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1/08 01:55:01
Name 다크포스
Subject [프로리그확대] 벌써 기업의 논리에 지배될 시기는 아니다.!!
밑에 sylent님의 글에 200% 동의하며, 저도 한마디 올리려고 합니다.

e-sports가 출범한지도 이제 7년이 지나고, 굴지의 정보통신 업체들의 참여 속에서 프로리그가 출범했습니다. 프로리그는 개인리그로 출발한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을 매개로 하여 하나의 완결된 프로스포츠 리그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하나의 혁명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쾌거였다고 생각합니다.

프로리그의 출범 덕에 야인으로 전전하던 감독들도 둥지를 틀게 되었고, e-sports를 젊은 아이들의 일탈의 공간으로 여기던 사회적 풍토도 많이 바뀌었으며, 시청자들에게 새로운 컨덴츠를 제공하는 등 많은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면에도 불구하고 프로리그를 둘러싸고 여러 가지 부작용도 많이 발생했습니다. 온게임넷의 경우 프로리그로 인해 스타리그 전체적인 시청률 하락이 있었고 MBCGame은 팀리그가 사라지면서 컨덴츠의 다양함이 떨어지게 되었으며, 일부 프로팀의 경우 과도하게 프로리그 중심으로 팀을 운영하여, 특정 선수들의 개인리그 성적이 동반 하락하고, 맵 밸런스에 따라 동족전이 자주 열리게되는 등 어두운 그림자 역시 계속해서 넓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제는 이러한 '프로리그'의 발전 방향에 대해 냉정하게 고민해볼 시기가 되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또한 이러한 고민은 소위 협회만이 아니라 e-sports를 걱정하는 모든 사람들의 참여 속에서 결정되어야 한다고 감히 주장하는 바 입니다.

이른바 협회에서 추진하는 '프로리그 경기 수 대폭 확대 정책'은 협회 주도의 파쇼적인 결정이 아닐 수 없습니다. 저는 이러한 방침을 아직 설익은 감을 단번에 따려는 무모한 시도라고 감히 정의해봅니다.

먼저 확대를 옹호하는 논리로서  homy님이 지적한 경기 수가 적다는 문제에 대해서 프로스포츠의 발전 과정을 빗대어 설명하려 합니다.

야구나 농구, 축구들이 프로스포츠가 되어 자리잡는데에는 경기 수의 증가 보다는 인프라의 증가가 선행되어 왔습니다. 이른바 선수층이 늘어나고 이를 통해 보다 다양화되고 박진감있는 경기를 선호하는 관중이 늘어나면서 팀의 수가 확대되고 이를 통해 경기 수까지 확대되는 결과가 이루어진 것입니다.
현재 프로리그의 경우 올 해를 기점으로 전부 스폰서가 있는 기업팀으로 자리잡게 되었다는 점은 큰 변화라고 할 수 있지만, 전체적인 선수의 숫자나 팀의 숫자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고, 이번 후기리그가 이변 속에서 치러지고 있다고는 하나, 아직은 팀별 선수층의 실력차이는 어느정도 존재한다고 할 수 밖에 없습니다. (T1, CJ가 가장 안전한 전력을 보유함)

이 상황에서 리그의 경기 수를 대폭 확대하면 아직 팀의 전력이 튼튼하지 않은 팀은 핵심 원투 펀치를 과도하게 출전시켜 선수 생명을 단축시키게 만드는 결과를 낳게 될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게임 특성상 전략 전술 및 스타일이 노출되면 상대적으로 버티기 힘든 메커니즘을 생각할 때 특정 선수의 과도한 출전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지루감을 야기할 뿐더러 선수 개인에게도 선수 생명을 단축시키는 지름길이 될 것입니다.

즉 이는 프로리그를 통해 연봉을 준 선수들에 대해서 최대한 빨리 본전을 뽑겠다는 기업의 입장이 강제되어 있는 것인데, 저는 지금의 시기가 아직 열매를 따 먹을 시기는 아니라고 지적하고 싶습니다. 더우기 이러한 방침은 장기적으로 볼 때 개인리그를 아예 폐지하고 프로리그 중심의 수익모델로 생존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는 것인데, 이 역시 위험한 발상이 아닐 수 없습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꼭 하나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이 가진 본질적이 특징이 바로 그것입니다. 스타크래프트는 농구, 축구, 야구와 같이 단체스포츠는 아니지요. 스타크래프트는 장기나 바둑, 골프처럼 1인 경기에 가까우며, 프로리그는 사실 이러한 1인 경기에 팀을 도입해 부분적으로 단체전을 도입한 케이스(바둑, 장기도 국가별 단체전이 있지요.)라고 보는 것이 정확할 것입니다.

이러한 스포츠의 경우 팀리그도 존재는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리그이며 한 개인의 영웅적인 승리에 대부분 열광하게 됩니다. 우리가 임요환 선수에 열광했던 것은 그가 SKT1의 리더라서가 아니라, 그가 최고의 개인리그의 영웅이었기 때문이며 오히려 SKT1은 이러한 황제 임요환 선수가 주장인 팀이었기 때문에 엄청난 팬을 갖게 된 것입니다.

