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05 19:56
잘 봤습니다.
[월즈와 MSI 우승점수 차이는 3배면 되겠거니 하고 계산해봤는데 너무 월즈망겜이 되서 2배로 바꿨습니다.] 이런 류의 2차 스탯 점수는 결국 이 부분이 핵심 아닌가 싶습니다. 누군가는 3배여도 월즈 망겜이 맞다, 누군가는 2배도 많다 할테니까요. 결국 만든 사람이 생각하는 기준에 맞는 점수가 될거고, 그러면 어떻게 줄을 세워도 그냥 만든 사람이 생각하는 순서로 줄을 서겠죠.
25/08/05 20:09
FST MSI와 월즈간의 격차야 이해합니다만 EWC는 격을 내리기는 근거가 빈약하지 않나싶습니다. 뭐 그래도 티원의 커리어 하이가 변함이 없을거라는건 무섭기도 하네요.
+ 25/08/05 22:42
EWC는 역사를 봐도 정통성을 봐도 대회 운영하는걸 봐도 아직은 좀 멀었다고 봅니다. 내세울것은 상금뿐인데... FST랑 동듭 정도면 작성자님이 후했다고 보네요
25/08/05 20:50
(수정됨) 쵸비선수가 8년차인데,
저 24점 중 24-25년에 쌓은 점수가 17점입니다. 작년 이 시기에 조사했다고 하면, 이 이후에 월즈 4강, MSI 1회 우승, EWC 우승이니 13점이었을 거라고 생각해보시면 LCK 명성에 비해서는 빈약한 점수였을 겁니다. 작년부터 혈을 뚫어서 국제전 새가슴 이야기는 없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25/08/05 21:46
FST는 올해부터 라이엇 공식대회라서요. 골든로드에도 FST가 포함된다고 하네요.
EWC는 고민 많이 해봤는데요. 앞으로도 쭉 열릴거같고 상금규모나 참가팀이나 MSI와 동일하지만 공식전은 아니라서 일단 FST와 동급이라고 설정했습니다.
+ 25/08/05 22:34
국제전 우승에 아시안 게임 정도는 포함되어도 좋을것 같다는 생각이네요 EWC도 3점이나 받는다면...
옛날 고대의 IEM 같은 대회는 당시 위상이 꽤 있었는데 아쉽네요
+ 25/08/05 23:34
구 msi랑 22 이후 msi 구분해보는건 어떨까요
구 msi는 지금 fst와 비슷해 보이고 뉴 msi는 참가팀이 확대되서 준월즈 느낌이거든요
+ 25/08/05 23:59
점수기준은 사람마다 다 다를거라 글쓴분 의견 존중합니다.
꽤 손이 갔을 것 같은데 잘 볼게요 보면서 느낀점은 역시나 탑이 계속해서 춘추전국시대였다는 점이네요. 이제 2연패를 해서 확 올라온 제우스를 제외하면 2위 3위도 지금 커리어적으로 전성기인 선수들인걸 감안하면요 더불어서 페이커가 그냥 단단히 자리잡고 있어서 그렇지 미드도 페이커 제외하면 다들 점수가 높지 않네요. 물론 이건 한사람이 점수 다 빨아먹어서 전체적으로 낮은걸 생각하면 탑이랑은 또 다른..
+ 25/08/06 06:29
30개도 안달린 댓글만 봐도
EWC가 더 높아야한다 낮아야한다 없어야한다 MSI가 더 낮아야한다 옛날이랑 구분해야한다. FST는 빼야한다 등 의견이 워낙 다양해서 모두가 만족할만한 가중치야 어차피 만들어지는게 불가능한데다가 이상하게 날선사람들도 있어서 참 좋은 마음에 만들었는데 속상할수도 있을것 같아요 이 사이트에 이러면서 점점 글쓰는 사람들이 없어지고 부담스러워하는것 같아요 다음에 월즈 끝나고 꼭 업데이트 되길 바랍니다
+ 25/08/06 00:55
페이커 선수의 팬은 아니지만 그냥 롤판에서 가장 위대한 선수라고 생각은 하는 정도였는데
와 진짜 비꼬는 의미 없이 진짜 대상혁이고 고트긴 하네요 알고는 있었지만...덜덜
+ 25/08/06 01:43
리그 우승이랑 토너먼트에서 8강 4강의 느낌이 전혀 다른데 너무 고려를 안한 느낌인데 '제가 그렇게 생각하니까 그런줄 아세요.' 라고 하시는거보면 의미없는 의견개진이겠네요.
