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10/19 09:49:18
Name 수면왕 김수면
Subject [일반] 우리가 바라보는 여론은 과연 어떤 여론일까? (1)
안녕하세요. 이래저래 스트레스를 피해 도망다니다가 닉네임 교체시기를 놓쳐버린 수면왕 김수면입니다.

오늘은 제가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주제인 정치 여론 형성의 메카니즘을 친숙한 대한민국 여당, 새누리당과 청와대를 통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생각해보면 아주 단순한 방법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어떻게 이 단순한 방법이 작동하는지를 알아본다면 조금은 많은 분들이 느끼시는 답답함을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본문의 자료는 한국 갤럽의 통계 자료에 근거하여 작성되었고, 통계 자료의 사용에 대한 저작권은 모두 한국 갤럽에게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또한 본문의 작성자는 한국 갤럽으로부터 통계 자료의 사용에 대한 직접적인 허가를 받지 않았으며, 이와 관련해 2차 저작물(본문)에 대한 본문 작성자의 의도에 반하는 상업적 용도가 있을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문에 인용된 자료에 대한 한국 갤럽의 저작권료 요구와 관련된 사항은 쪽지 혹은 ganimedes287@gmail.com로 연락해 주신다면 소신껏 답변에 응하겠습니다.

시작에 앞서 일단 지난 20주간의 한국 갤럽의 대통령 직무수행에 대한 지지도 조사를 보고 가시죠.

갤럽1
[한국 갤럽, 10월 2주차, 데일리 오피니언]

아주 흥미로운 두 가지 부분을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2014년부터 올해 8월 말에 이르기까지 완만한 하락세를 이루며 30% 초중반 대에서 대통령 지지율이 머물렀다는 사실이고, 두 번째는 올해 8월 말을 기점으로 대통령 지지율이 15~20% 가량 상승했다는 점이죠. 그리고 그 지지율이 역시 완만한 흐름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첫 번째는 일반적인 그동안의 대통령 지지율의 분기별 지지율의 흐름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입니다. 현 정권이 여러모로 시대 역행적인 정책 기조를 보인다는 평을 듣지만,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에게서 그런 이야기를 듣고 있지는 않은 편인가 봅니다. 일단 역대 문민정부의 대통령 지지율을 기간별로 비교한 자료들을 보시죠.

갤럽1

생각보다 준수한(?) 중간급의 성적을 내고있습니다. 여러가지로 그 이유를 생각할 수 있는데, 첫 번째로는 현재의 시대 역행적 흐름이 20~40대 초반의 젊은 층에게는 상당히 불만족스러운 행태이나, 그 이외의 장년층에게는 별다를 것 없는 과거로의 회귀라는 점으로 비추어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흥미롭게도, 그리고 안타깝게도 이런 추측을 통계로나마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갤럽1갤럽1

왼쪽은 10월 2주차, 오른쪽은 8월 3주차의 대통령 지지도 세부사항입니다. 일단 연령별대로 40대 이하와 50대 이상의 지지율이 큰 격차를 보이는 사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0월 2주차를 기준으로 20~40대의 가중치 고려 지지율은 약 23.7% (=131.93/555), 즉 현재 지지율의 반이 간신히 넘는 수준입니다. 한편, 50대 이상의 가중치 고려 지지율은 약 69.8% (313.72/449)로 50대 미만의 지지율의 두 배를 넘어 거의 세 배에 육박합니다. 그러니, 이를 전부 합하는 경우 약 44.4% 라는 지지율이 나오는 셈이죠. 즉, 세대에 따른 지지율의 격차는 이미 눈에 보이는 수준을 넘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이정도의 차이가 난다면 사실 세대 갈등을 염려하지 않을수가 없죠.

그렇지만 흥미롭게도 새누리당은 이 상황을 문제로 보지 않고 아주 적극적으로 이용합니다. 8월 3주차와 10월 2주차의 지지율 차이를 비교해보죠. 20~40대의 경우는 8월 4주차의 남북회담 합의라는 호재 이후에도 각각 9%, 7%, 9%라는 10% 내외의 차이를 보이는데에 그칩니다. 아마도 최근의 국정교과서 건으로 까먹은 부분이 크다는 면도 조금은 고려해야겠지만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50대, 60대 이상에서는 13%, 7% 라는 상승률을 보입니다. 특히 60대 이상에서는 이미 72%라는, 저점에서조차 70% 이상이라는 기적의 지지율을 보이는 데에서 80%에 육박하는 지지율까지 올랐다는 점에서 볼만한 상황인거죠.

여기서 새누리당은 실제 투표 참여율이 높고, 지지율이 안정적콘크리트인 50대 이상의 최대 이슈인 안보문제를 시기 적절하게 보여서 지지율을 끌어올리고, 이를 통해 지지율의 효과를 배가시키는 전략이죠. 말하자면 전형적인 devide and conquer식의 전략입니다. 게다가 이런 상황이 대선구도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날 것임을 안다면, 인구 밀집도가 호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영남을 차지한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욱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방법이겠구요.

