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5/08 11:02
제가 축구하다가 충돌해서 한 몇주 잘 때도 옆으로 못 눕고 웃음이 나와도 아프고 한적 있는데 그러다가 어느샌가 나았고 한 반년 뒤에 건강검진 받을때 렌트겐사진 찍었더니 의사선생님이 골절한적 있냐고 묻더군요....흔적이 있다고
일단 흉부외과 가서 한번 사진 찍어보세요. 뭐 아마 금이 가거나 했을텐데 그렇다고 그냥 가급적 움직을 줄이는거 외에는 딱히 방법이 없겠지만서도....
25/05/08 11:25
흉부외과에 가 보시는 게 좋을 것 같고, 근처에 없거나 해서 여의치 않으시면 정형외과 추천드립니다.(음, 그런데, 어떤 면에선 골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X-ray 를 촬영할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 괜찮긴 합니다.)
가슴 쪽 타박상의 경우 늑골 골절이면 더 이야기할 것도 없고 그런 것 없이 단순한 타박상이라도 통증이 꽤 오래 가긴 합니다.
25/05/08 11:41
골절 자체는 정형외과라고 하는데
어차피 갈비뼈 골절은 정형외과에서도 딱히 치료해줄만한 게 별로 없습니다. 너무 아프시거나 그러면 흉부외과 추천드립니다. (얼마 전에 어머님이 침대에서 낙상하셔서 난리났었는데... 결국엔 흉부외과에서 치료받게 되더라구요.) 갈비뼈 골절이면 기흉 같은 증상이 따라오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그 쪽을 체크하시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
25/05/08 14:04
금가는 거면 진통제 맞고
1달정도 고생하는 거 외에는 방법이 없을겁니다. (골절이면 다르겠지만) 근데 저도 팔스트레치 하다가 갈비뼈 금간적이 있어 꽤 흔하긴 합니다.
25/05/08 15:06
갈비뼈 골절이 의심되는 상황이구요, 월요일에 다쳤는데 통증 외 다른 증상이 없다면 기흉이나 혈흉같은 다른 합병증은 동반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갈비뼈 하나만 금이 가도 엄청 아픕니다..통증은 2,3일 엄청 아프다가 일주일쯤 지나면 많이 좋아지고 1,2달까지도 가끔 생각날정도로 아플때가 있습니다. 단순 골절이라면 진통제, 운동제한 정도 외에 치료가 없기에 제 지인이라면 굳이 병원 가지말고 약국에서 타이레놀같은 진통제 먹으면서 보다가 통증의 악화, 호흡곤란, 가슴답답함 등 기흉, 혈흉 합병의 증거가 있을때 종합병원 규모 응급실로 가라고 하겠습니다만, 걱정이 되신다면 외상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정도로 가보시면 되겠습니다. 단순 x-ray에서는 골절이 보이지 않을 수 있어서 CT촬영까지도 할 수 있습니다. 원래 정형외과는 갈비뼈골절을 보지는 않지만, 1,2차 병원에서는 같이 보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기흉, 혈흉의 경우 흉관삽관을 해야하는데 동네의원급에서는 시술이 어려우니 응급의학과가 있는 곳으로 가는게 가장 확실합니다. 부딪힌 곳이 왼쪽이라면 아주 드물게 심장타박상이나 아주아주 드물게 심장관련 손상이 있을수 있지만 삼일전에 다쳤고 지금 통증 외 다른 증상이 없다면 걱정은 안하셔도 되겠습니다. 쾌유를 기원합니다.
+ 25/05/08 22:10
(수정됨) 흉부외과가 크게는 심장, 페, 혈관 정도의 파트로 나눠지지만 갈비뼈골절 및 헐기흉은 전공의 수준으로 다뤄지는 거라 개원한 흉부외과의들은 갈비뼈골절에 대해서는 충분히 진료할 수 있을겁니다. 다만 그 진료를 하느냐마느냐는 해당병원 의사의 선택인지라..확답을 드리긴 어렵습니다.
25/05/08 15:44
((전 통증의학과 입니다))
정형외과를 비롯 통증 보는 아무과나 가셔도 됩니다. X-ray로 확인하는건, (어차피 미세 골절 보려는건 아니고) 심한 골절만 걸러내려는건데, 그건 통증 보는 과는 다 잡아낼수 있고, 미세골절은 어차피 치료가 골절이든 아니든 비슷합니다. 휴식과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을 하는데 통증 관리가 목표고 궁극적으로는 시간이 지나야 낫습니다. 중요한건 통증부위를 최대한 쓰지 않는것이고요. 만약 통증이 너무 심해서 수면 방해가 될 정도면 신경차단술을 시행해볼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치료 기간을 줄여주는등의 효과는 없고 그냥 1-2일 정도 통증을 줄여주는 효과만 있습니다.
25/05/08 17:04
그러시면 가까운 정형외과 신경외과 통증의학과 재활의학과 등등에 가셔서 간단히 X-ray 정도 찍어보고,
물리 치료 약물 치료 휴식 등 취하시면 될겁니다. 단 적어도 2-3주정도는 생각하셔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