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5/04 15:49
부부교사로 두분합쳐 500이상 버시는데 중산층 맞는데요, 그래도 집사고 대출금에 한달이자만 300되요 -_- 꼭 그렇게 말씀하시면 어디부터가 하층인가요?
07/05/04 15:53
한달이자가 300이면 연 이자 3600, 연리 5% 잡아도 7억 2천, 담보물 인정 50% 받아도 대충 14억 이상짜리 집. 중산층 맞나요?
07/05/04 15:54
비교하는 대상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소득이 증가할수록 주위분들의 생활수준도 높아지기에 자신은 아직 중산층이라고 생각하게 되죠.
07/05/04 15:57
소득이라는게 참 웃기죠. 남의 소득을 볼 때와 자신의 소득을 볼 때가 완전 천지차이거든요...
저도 월급 80만원 받으면서 일하기 시작해서, 지금은 250이 넘어갔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여전히 쪼들리거든요. 객관적으로 보면 중산층이 맞다고 하겠지만, 스스로 느끼기에는 하층입니다;;;
07/05/04 15:59
도대체 돈을 얼마를 빌려야 이자를 300씩 내나요. 너무 아깝네요. 제 돈도 아니지만 이자로 저 돈이 들어간다는 생각을 하니 참 안타깝네요;; 말 그대로 벌어서 은행 갖다 바치는 셈..
07/05/04 16:05
돈없으면 그냥 되는데로 형편에 맞게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으로써 도대체 월이자300주고 대출은 왜 받는지 이해가 불가능 하군요.
07/05/04 16:05
한달500이면 연봉6000정도 된다면, 일반적으로 나이가 자식 두명이 대학생일 가능성도 크고 그렇다면, 일년에 학비로 2000 생활비로 2000...뭐, 딱히 넉넉한 생활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고등학생이 있다면 대학생보다 덜 들어간다고 말 할수도 없죠. 요즘엔..
07/05/04 16:14
여기에 뭐라고 중얼중얼 대도 당신들만의 생각이고 당신들만의 기준에서 판단한겁니다.
오히려 저런 헝그리 정신이 있어야 더욱 발전하는거겠지요.
07/05/04 16:15
그리고 제 부모님이 연구원 300 +
교사 300정도 버시는데 이정도면 중산층 아닌가요? 이정도가 상층이라면 그분들은 진짜 상층을 만나지 못하는 환경이나 주위사람들을 가지셨겠지요
07/05/04 16:25
푸하하하
월 수익 5000에서 1억이 중상이라면.... 한국의 1%를 제외하곤 중하....-_-;;; 월이 아니겠죠...??? ;;;;;
07/05/04 16:36
근데... 뭔가들 착각하시는 것 같은데...
연봉 1억이면... 세금이다 뭐다 다 떼고나면 실질적인 월 수입은 600 ~ 700 정도입니다;;
07/05/04 16:49
여자예비역님// 헉, 제 말은... 월 500 정도면 연봉 6000이 아니라, 사실은 연봉 7~8000 정도라는 얘기죠. 연봉 7~8000 정도면 대기업 부,차장 정도의 연봉일거 같은데... 그런 배경을 잘 모르고 막연하게 월수입만으로 보면 착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겁니다.
대기업 부/차장이 중산층이냐 상위층이냐... 로 따지고 들면 좀더 쉬울 것 같아서요 ^^;;
07/05/04 16:52
상류층이라 한다면요....
10억원 정도의 현금 자산과 그 100배이상의 부동산이 있어야 상류층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600만원이 적은 돈은 아니지만요. 의사, 법관, 교수등은 상류층이라고 말하기에는 재산이 좀 .... 월 500을 벌어도 그게 순수 이득금이라고 해도 상유층이라고 하기 힘듭니다.
07/05/04 17:00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상류층은 말 그대로 부자를 뜻합니다. 불로소득만으로도 순수익이 나고, 또 자산증식이 가능해야겠죠. 애시당초 자본주의 사회에서 상류층 소리 들으려면 그냥 잘 산다는 기준이 아니라, 최상위 1%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 들었습니다.
07/05/04 17:02
모든게 상대적이죠..이것보다 더 심한건 중고등학생에게 중위권 상위권을 물어 보면..각자 대답이 틀리죠;;
부동의 전교 1등에게 중위권 개념은 어딥니까? 라고 물으면.. 제 밑으로는 다 중위권 아닌가요 ? 아니면 못해도 반에서 3등 안에는 들어야죠.(농담)
07/05/04 17:05
아마 소득이 올라가면서 더 소득이 많은 사람들을 보게 되고(상류층으로 갈 수록 그 기울기가 심해지겠죠), 따라서 상대적 박탈감에 의해서 500만원 버는 사람도 하층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죠. 자기 주변 사람들이 2000만원씩 벌면 말입니다.