올 해 광안리의 흥행이 생각보다 저조했던 점이나 온게임넷에서 스타리그와 프로리그의 시청률의 차이가 많이 나는 점, 최근 관객이 열광했던 경기의 상당 수는 개인리그에서 나오고 있다는 점, 스타리그가 갖고 있는 게임의 특성 등을 고려할 때 프로리그는 어디까지나 개인리그의 보조일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만약 지금 상황에서 급격하게 프로리그를 늘린다면, 오히려 프로리그 한 경기 한 경기에 대한 시청자들의 집중력이 현저하게 떨어져서 전체 프로리그라는 큰 판이 시청자들에 외면받는사태가 발생할지도 모릅니다.

사실 저와 같은 직장인의 경우 프로리그를 다 챙겨보는 것은 정말로 어려운 일입니다. 스타리그와 MSL 두 가지만을 보기도 버겨운 사람들이 많이 있는데, 이들에게 매일 열리는 프로리그까지 들이미는 것은 스타경기 전체에 대한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을 것입니다.

homy님이 말씀하신 녹화방송 이야기는 더더욱 이러한 분위기를 부채질하게 만들 것입니다. 프로리그 사이트에 즐비한 VOD를 보고 시청자들은 자신이 보고 싶은 경기도 못찾고 순위에 대한 관심도 잃은 채 프로리그에 질려 떠나게 될 것입니다.

이른바 고액 연봉자들인 그들을 최대한 많이 써먹어야 한다는 논리 역시 상당히 위험합니다. 현재 프로게이머들은 20대초반 군입대 하기 전까지 3-5년을 벌어 평생을 살아갈 밑천을 모아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이들이 뚫고 온 경쟁 구도를 생각할 때 3천만원의 돈은 그리 큰 돈은 아닙니다. 경기 수로 그들의 노동을 측정하는 것 역시 올바르지 않습니다. 이들이 한 게임의 멋진 경기를 준비하기 위해 몇백경기를 한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이들에게 지나치게 많은 경기를 치르게 해서 자신만의 전략과 약점을 노출시키게 하는 것은 착취나 다름이 없는 것입니다.

게임이 많아지면 새로운 선수들이 많이 등장할거다라는 낙관적인 전망 역시 위험합니다. 현재 프로팀들의 연습생들의 실력은 한계가 있습니다. 이들을 다 투입하면 관객들이 수준낮은 경기를 볼 확률이 높아지고 이는 프로리그에 대한 외면을 초래할 것입니다.

오히려 스타크래프트 리그의 현재 상황은 보다 많은 컨덴츠를 늘려 보는 이들에게 다양한 즐거움을 선사하고 선택하게 만드는 것이 필요하며 좀 더 많은 게이머를 발굴하는 구조를 만들어(르까프처럼) 인프라를 확산시키는 것이 중요하지 프로리그라는 미완성의 빵을 두배로 늘려 억지로 시청자에게 들이미는 것이 능사는 아닐 것입니다.

투자를 한지 2년도 채 안되어 벌써 단감을 따먹으려고 손을 벌리고 있는 협회와 기업의 논리를 보면 정말로 걱정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수익 모델이라는 입장에서 기업의 논리에만 입각하여 스타리그 전체를 지배하는 것은, 어쩌면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채 한미FTA 협상에 뛰어들어 이것만이 살길이라고 외치는 현 정부의 모습과도 비슷합니다.

투자한 기업들이 2-3년의 투자 효과가 없다고 대거 철수하는 모습이 무서워서 이들에게 스타리그의 생명을 넘겨준다면, 우리는 분명 후회할 날이 올 것입니다.

