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9/09 07:18:40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취침시간과 건강의 상관관계 질문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azellnu
20/09/09 08:00
수정 아이콘
수면의 질이 나쁘지 않다면 상관없어 보이는데
전문가가 아니라
purpleonline
20/09/09 14:22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20/09/09 08: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상관있었습니다.
같은 시간을 자도 일찍 자는게 덜 피곤하고 더 개운하더군요.
새벽에 자는 거는 다음날 암만 늦게 일어난다고 해도 몸이 힘들어함..(심지어 새벽도 12시 조금 넘는 수준이어도 그러함..)
물론 젊을 때야 상관없었는데 나이드니까 그렇더라구요....
단, 일을 전혀 안가도 되는 게 일주 이상 넘어가고 그러면 늦게 자도 상대적으로 좀 괜찮긴 했습니다.
직장 가서 일을 해야하는 순간 어쨌든 늦게 자면 안되더라구요..몸이 못 버팀..
늦게 자고 수면시간 부족하고 그러면 진짜 몸이 망가지는게 뻔히 보여요...눈부터 당장 엄청 뻑뻑하고 등등..피부는 거무스름해지고..탁해지죠.
purpleonline
20/09/09 14:24
수정 아이콘
아 막줄에 공감합니다. 눈 뻑뻑해지는거라 피부는 확실히 3년전에 비해 달라진게 느껴져요.
결국 21:30 취침 04:30 기상 패턴으로 바꾸려고 지금 안자고 있습니다 ^^;
답변감사합니다.
20/09/09 09:24
수정 아이콘
충분한 수면시간, 양호한 수면의 질, 규칙적인 수면만 가능하다면 시간대는 크게 문제되지 않을거 같습니다.
purpleonline
20/09/09 14:25
수정 아이콘
질문 글 작성후에 추가로 검색을 해봤는데 앞으로 두달정도 생활패턴을 바꿔보기로 했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20/09/09 10:06
수정 아이콘
보통 일상을 아침부터 시작하다보니 대개는 강제로 아침형 인간이 되려고 노력할 뿐이지,
밤 체질이 맞는 올빼미형 인간도 있다고 합니다.
잘 먹고 잘 잘 수 있는 환경이 보장만 되면 별 문제는 없어 보여요.
purpleonline
20/09/09 14:26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지금만나러갑니다
20/09/09 10:14
수정 아이콘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7/17/2010071700020.html

이런 기사나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2/12/2015021202965.html

이런 기사들 보면, 대체적으로 인간의 생체적인 리듬이 있고(아마 몇천년간 진화에 의한 대부분의 인간이 가지는 생체 리듬이겠죠)
그에 맞지 않게 생활 시 몸에 많이 무리가 가는 듯 합니다.

물론 기사들은 헛소리도 많고 논문들을 확인해보진 않아서 확실할 순 없지만, 태양이 있을 때 활동하고 태양이 없을 때는 수면을 취하던
호모사피엔스 후손으로써 어느정도 일리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실제로 밤낮 바뀌는 교대근무를 하거나, 해외 관련 산업으로 시차고려해 늦은 밤/ 이른 새벽에 근무하시는 분들은 다들 힘들어하시고,
주간근무로 돌아오고 싶어 하시더라구요.
purpleonline
20/09/09 14:38
수정 아이콘
링크 해주신 글 잘 읽어보았습니다.

제가 3년정도 밤낮이 바뀐채로 생활하고나서 느낀 단점들을 꼽자면..

피부가 누렇게 뜨고 눈이 뻑뻑해지고 건조해짐
원래 앓고 있던 신경과민과 공포증이 심해짐
수면 중 경련이 자주 발생
집중력 저하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이건 제가 나이를 먹은것과 더불어 자기관리를 못한 탓인것 같은데 링크 글 외에도 여러 글이나 영상을 둘러보니 아예 연관이 없지는 않은 것 같더라구요.

일단 두달정도 생활패턴을 21:30 취침 04:30 기상 으로 바꿔 보려고합니다.
바꿔보고 긍정적인 왔으면 좋겠습니다.
매일 오전 5시에 달리기 하러 가는게 습관이라 05시 전에는 일어나야겠더라구요.