그리고 일부러 저소득이라고 답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제가 공익요원으로 저소득 신청 관련 서류를 검토하고 책정하는 일을 했었는데, 심지어 한 달 소득이 1,800만원인 분도 (신고금액은 500만원, 전산조사 결과 1800만원) 저소득층이라고 복지 지원금 신청을 하시는 분도 있었습니다. 재산도 부동산 공시지가로만 10억이 넘던 분이었는데.. 좀 극단적인 예이긴 하지만 말입니다. 그리고 현재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 혜택에서의 저소득층 기준은 월 소득 330~360만원 이하를 전부 저소득이라고 보고 있더군요.
07/05/04 17:18
최근에 자산관리나 투자관련 책들보면, 60세정도에 금융자산 10억~12억 정도는 가지고 있어야 노후보장이 된다. 그것도 최소조건이라는... 10권보면 10권다 그렇더군요. 저정도 금액이 최소생활조건이라면,.. 하층이라는 말인데,.. 그렇게 계산해보면 30대 기준으로 월수입 500정도(순수익300정도)가 하층이라는 말이되죠. 책에 따르면,^^;
07/05/04 19:49
상류층에 대해 쉽게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 제가 강남살고 있는데.. 교회 아줌마가 그러드라고요. 강남에서 좀 산다는 소리 들을려면 번듯한 집 20억 정도에 현금 50억 정도 보유하면 좀 산다고 인정해준다고요. 이런게 바로 상류층이죠. 연봉 1억도 안되면 당연히 중산층입니다.
07/05/04 21:51
지하생활자님을 댓글에서 많이보는데, 은근히 낚는 댓글을 많이 쓰는군요. 사람을 툭툭 건드리는...질이 굉장히 안 좋은 사람같습니다. 이제 그만하세요.
07/05/04 22:57
제가 생각하는 소득계층
상류층 : 일을 안해도 하고 싶은거 다 할 수 있다. 중산층 : 일을 안해도 먹고 살수는 있지만, 하고 싶은 걸 할 수가 없다. 서민층 : 일을 안하면 먹고 살기 힘들다. 하류층 : 일을 해도 먹고 살기 힘들다. 아직 솔로라 일하면서 먹고 살기 힘들지는 않지만, 딸린 식구가 생기면 일해도 먹고 살기 힘들 것 같아요. ㅠ_ㅠ
07/05/05 04:46
중산층의 대한 개념을 잡아야죠.
만약 30대에 월 500이상이면 그건 상류층에 가까울 수 있겠지만 나이 5~60대에 월 500이상은 이제 일할 수 있는 시기가 길어야 10년남짓이고 그에 따른 수익도 한계가 있기에 중산층에 속해야할 거 같네요.
07/05/05 08:18
홍승식님//
중산층 : 일을 하면 먹고 살고, 원하는걸 할 수 있다. 서민층 : 일을 하면 먹고 살기에 지장은 없지만, 원하는것을 하는데에는 제약이 있다. 정도는 어떨까요...?? 흔히 말하는 의사, 변호사들도 일을 하니 풍족한 것일 테니까요
07/05/05 10:24
..?? 상류층이라고 하면 특별한 노력 없이 쌓아놓은 명성과 재산만으로도 매우 풍족하게 살 수 있는 경우만 들어가는 것 아닌가요(그런 의미에서 저는 웬만한 의사들도 상류층으로는 안 여깁니다만..).. 전 항상 그렇게 생각해 왔는데요 -0-
다들 기준이 너무 다른 것 같아요;;; 뭐, 그렇다고 저희 집이 잘 산다는 건 절대 아닙니다. 저희집은 중산층도 좀 그렇고 서민층이거든요. 다만 기준을 높게 잡고 높게 볼 뿐입니다. 결국 위에 싸우시는 분들도 기준이 달라서 싸우시는 것 같네요.
07/05/05 10:34
제가 생각하는 중산층은 월 소득 천만에 48평 이상 아파트라고 생각하는정도??
저는 어떻게 하면 중산층이 될 수 있을까요.. ;ㅁ ;
07/05/05 13:43
중간층 개념은 가장 많이 버는 사람하고 가장 적게 버는 사람 소득평균의 0.5배~1.5배의 소득을 갖는 사람들로 알고 있습니다. 이것도 나라마다 다르긴한데. OECD(?) 기준이 그렇다던가.. 딱히 감이 오진 않죠..
지출과 소득비율로 정하기도 하나본데. 아마 2.5배에서 3배일껍니다.. 이건 감이 좀 오네요. 엄청 잘버는 사람들이 중산층인겁니다.
07/05/06 15:29
전 상류층 친구를 알고있는데 그 애를 보면서 상류층의 정의를 알곤 합니다.. 원하면 뭐든 가질 수 있다. 제약이 있다면 법..;;; 정도? 집값만 50억이다... 물려받을 재산이 몇백억이다.. 정도 되면 사회 상류층에 속하는 거 같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