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9/05 11:51:36
Name 프뤼륑뤼륑
Subject [일반] 사는데 대단한 무언가가 필요하진 않아요.
아래 올라온 글을 보고 오랜 생각을 짧게 적어보고 싶어졌습니다.

살아있다는 것은, 먹고 자고 싼다는 거죠.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건 특별한 동기나 목적이 아니라, 충실히 먹고 자고 싸는 것입니다.

디오게네스는 스스로를 개에 비유하곤 했습니다. 자신의 본성적 욕망에 충실하는 것이 진실된 삶이라 보았죠.

플라톤이 책상을 보며 저 곳에 책상의 이데아가 있다 말하자, 내 눈에 보이는 것은 책상뿐이라 말했던 일화는 유명합니다.

동기나 목적이 삶에 풍요를 더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행복한 삶을 위해서 반드시 동기나 목적이 필요하다는 말은 거짓입니다.

추구해야 할 것이 없기에 삶이 공허한 것이 아니라,

삶이 공허하기에 추구해야 할 것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경우도 많습니다. (삶이 공허해지는 이유는, 꼭 자신에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에 동의하실 분들도, 동의하지 않을 분들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모두가 행복한 삶을 살길 바라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포도씨
25/09/05 12:16
수정 아이콘
자고, 먹고, 쌀 수 있다는 것만으로 만족하고 행복하다면 동기나 목적이 필요하지 않겠지만 절대 다수는 그렇지 않기에 추구해야하는 가치에 따라 움직이는 것 아니겠습니까? 추구하는 것이 적어질 수록 쉽게 행복에 이를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니 무소유를 실천하거나 걸인으로 사는 이유를 이해할 순 있으나 적어도 저는 월요일 정체에 투덜거리며 출근을 하더라도 원하는 것들을 이뤄가는게 행복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끊임없는 동기부여나 영원히 이룰 수 없는 목표를 추구하는것은 지양해야겠죠.
25/09/05 12:16
수정 아이콘
요새 저에게는 많이 와닿는 글이네요.

감사합니다.
프뤼륑뤼륑
25/09/05 12:42
수정 아이콘
저도 감사해요
25/09/05 12:21
수정 아이콘
육체는 괴로운 것인데, 즐거움이 없는 것은 아니다.
괴로움을 잊기 위해서 즐거움을 추구하니,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없구나....
오늘 드는 생각인데 비슷하면서 아닌듯합니다. 글 읽고 생각을 정리해봤습니다.
프뤼륑뤼륑
25/09/05 12:42
수정 아이콘
허무하죠.
페스티
25/09/05 12:28
수정 아이콘
욕구계층이론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프뤼륑뤼륑
25/09/05 12:40
수정 아이콘
라캉, 베르그송, 푸코, 데리다
아만보

말좀 예쁘게해요 이사람아
안군시대
25/09/05 12:40
수정 아이콘
유아기를 벗어나고 자아가 비대해지기 시작하면서 사춘기를 맞이하면, 세상이 자신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듯한 착각에 빠질 때가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중2병"이라고 부르죠. 꼭 중2병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더라도, 자신의 선택과 행동이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는 건 나쁜 일 만은 아니라고 봅니다.
나이가 들어도 조금은 이 때의 마음을 간직하고 사는 게, 삶의 허전함을 덜어낼 수 있는 방법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프뤼륑뤼륑
25/09/05 12:41
수정 아이콘
인간은 약하니까요. 어느정도는 어쩔수 없지 싶어요.
솔로몬의악몽
25/09/05 12:56
수정 아이콘
보통 기업의 목표를 뭐냐 묻는다면 '이윤'이라고 답하는 경우가 많을겁니다.
근데 이 기업의 목표가 이윤이라는 말을 사람으로 치환시키면 사람의 목표는 '먹고 사는 것이다'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더라고요.
물론 기업이 사회의 개선, 구성원 복리의 증진 등등 더 많은 목표를 추구하면 더 좋겠지만, 그러지 않는 (혹은 못하는) 기업들도 많잖아요.
그럼 사람들도 사회에 대한 기여, 더 많은 지식 등등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면 물론 좋겠지만, 꼭 그럴 필요가 있을까. 사람은 그냥 먹고 사는 것만으로도 평균은 해내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솔직히 저는 그렇게 살고 싶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그런 삶을 산다고 하여 비난이나 조소, 동정 등 하여간의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을 필요가 있을까 싶습니다.
썬콜and아델
25/09/05 13:03
수정 아이콘
아둥바둥 살지 말라는 이야기가 계속 나오지만, 정작 가족들이 그렇게 살도록 내버려두지 않으니 문제지요.
짭뇨띠
25/09/05 13:05
수정 아이콘
"살면 살아져. 그게 인생 아니겠니"
드라마 대사가 생각납니다
인간실격
25/09/05 13:12
수정 아이콘
여기에 관련글 댓글화하라는 댓글이 나와야 진짜 삶인데 크크크

