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20/09/09 10:17
formal하게는 '십년에서 이십년'으로 읽는게 낫고,
구어체로는 일이십년이라고도 많이 쓰는듯 하네요 ex) 한 일이십년 정도 걸릴 수 있어요.
20/09/09 10:38
(수정됨) 일이십년이지요. '십이십년'이라고 읽지 않는 건 원래 구조가 '십+이십+년'이 아니라 '(일+이)십+년'이기 때문입니다. 3,40년은 (삼+사)십+년이고 4,500년은 (사+오)백+년이죠.
만약 '십+이십+년'으로 읽는 규칙성을 따르면 3,40년은 삼십사십년, 4,500년은 사백오백년이 되어야 하지만, 그렇게 읽지 않으니까요. 덧붙여 물결표는 '내지'로 읽는 표준적인 방법이 있고 그것을 '에서'로 바꿔 읽는 것도 허용됩니다. 사실 이게 덜 헷갈리는 방법이죠. 10~20년 : 십 내지 이십년 / 십에서 이십년
20/09/09 10:53
우리말이 십, 백, 천 등 자리값 앞에 1(일)은 생략하는 경향이 있네요.
그래서 엄밀히 말하면 일, 이십년이라고 하는 게 맞지 않나 싶네요.
20/09/09 11:13
일이십년이라고 읽고, 저렇게 쓰지는 않는 거 같아요. 10~20년 정도로 쓰지 않나요? 그러면 십년에서 이십년 정도로 읽을 거 같은데.
20/09/09 20:20
어라? 보통 '십년에서 이십년'이라고 하지 않나요?
1번은 정말 들어보긴 했던 거 같은 표현이고 2번처럼 표현하는 건 들어 본 기억이 없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