--------------------------------------------------------------------------------------------------

쓰다보니 글이 엄청 길어졌는데, 저녁 먹고 균열을 한바퀴 돈 후에 2번째 글을 마저 올리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덴드로븀
15/10/19 09:59
수정 아이콘
분석 잘봤습니다.
제 생각엔 우리나라의 세대 갈등은 이제 해결할 방법이 없다고 봐야할겁니다. (출산율이...)
거기다 앞으로 2~30대가 아무리 발버둥치고, 매우 적은 확률로 40대에서 반새누리성향이 폭발한다고 해도 50대 이상의 압도적인 지지율과 인구수 때문에 우리나라의 미래는 그냥 계속 새누리당이죠.
그냥저냥 먹고 사는데야 지장없겠지만 킹찍탈이 아닌 킹찍포가 유행하겠죠.(킹무성찍고포기)
15/10/19 10:17
수정 아이콘
김영삼 전 대통령의 그래프가 눈에 띄네요 흐흐흐

세대간 차이가 최근들어 유독 심한건지, 예전에도 저 정도였는지 궁금하네요.
15/10/19 10:24
수정 아이콘
희한하게 또 생활수준은 낮을수록 잘하고 있다 비율이 높고 잘못하고 있다 비율이 낮네요.
미국도 보면 생활수준이 낮을수록 공화당 지지율이 높다고 하던데 신기한 현상이에요.
이인제
15/10/19 10:41
수정 아이콘
(좀 못된 이야기일 수 있지만) 역으로, 자신의 이득에 반하는 당을 찍을 정도의 판단력 때문에 생활수준이 낮은거라 볼 수도 있겠죠.
ohmylove
15/10/19 12:06
수정 아이콘
인과관계가 반대일 수도 있죠. 생활수준이 낮아서 깊이 생각할 여유가 없다거나 아니면 교육 등을 제대로 못 받았거나.
이인제
15/10/19 12:33
수정 아이콘
네, 맞는 말씀입니다.
15/10/19 12:57
수정 아이콘
책에서 봤는데 아마 그런 내용이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nearfield
15/10/19 12:12
수정 아이콘
제가 새누리당을 싫어하는 이유는 수도 없이 많지만, 가장 불만족스러운 것은 바로 이렇게 심각한 세대갈등을 문제로 인식하지 않고 오히려 이용하기만 하는 divide and conquer 전략 때문입니다. 자기들의 집권 전략으로야 더할수 없이 효율적이겠지만, 사회 전체로 보았을때는 대단히 비생산적이고 불공정한 평형 상태가 고착화되는 거죠.
-안군-
15/10/19 12:50
수정 아이콘
치사하죠.. 사람이 더 많은 지역, 사람이 더 많은 세대만 잡으면 이길 수 있다. 어차피 50%만 넘기면 되는거니까.
키스도사
15/10/19 14:26
수정 아이콘
좋은글 잘 봤습니다.
연환전신각
15/10/19 15:03
수정 아이콘
소수의견을 가장 효율적으로 뭉개고 합리화할 수 있는 체제가 역설적으로 다수결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31454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0497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4116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9025 4
104836 [정치] '찬탄파' 보수 정치인의 현황과 미래 (한동훈 편) [47] Quantumwk907 25/08/23 907 0
104835 [일반] 케데헌은 PC 그 자체이죠. [56] 유동닉으로2805 25/08/22 2805 7
104834 [일반] "소득은 국민연금뿐, 생활비 걱정" 부동산에 묶인 노인 빈곤층 [101] 페이커754916 25/08/22 4916 12
104833 [정치] '반탄파' 김문수·장동혁 국힘 대표선거 결선 진출…26일 선출 [159] 덴드로븀5974 25/08/22 5974 0
104832 [정치] R&D 예산 35.3조로 증대, 특허청에서 지식재산처로 승격 [45] 오컬트5185 25/08/22 5185 0
104831 [일반] 숨 참기 기네스 기록 29분 3초 [44] 조조4524 25/08/22 4524 9
104830 [정치] 경찰, 김정숙 여사 '옷값 특활비 의혹' 무혐의 결론 [222] 아따따뚜르겐11134 25/08/22 11134 0
104829 [일반] 지식의 사람 차별 [8] 번개맞은씨앗2785 25/08/22 2785 1
104828 [정치] 김영환 충북도지사 현금수수 의혹 압수수색 [35] Croove9019 25/08/21 9019 0
104827 [일반] 주호민씨가 뻑가와 악플러들을 고소한 것 같습니다. [150] 짭뇨띠15989 25/08/21 15989 0
104826 [정치] 트럼프 행정부, "한국이 미국에 원전 지어달라" 제안 [76] 덴드로븀9667 25/08/21 9667 0
104825 [일반] 2만9천명의 소득세 신고를 놓친 세금어플 사건 [29] 안녕!곤8803 25/08/21 8803 25
104824 [일반] 우리는 수출을 다변화 할 수 있는 것이 맞는가? [42] 깃털달린뱀4452 25/08/21 4452 7
104823 [일반] 가정환경이 나쁜 사람은 거르라는 말에 대한 시시한 고찰 [36] 김아무개4720 25/08/21 4720 16
104822 [정치] 통일교-국힘 상황이 일본 못지 않은 것 같은데 참 조용하네요 [104] 바인랜드8387 25/08/21 8387 0
104821 [정치] 한국 원자력 발전의 원천기술에 대해 볼만한 글. [129] Restar6444 25/08/21 6444 0
104820 [정치] 조국의 사면/복권 이후 행보에 대해서 민주당이 불편한 모양이네요. [220] petrus10151 25/08/21 10151 0
104819 [정치] 전세계에 이런 원전계약 맺고 수출한 나라 없어 [30] 베라히7416 25/08/21 7416 0
104818 [정치] 법원 "尹, '바이든' 말했을 수도"‥1심 뒤집은 조정결정문 [90] 유머9696 25/08/20 969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