프로리그 경기의 무책임한 확대, 우리는 기필코 막아내야 할 것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1/08 01:59
수정 아이콘
모르겠습니다 스타크래프트가 e-sports로 발전하려면 분명 언젠가는 "프로리그"만이 남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 그렇다는 것입니다. 자세한 이야기가 머릿속에서 떠돌아 다니지만 여러분들은 이해 못시킬까봐 무서워서 못쓰겠네요 ㅠ_ㅠ
랩퍼친구똥퍼
06/11/08 02:07
수정 아이콘
선수생명을 단축시킨다고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지금도 선수들은 하루에 몇시간씩 연습을 하고 있는것으로 압니다. 하루에 10경기에서 최대 20경기까지 한다고 들은적이 있는것으로... 차라리 경기가 많아지면 경기당일은 손을 푸는 정도 빼고는 뭐 보니까 머리손질등으로 시간을 보내더군요. 차라리 쉬는 거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프로리그 확대라 하더라도 팀들이 매일경기를 가지는 것이 아니니 큰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방송사는 엄잭영해설자님 뒷담화 들어보니 경기당 중계료를 스폰서한테 받는거 같은데 그런것을 비방용 신인선수들을 위한 대회로 대처해도 좋은 방안이 되고 프로리그는 평소보다 많은 핵심들의 출전으로 인지도도 올라갈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프로리그가 인지도가 없고 유지된다면 기업들은 철수할지도 모르는일니다. 그리고 프로리그도 없어질지도 모르죠. 프로리그의 인지도를 높여야 합니다. 기업홍보는 개인리그는 프로리그에 상대가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개인리그는 해설자가 이윤열선수로 부른다면 프로리그는 팬택ex의 이윤열선수로 부르죠. 자그만한 차이가 기업에게는 큰 차이가 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만약 프로리그가 확대가 되고 이상태로 발전된다면 미래로 각구단 구장까지 생각할수 있다고도 봅니다. 프로리그의 발전은 언젠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지금지적하는 문제점은 2년후에도 5년후에도 똑같은 반대할것이라 생각합니다. 협회도 기업이 운영하죠. 그럼 언젠가 시도를 할 것입니다. 지금 시도하는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Lunaticia
06/11/08 09:41
수정 아이콘
저도 어짜피 이제 기업이 팀을 운영하는 분위기라면 개인리그 보다는 팀이 중심이 되는 프로리그 쪽으로 무게추가 움직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그렇게 움직여 가는 중이구요.

기업이 선수들이 이뻐서 팀에 투자한 것은 아닐 겁니다. 분명 자신들의 기업에 뭔가 득이 되니 투자를 했을 것입니다. (철저히 경제적인 것이니까요.) 그리고 그 '득' 이라는 것은 개인리그 우승자 배출 보다도 프로리그에서의 고성적을 통한 기업 이미지 각인이 훨씬 클 것 같습니다. (저만 그런지 몰라도 요즘 르까프 연승해대니 스타쪽에 관심있는 친구들과 르까프 이야기 줄창 나온다죠. 이렇게 우리 입에서 회자되는 것도 그 기업에게는 어찌보면 광고효과가 아닐런지 하는 생각을 잠시 해봅니다.)

뭐..개인리그 축소가 안타깝기는 하지만 결국 언젠가는 있을일 같다는 느낌이 들어서 오히려 덤덤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6876 워크래프트 3 월드 워 김태인-황태민 문자중계!! [156] 지포스4627 06/11/08 4627 0
26875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 2 3-4위전 및 시드 결정전 [436] 지포스5014 06/11/08 5014 0
26874 비인기 구단은 어쩌란 말인가. [28] 히로하루5799 06/11/08 5799 0
26871 경기를 다 챙겨보는건 판타지소설을 다 읽는것이다. [11] 못된놈3613 06/11/08 3613 0
26870 프로리그 확대하기전에 우선은 단단한 내구성을 갖추는게 먼저가 아닐까요 [5] 카오루4803 06/11/08 4803 0
26869 프로리그가 재밌고 좋은 이유 - 어중간한 팬의 입장에서 [28] open3847 06/11/08 3847 0
26868 프로리그와 토토 [11] 쿨희3988 06/11/08 3988 0
26864 [제안] 프로리그 관련 확실한 의견 수렴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4] 다크포스3784 06/11/08 3784 0
26863 무엇이 그들을 구해줄 수 있는가 .. [7] 3560 06/11/08 3560 0
26862 제가 생각하는 절충안. [8] rakorn3074 06/11/08 3074 0
26861 [잡담] 메딕아빠의 피쟐스럽지 않는 잡담 ... 네번째. [11] 메딕아빠4057 06/11/08 4057 0
26860 오영종의 세레머니. 한획을 긋다. [28] hysterical4781 06/11/08 4781 0
26859 프로리그가 재미없을수 밖에 없는 이유 [87] SEIJI5863 06/11/08 5863 0
26858 [픽션]raDIO StaR ⑥ [2] [NC]...TesTER4469 06/11/08 4469 0
26857 차기 MSL에도 마재윤 선수가 과연 강력함을 보일 수 있을까? [50] 왕초보로템매5652 06/11/08 5652 0
26856 피할 수 없다면 즐깁시다: 프로리그에 대해 [6] DeaDBirD4263 06/11/08 4263 0
26855 최근 1년동안의 스타리그 결승전 [12] 이스트3934 06/11/08 3934 0
26854 선수들의 몸값에 대해... [5] loadingangels3837 06/11/08 3837 0
26852 [프로리그확대] 벌써 기업의 논리에 지배될 시기는 아니다.!! [3] 다크포스3914 06/11/08 3914 0
26847 제가 첨으로 강민팬이 되었던 때는.. [25] 김호철4499 06/11/07 4499 0
26844 뻔한 전투들 [13] 포로리3777 06/11/07 3777 0
26843 오영종과 박영민 - 대 테란전 완성형 프로토스에 대하여. [22] S_Kun4925 06/11/07 4925 0
26841 서바이버 2라운드 결승전 곧 시작합니다. [418] SKY925442 06/11/07 544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