+ 25/08/06 05:46
그런 의도였으면 월즈우승 점수 비중을 더 늘리지 않았을까요? 샤오후선수가 msi 3회 우승을 했는데 월즈 1회 우승한 루도스 라인과 동급으로 여겨지는걸 보면 사실 2배도 적다고 생각하는데요. 리그 우승도 3번인가밖에 차이 안나서 월즈 8강 msi 4강 점수 빼고 리그를 반영해도 그 점수가 그 점수일텐데요. 어차피 키배로 갈거같아서 대충 끊은걸 몇주가 지나서 다시 가져오는게 황당하네요. 예 캐니언 선수가 최고네요. 이제 그만 하시죠.
+ 25/08/06 07:07
(수정됨) 네? 저는 캐니언선수 팬도 아닌데요? 그리고 제가 쏘렌토님 글 혹은 댓글에 댓다는것도 처음이예요. 어짜피 이 표는 님이 만드신거니 쏘렌토님 맘대로일텐데요. 저는 pgr 눈팅 99.9%인데 예전에 읽은 글중에 인상적인 논리적 전개를 하는 댓글들이라 기억나서 가져온거예요. 완전히 다른 주제도 아니고 충분히 연결될만한 주제라고 생각해서요.
+ 25/08/06 07:18
'국제전 성적을 점수로 환산한 커리어랭킹을 만들어봤습니다.' 여기에서 커리어 랭킹이 여러개가 있을수 있는데, 그중 그냥 성적중에 국제전만 고려해서 반영했습니다. - 이런 느낌이라면 그냥 그런가보다 했을거예요.
그런데 본문의 뉘앙스는 커리어랭킹을 줄세울텐데 그중에서 리그는 별의미없으니 제외하겠다. 이런 느낌이라서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댓 달아봤어요
+ 25/08/06 08:10
Lck 5회 우승과 LJL 5회 우승이 똑같지 않잖아요? 그래서 리그 우승은 뺀겁니다. 어차피 모든우승팀이 msi와 월즈에 오니까요. 거기서 하위단계에 점수를 주면 리그간 편차도 걸러지니 상관없다고 생각했습니다.
+ 25/08/06 08:06
월즈 우승점수 비중을 최대한 줄이고 월즈8강점수 2번 점수도 캐니언선수는 추가로 더해졌는데 이게 오너를 위한 글이라고요? 오히려 캐니언선수 쪽으로 편파적인게 아니냐 말을 들어도 할말없을거 같은데요.
+ 25/08/06 08:07
오너를 캐니언 위로 놓으려고
월즈 가중치를 많이 주니까 뱅기가 너무 올라와서 서브 구실로 점수 일부분 빼버리고 LCK 넣으니까 캐니언이 위로 올라가니까 아예 배제해버리고... 마찬가지로 LCK 까지 넣으면 벵기 국제전 점수를 자의로 깎았음에도 불구하고 오너 위로 올라가버리니까 그냥 리그끼리 수준이 다르다는 구실로 아예 리그 점수를 빼버리고 크크 이거 기준으로 하다보니까 다른 포지션 순서가 이상하게 뒤섞여 버린...
+ 25/08/06 08:12
윗 댓글에도 적었듯이 월즈 우승점수를 낮추고 월즈 8강 점수도 있는건 오히려 캐니언선수에게 유리한 배점인데요. 자꾸 의도를 찾으시는데 제 순수한 호기심으로 만든 자료를 자꾸 곡해하시네요.
+ 25/08/06 06:04
올해 월즈가 끝나면 업데이트해서 다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위권은 1~2점씩 차이밖에 안나서 올해 월즈 결과에 따라 순위 지각변동이 클거 같네요.
+ 25/08/06 08:12
그냥 복잡하게 계산할 필요 없이 월즈 우승은 1. MSI 우승은 0.5.
이렇게만 계산해도 지금 이 순위 그대로 나올 것 같은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