행복이 어떻게 보면 참 어렵고 어떻게 보면 간단한 것 같고 해서 요즘은 하루하루 즐길 수 있는거 다 즐기면서 살고 있네요. 진짜 행복이 뭔진 아직도 모르겠지만 그래도 행복한 하루가 모이고 쌓여서 행복한 인생이 되는 거 아닐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25/09/05 13:17
수정 아이콘
허무주의와 냉소주의는 인생에 하등 도움이 안됩니다.
배고픈유학생
25/09/05 14: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본문은 냉소주의와 허무주의만을 말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25/09/05 14:52
수정 아이콘
본문을 얘기한건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날 힘들게 했던걸 쓴건데, 지금 보니 쌩뚱맞긴 하네요.
퀵소희
25/09/05 13:22
수정 아이콘
그냥 사는거지 뭘 그리 철학적이어야되고 의미부여한답니까. 살다보면 의미 목적 생기는거 아닐지. 아님 말구요
김치와라면
25/09/05 13:46
수정 아이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25/09/05 16:10
수정 아이콘
이건 사람마다 너무나 다릅니다.
벌점받는사람바보
25/09/05 17:59
수정 아이콘
타고난 욕망을 사회 속에서 무리가 되지 않는 어느 정도에서 이루고
싫어하는것을 늘리지 않도록 노력하고
고통도 너무 심하지만 않으면 받아 들이면서
사는게 행복에 대한 생각입니다.
의도 적으로 극혐 이라는 단어나 생각을 조심할려고 노력해요
할러퀸
25/09/05 18:08
수정 아이콘
'대단한'건 필요치 않아도 '무언가'는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영원히하얀계곡
25/09/05 18:40
수정 아이콘
어디서 잠깐 봤던건데 출처는 모르겠고,
조사해보니 가장 사람들이 많이 가지고 있는 행복에 대한 이미지가
그냥 좋아하는 사람(들)과 맛있는 식사를 가지는 겁니다.

행복에 먹는게 중요하죠.
아빠는외계인
25/09/05 19:46
수정 아이콘
사람들이 가지고있는 이미지를 조사한게 아니라, 행복에 관해 요구한 교수님이 행복의 중요요소들을 모아서 이미지화 시킨 장면이 그거였을 거에요
25/09/05 19: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추구해야 할 것이 없기에 삶이 공허한 것이 아니라,
삶이 공허하기에 추구해야 할 것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말은 결국 결국 추구해야 공허함이 덜해진다로 들리기는 하는데 말입니다.
25/09/05 20:44
수정 아이콘
저도 그저 편하게 살고싶은게 소원인데 그걸 평생 유지하려면 제가 경제적 자유는 없으니 결국 하고싶지 않고 하고싶더라도 권태에 빠질수없는 뻔한 일상을 받아들일수밖에 없죠. 주 4일제만 되도 이런부분이 나아질것같긴 합니다. 5/2와 4/3의 무게감은 확실히 다르니 3을 내가 하고싶은쪽에 투자한다면 그런 번아웃같은 부분이 줄어들것같다고 보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924 [정치] 건진법사 관봉권 띠지 분실 청문회, 수사관 태도 논란 외 [25] 빼사스2268 25/09/06 2268 0
104923 [정치] 진영 논리에 절여진 보수 유권자를 '소극적 지지'로 돌아서게 한 이재명의 장점들 [25] Quantumwk2088 25/09/05 2088 0
104922 [일반] 파인애플 피자 논쟁 [7] 유동닉으로1767 25/09/05 1767 0
104921 [정치] 조국혁신당 당내 성폭력 문제 [92] 짭뇨띠5248 25/09/05 5248 0
104920 [일반] 아내 이야기 12 [9] 소이밀크러버2997 25/09/05 2997 18
104919 [일반] 사는데 대단한 무언가가 필요하진 않아요. [25] 프뤼륑뤼륑5753 25/09/05 5753 20
104918 [일반] 자고일어나니 90만원 결제.... 공통점은 광명, KT? [20] 유머6695 25/09/05 6695 3
104917 [일반] 슈카가 빵집 IPO 관련해서 비판을 받고 있는 이유 [309] 돌기름14948 25/09/05 14948 43
104916 [일반] 무엇을 위해 살아있는지 모르겠다. [42] 깃털달린뱀6862 25/09/04 6862 11
104914 [정치] 尹정부 때 삭제된 자유총연맹 '정치중립' 정관 2년만 부활 [59] 유머9769 25/09/04 9769 0
104913 [일반] 뒤틀린 황천의 호그와트, 웬즈데이 시즌2 감상 (스포유) [3] 날굴~4150 25/09/04 4150 1
104912 [정치] 나경원 "초선은 가만 있어" 그 이후 / 멈추지 않는 추나대전 [112] Davi4ever9669 25/09/04 9669 0
104911 [정치] 심우정 검찰총장이 계엄 직후 떡값을 3억원 넘게 뿌렸네요... [33] 네야7702 25/09/04 7702 0
104910 [일반] 아침에 목격한 자전거 사고 [32] 수리검6626 25/09/04 6626 4
104909 [일반] 데이터로 파헤친 한국 빵 값이 아시아 최고인 진짜 이유 [145] 예루리15855 25/09/04 15855 112
104908 [일반] 한참 뒤늦은 케데헌 후기. [23] aDayInTheLife4751 25/09/03 4751 2
104907 [일반] 한국 여자골프의 몰락과 일본의 굴기 [54] 無欲則剛11808 25/09/03 11808 8
104906 [일반] 66년만에 한 자리에 모인 북중러 정상 [92] Davi4ever14592 25/09/03 14592 6
104905 [일반] 유행지난 귀칼후기 [34] seotaiji9588 25/09/02 9588 0
104904 [일반] 무인판매점 도난 관련 제가 본 케이스 [89] 슬로11005 25/09/02 11005 11
104903 [일반] 210번째 짧은 생각 [10] 번개맞은씨앗5875 25/09/02 5875 1
104902 [정치] 현대사회에서 다시 조망되는 남성위기의 문제. [94] Restar11412 25/09/02 11412 0
104901 [일반] 제프 딕슨: 우리시대의 역설 [5] onDemand4034 25/09/02 4034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