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24 10:2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282502
[무안공항 참사 ① '셀프 조사' 구조가 낳은 불신의 고리] 2025.08.09. 근거 자료 요구에 취소된 사조위 발표…남은 건 혼란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282608 [무안공항 참사② 30년 경력 미 NTSB 전문가의 시선] 2025.08.10. "콘크리트 둔덕은 안전상 결함…이해할 수 없어" "분석·판단 공개는 금물…핵심은 소통, 정보는 숨김없이 공개" "같은 식구끼리 망신 주지 말아 달라? 정부 상대 두려움 없어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284294 [무안공항 참사③ NTSB 전 위원장이 말하는 '독립된 조사'의 조건] 2025.08.16. "조사 대상과 이해관계 없어야…결론 편향 가능성" "활주로 주변 구조물, 반드시 쉽게 파손돼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286404 [무안공항 참사④ 전 NTSB 수석조사관 "독립성 보장돼야 진실 밝힌다"] 2025.08.24. "콘크리트 둔덕, 아직 존재한다는 사실에 놀라…없었으면 피해 훨씬 적었을 것" "독립성 보장돼야 진실 밝힐 수 있어…정부 상대 조사할 수 있어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293280 [무안공항 참사⑤ "조종사가 껐다?" 비공개 설명회서 사과한 항철위] 2025.09.17. "IDG, 조종사가 껐다"더니…"충분히 조사되지 못하고 설명된 측면 있어" 12월 중간 보고서 발표…"콘크리트 둔덕 용역 완료, 보완 중"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25321?sid=102 [단독 - 무안공항 ‘콘크리트 둔덕’ 없앨 세 번의 기회…정부 묵살로 날렸다] 2025.08.26. (조선일보) 관련 기사들입니다. 어처구니없는 콘크리트 둔덕 덕분에 179명이라는 엄청난 사망자가 발생했는데도 참 조용하죠...
25/09/24 12:15
둔덕 문제는 당연히 심각하지만, 일단 엔진 2개가 다 꺼진 원인부터 밝혀야겠죠.
사고 원인: 엔진이 2개 다 꺼짐 피해가 커진 이유: 콘크리트 둔덕 물론 착륙 시 속도가 높아서 둔덕이 없었어도 벽 뚫고 나가서 외부 건물에 충돌했을거란 말도 있긴 하지만 그래도 생존자가 더 나왔을 수도 있으니...
+ 25/09/24 13:02
(수정됨) 제생각은 좀 다릅니다.
사고를 추락으로 정의하면. 사고원인이 엔진 2개다 꺼짐(혹은 조류/조종사실수) 로 가지만, 사고를 분리해서 사망사고(or대형참사)와 추락사고로 분리하면, 사망사고의 원인은 둔덕밖에 안남습니다. 저는 그래서 두 사고를 별도로 조사해야 하며 , 그 둘중에 뭐부터 밝혀야 한다는 건 프레임이라고 생각합니다. 둘은 별개의 사건이에요. 이 추락사고가 조종사 실수건, 항공사 정비 실수건, 아니면 공항측의 조류관리 실수건, 혹은 무리한 국제노선 취항이 원인이건 뭐건간에, 둔덕 이슈는 별도로 오롯이 남고 남아야하고 개선해야하고 처벌해야 합니다.
25/09/24 10:27
어짜피 12월에 발표하나 지금 발표하나 결과는 비슷할텐데 뭐할려고 미루는지 모르겠네요.
국내에서 단독으로 조사하는것도 아니고, 셧다운되기 전까지 블박기록 다 남아 있는 상황에서요
25/09/24 10:33
그런데 보통은 제주항공 2216편 사고 라던가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라던가 하는 명칭을 쓰지 않아요?
사고자체는 무안공항이 가지는 구조적인 문제가 매우 큰 팩터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만 일반적인 항공사고의 명명 관행을 생각해보면 이걸 '무안공항 사고' 라고 명명하는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해요.
25/09/24 10:48
공식 명칭은 당연히 제주항공을 써야하지만 이번 사고에서 [무안공항의 콘크리트 둔덕]이 워낙 치명적이다보니
[무안공항] 을 메인으로 잡는걸 막기는 힘들다고 봅니다.
25/09/24 10:51
222 일반적으로 공항에서 비행기사고가 일어났다고 공항을 장기간 폐쇄하진 않는데
무안공항은 사고이후 지금까지 폐쇄상태인거만 봐도 사고에서 공항의 책임이 다른 비행기 사고보다 엄청나게 크다고 봐야죠.
25/09/24 11:06
그것보단 그냥 장기간 폐쇄해도 정치적 부담이 적으니까요. 똑같은 원인으로 사고났어도 인천공항 같으면 둔덕 밀던 뭐던 해버리고 최대한 빨리 열려 했을걸요.
25/09/24 10:57
저도 무안공항의 구조적인 문제가 참사에 가장 큰 영향을 줬다고 생각하는 편이지만 항공사고라는 특수성을 생각하면 최소 병기는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25/09/24 12:10
공식명칭은 펠리컨님 의견이 맞습니다. 위에 말씀해주신 내용들 같은 이유도 있고 아시아나 샌프란시스코 착륙이나 허드슨강의 기적같이 지명으로 사건을 지칭하는것 또한 비공식적인 관행이니 커뮤니티에서 '절대 쓰면 안 되는, 옳지 않은' 행동으로 보기는 살짝 어렵지 않나 생각되네요.
25/09/24 10:48
항공사고가 원래 규명 조사 오래 걸리는 것은 알고 있어서 기다리고 있지만은,
솔직히 사고 이후에 온갖 음모론 떠들면서 퍼뜨리는 인간들 많아서 굉장히 눈살 찌푸려지더군요. 그런 것들 때문에 오히려 제대로 된 관심과 조사가 어려워지는 부분도 있었을 것 같습니다. 인내심 가지고 끝까지 잊지 않고 조사 결과 기다려주는게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 25/09/24 12:26
이건 정치적인걸 떠나 제대로 진상 조사가 되었으면 합니다. 항공 사고라 어차피 해외 조사단이 같이 하는 거라 걱정은 크게 안되지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