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5/01 09:19
공무원이 무슨 면책의원있는 국회의원이나 대통령도 아니고..
무슨 죄든 더 사리면 사려야하지 죄를 저질러놓고 벗어나는 케이스는 없습니다.
19/05/01 09:23
상급기관에 넣으면 그냥 밑으로 내려올 수 있으니까
해당기관 -> 상급기관 -> 감사원 및 국민신문고 등에 넣는게 좋습니다. 밑에 넣었다가 흐지부지 되었다는 이야기와 함께요
19/05/01 10:40
고위직이고 뭐고 상관 없습니다. 해당기관에 먼저 넣으시고, 고위직이면 아마도 높은 확률로 스무스 하게 넘기려고 할텐데,
그 답변 내용과 내사내용 (아마도 안주겠지만) 달라고 해서 상위기관에 '이미 민원을 넣었지만 xx한 답변을 받았고 이해하지 못하겠다. 해당기관으로 이관시키지 말고 상위기관에서 감사해달라'고 넣으시면 됩니다. 그 위에 기관들도 모조리 나가리면 신문고쪽이나 청원, SNS 게시판 등에 공론화시켜버리면 다시 연락 올겁니다.
19/05/01 10:51
기자친구분이 어느정도 급이신진 모르겠는데, 말진, 혹은 그 바로 위정도면 고위직 공무원 + 해당기관과 척지는 행동을 바로 하기엔 좀 부담이 있을 것 같습니다. 데스크에서 진행하라는 얘기를 듣지 않는 이상, 먼저 공론화가 된 후에 인터넷상에서 이야기가 있으면 친구분도 기사를 내기 훨씬 편하실 것 같네요
19/05/01 10:30
민원은 시간만 있으면 되는 거라...제가 좀 불친절하게 썼네요.
협박으로 소송이나 법적책임을 묻기에는 좀 약하기도 하고 돈도 드니까요. 윗분들 말씀따라 민원만 생각했습니다.
19/05/01 10:38
저도 왠만한 불친절은 그냥 넘어가겠는데 그건 너무 기분나쁘겠더라구요.
모쪼록 어떻게 하시든 민원이든 뭐든 기분은 푸시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 멀리서 응원합니다.
19/05/01 10:59
빨갱이라고 의견표현한건 뭐 그렇지만. 정치적 소신을 말할 수 있다 손치고
얼굴 퍼트리겠다... 이건 좀 공무원이란 사람이 개인정보보호법 위반하겠다고 협박한거 잔아요. 오히려 철저하게 지켜야될 사람인데 그냥 민원만 넣어놔도 인사고과에 반영되겠죠. 해당 단체 시민고충위원회나 국권위 이런데부터 그 단체 홈피민원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