답변 감사합니다.!
고란고란
20/09/09 11:20
수정 아이콘
암막커튼으로 창을 가리고 주무시면 좋을거에요. 잘 때는 어둡게. 기상시에는 밝게. 그리고 규칙적이기만 하면 별 상관없을 거 같고, 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이 자주 바뀌면(2교대 3교대로 일하다보면 몇 주 단위로 계속 바뀌게 되죠) 몸에 엄청 안 좋습니다.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상관없을거에요. 시차가 있는 다른 나라 가서도 잘 사는 게 사람이라.
지금만나러갑니다
20/09/09 12:08
수정 아이콘
건강에 해를 끼친다는 주요 결과들을 보면 인체에 빛과 어둠의 노출 정도가 중요한데 실제 암막커튼을 치고 잔다면 어둠의유지 시간은 컨트롤 할 수 있을지 모르나, 태양 빛을 받는데 아무래도 한계가 있죠. 시차는 그 부분과는 전혀 관련이 없구요.
인공 태양 빛을 쐴 수 있으면 상관없을 수도 있는데 실제 조명으로 쓰는 빛들은 태양 빛과 파장도 다르고, 구현하기도 힘들어서... 밤에만 활동하는건 아무래도 신체에 무리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purpleonline
20/09/09 14:39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합니다.!
일단 두달정도는 밤낮을 정상적으로 돌려놓고 지내보려 합니다.
20/09/09 11:24
수정 아이콘
저도 예전에 야간근무할 당시 그렇게 살아본적 있는데 몸이 망가지더라구요..
purpleonline
20/09/09 14:3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브라이언
20/09/09 11:59
수정 아이콘
저도 편의점 야간해보니, 낮에 잘자도 피곤하더라고요
purpleonline
20/09/09 14:3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커티삭
20/09/09 12:39
수정 아이콘
시간대에따라 몇몇 호르몬들의 체내농도가 다릅니다.
purpleonline
20/09/09 14:40
수정 아이콘
제 식견에서는 호르몬은 좀 어려운 주제인것 같은데(^^;) 검색을 통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꽃갈피
20/09/09 16:17
수정 아이콘
야간작업하시는 분들은 호르몬 등의 요인으로 심혈관계 질환와 암 등의 발생율이 일반인보다 높습니다. 사업장에 고용되어 노동하시는 분이면 특수건강검진을 받으셔야하고 되도록 야간작업의 경우 교대로 하도록 권고할 정도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별다른 이유가 없다면 밤에 잠을 주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purpleonline
20/09/09 16:3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오늘부터 10시 전에 취침해보려 합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8436 [질문] 엑셀을 저장 전으로 돌릴 수 있는 법 없을까요? [4] 퍼플레임5669 20/09/14 5669
148435 [질문] 메일 파일 (eml) 관리 방법 [4] MelOng6354 20/09/14 6354
148434 [삭제예정] [북미] 전손 차량 관련 보험회사와 합의 과정 질문 있습니다. [4] 엔지니어6377 20/09/14 6377
148433 [질문] 2000년대 이전에 나온 로봇대전게임을 알고싶습니다 [12] 시오냥5848 20/09/14 5848
148432 [질문] 크롬 쓰는데 글자가 생략돼서 나옵니다. [2] 그런거없어5523 20/09/13 5523
148431 [질문] 외롭네요... mmorpg 추천좀 부탁해요! [19] 세이밥누님8434 20/09/13 8434
148430 [질문] 컴퓨터 사양 최종질문입니다 ㅠㅠ 고수님들 답변부탁드려요 [5] 조현5453 20/09/13 5453
148429 [질문] 데스크탑 전원이상 관련 질문... [2] 추대왕5787 20/09/13 5787
148428 [질문] uhd 맛뵈기 견적으로 이거 어떨까요? [2] U-Nya6464 20/09/13 6464
148426 [질문] 회사에 집밍아웃(?) 해도 되나요 크크... [20] 연애잘합니다8255 20/09/13 8255
148425 [질문] 공부하면서 섭취할 쿠키 종류 있을까요? [2] 피를마시는새5382 20/09/13 5382
148424 [질문] 중국에서 롤드컵하면 슈퍼계정은 중국섭꺼로 주나요? [5] 데로롱5878 20/09/13 5878
148423 [질문] 월세 준 집에 벽지가 상했을 경우 [2] 허니띠7145 20/09/13 7145
148422 [질문] 데이터 무제한으로 노트북 쓸만한 방법 있을까요? [4] rnsr8435 20/09/13 8435
148421 [질문] 혹시 30대 즐겜 노멀 게임 할만한 디스코드 채널 있나요? 내년에반드시결혼5209 20/09/13 5209
148420 [질문] 자동차검사 예약 질문입니다 마제스티3717 20/09/13 3717
148419 [질문] 여러분이라면 어느 집에 사시겠습니까? [35] CastorPollux6720 20/09/13 6720
148418 [질문] 용과같이 질문입니다.(시리즈) [14] 교자만두6498 20/09/13 6498
148417 [질문] 캡쳐보드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4] 하얀사신4903 20/09/13 4903
148416 [질문] 기아자동차 수리를 블루핸즈가서 해도 되나요 [5] 마제스티7666 20/09/13 7666
148415 [질문] 이스시리즈와 비슷한 스팀게임 추천부탁드립니다 [4] 시오냥8628 20/09/13 8628
148414 [질문] 와인 보관법 질문입니다. [4] dongkyo6341 20/09/13 6341
148413 [질문] (LOL) 롤 시청자인데, 룬에 대해 알고싶어요. [8] 파란무테6214 20/09/13 62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