] Yureka12553 23/07/01 12553
3743 [기타] [추억] 나의 기억들 [10] 밥과글12813 23/06/19 12813
3742 [역사] 김밥은 일본 꺼다? / 김밥의 역사 [29] Fig.113568 23/06/28 13568
3741 자영업자 이야기 - 직원 뽑기에 실패하였습니다. [46] Croove13587 23/06/26 13587
3740 흔한 기적 속에서 꿈이가 오다 (육아 에세이) [14] 두괴즐14072 23/06/12 140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