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29 11:31
연금저축으로 넘겨서 운용하는것도 추가세액공제 받고 좋긴한데요
본인이 일을 언제까지 할 것인가도 잘 생각해보세요 일하는 동안 매년 600+ irp 300으로 900씩 20년 넣으면 원금만 18000만원이고 수익도 나면 얼추 55세에 3억 넘게 모입니다 3억정도 모이면 55세부터 30년동안 저세율 한도 5.5퍼 맞춰 뽑아도 다 뽑기전에 죽을 수도 있습니다 크크 그러느니 그냥 isa는 쭈우욱 가져가시다가 9.9만 내고 목돈 필요할때 깨는게 나을 수도 있습니다 일을 길게 할 생각이 아니라서 매년 900넣어도 55세에 세액공제원금+수익금이 3억이 안될거 같을때 isa깨서 넣는게 좋은거 같습니다
+ 25/10/29 14:50
답변 감사드립니다!
연금계좌는 200 추가로 넣어서 600 맞추고 IRP 개설해서 300 맞춰서 900 채운 뒤, ISA는 최소한으로 가져가도록 하겠습니다.
25/10/29 13:48
1. 연금저축계좌 세액공제 한도는 작년 개정으로 인해 600만원, IRP 합산시 900만원까지입니다.
연금저축은 한 번 입금하면 중도 인출이 매우 제한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세액공제 금액을 초과한 추가 납입은 잘 안 하는 편입니다. 연금저축계좌에서 살 수 있는 동일한 상품을 다른 계좌에서 사면 어차피 수익은 동일한데 굳이 자유도가 제한되는 연금저축계좌에 넣을 필요가 딱히 없죠. 물론 가지고 있으면 써버릴 수 있는 돈을 묶어둔다는 점도 있지만 사람이 살다보면 언제 급전이 필요할지 모르기 때문에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3. 아실테지만 연금저축계좌는 미국 상장 ETF에 직접 투자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국내 상장 ETF 중 미국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상품만 투자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S&P 500 지수 ETF에 몰빵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국장을 섞겠다고 하시면 코스피 200 정도까지 고려해볼 법 합니다.
25/10/29 13:56
일단 연금저축+IRP 900맞추고 나머지 여윳돈으로 ISA 등 하시는게 좋은거 같습니다. 일단 매년 900을 연금으로 넣으면 13~16% 연말정산으로 돌려받으니까 이게 꽤 큽니다. 연봉 5500안되면 148만원정도 받거든요.
+ 25/10/29 14:56
급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연금저축은 담보대출도 가능해요... 저는 돈 묶이는거 때문에 연금에 돈 못넣겠다는거 솔직히 이해하기 어렵더군요. 사람마다 가치관이 다르긴 하니까요.
+ 25/10/29 16:08
1번답 네. [납입연도 전환 특례] 초과납입분은 내년도 공제도 가능하고, 세액공제 안 받은 입금액은 인출도됩니다.
2번답 네 연금계좌에서 배당소득은 올해부터 과세이연효과가 없어졌습니다. 여유되는한 최대한 납입한다는 전제하에 국내상장 슨피ETF사신다면 [과세이연]도 잊어버리시고.. (해당 종목은 거래를 자주안하실테니.. 은퇴 직전에 배당주 전환시에만 과세이연효과를 봅니다) [저율과세]도 잊어버리시고..(납입기간과 충분히 길고 금액도 충분하다면 연1500이상 뽑게되실거에요..) 이 정부에서 배당소득 분리과세를 시행하게된다면 55세시점에서 연금계좌안에서 굴려지는 소득 VS 배당소득분리종목ETF를 비교하시는게 맞을겁니다. 전자는 16.5%분리과세 후자는 22%분리과세 전자는 국내상장해외ETF거래가능 후자는 불가(국내일부종목한정) 뭐 미래에는 또 바뀔수 있으니까요. 지금 현행상 그렇다는겁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