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20 22:18
제 생각에 이건 이재명 본인도 모를 거 같군요.. 거시적인 경제의 향방이 결국 좌우할 거라서.. 물론 문정부 때처럼 이상한 정책이 계속된다면 영향을 미칠 수 있겠지만 같은 실정을 세번을 할까요? (세번..??)
25/04/20 22:31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41514421573096
주택금융공사에서 이상한 정책을 먼저 만들고 있네요 이게 진행된다면 집값 부양 되고 상승기로 가겠네요 집값 오른다면? 차기 정부 탓 하겠네요
25/04/20 22:33
저는 그냥 크게는 사이클을 따라가는 거라고 봅니다.
노태우 폭등 - 김영삼, 김대중 침체 - 노무현 폭등 - 이명박, 박근혜 침체 - 문재인 폭등 - 윤석열 침체 식의 사이클이 돌고 있다고 보이고요. 그럼 다음턴까진 침체이긴 한데... 뭐 과거 사이클이 같은 주기로 반복된다는 보장도 없고, 사이클 주기가 짧아지는 느낌도 들어서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네요. 왠지 이재명 후반기에는 폭등 사이클이 되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 25/04/21 01:07
박근혜 중반부터 폭등입니다. 박근혜때 대출을 급격하게 풀면서 로켓탄을 쏘아올렸고, 문재인때는 호기롭게 브레이크 밟다가 브레이크가 터져
나간겁니다.
25/04/20 22:47
개인적인 견해입니다만
결과론적인 부동산가격은 결국 미국 기준금리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갈리는데 정책에 따라 연착륙이냐 경착륙이냐만 달라지는거 같습니다 문재인 때 폭등하긴 했습니다만 저금리 양적완화 등등해서 안오를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어찌보면 덜 오르게 하려고 온몸비틀기한거 같은데 입을 잘못 털어서 업보스택 많이 쌓은거라 생각합니다 시장 상황보다 더 오른건지 덜 오른건지는 각자 생각이 다를거고 전문성 있는 분 의견이 더 맞을거라 생각해서 언급할 수는 없구요 그래서 결론은 미국이 어떨것이냐에 달렸는데 트럼프가 혼돈 파괴 망가 상태라 모르겠다 아닐까요
25/04/20 22:58
통계보다도 부동산 투전판에 뛰어본 경험이 그렇습니다
어차피 부동산이라는게 내 돈으로 사기는 힘들어서 미래의 나와 힘을 합쳐서 사는건데 미래의 나를 불러내는 마법의 주문은 은행이 걸어주거든요 그런데 그 주문 값은 기준금리가 정하고 기준금리는 미국 금리 따라가지 않으면 경제가 파탄나니까요 부동산 불황 터진건 미국 기준금리 올라간 이후 시점입니다
+ 25/04/20 23:46
코로나 직후 비정상적인 집값상승은 전세계적인 금리인하에 맞춰 우리나라도 금리를 인하했다는게 가장 큰 원인중 하나입니다.
이번에 한은이 금리 동결했고 부동산 억제를 위해 한동안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것을 언급했죠 만약에 차기 정부에서 금리를 인하할 예정이 있다면 부동산 억제정책과 병행해야 할거라고 생각합니다.
+ 25/04/21 00:01
이재명의 부동산 정책이 아니고
민주당의 부동산 정책이라고 하는게 맞는거라 생각하고 그렇기 때문에 문재인 정부때 일어났던 일이 다시 반복될거라 생각합니다. "우리는 틀리지 않았다" 가 다시 반복될거라 예상
+ 25/04/21 00:07
당분간은 현 시세대로 홀드될것 같긴한데
오르면 전세나 월세 사는 사람들 비명이 나오고 내리면 집주인들이 비명이 나오겠죠 즉 제일 좋은건 그냥 지금 시세에서 큰변화가 없는 상황을 만드는게 정치적으로는 좋겠고 굳이 욕먹는거 좋아하는것이 이잼명 성격이 아니라면 그렇게 할것 같긴합니다.
+ 25/04/21 00:22
문재인 정부가 부동산정책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영향을 끼친것은 전세법 정도가 있겠다 생각하고 이게 없었어도 세계 정세상 양적 완화로 인하여 부동산 가격 상승은 어쩔수 없는 수순이었다 봅니다. 결국 수요와 공급으로 인하여 결정되는게 부동산인데 양적완화하면서 그 돈들이 부동산과 주식투자등으로 간 돈이 꽤나 있었습니다. 이건 미국등 세계가 거의 동일했고요. 문재인정부가 어느정도 기여를 했다는 것은 사실이긴 한데 부동산이 다 문재인 정부탓이다 라고 하기는 어렵죠.
+ 25/04/21 00:27
결국 서울집값과 수도권이 관건이라고 보는데, 부동산은 금리가 가장 크게 영향을 주긴하지만,
공약으로 내건 수도이전이 성공한다면 어떤 영향을 줄지는 가늠이 안되네요.
+ 25/04/21 00:50
금리가 저금리로 가는 추세가 된다면 누가 집권하든 부동산은 폭등 하게 될 거구요, 반대로 금리가 오르거나 현추세가 된다면 집값은 보합하거나 떨어질거라고 봅니다
+ 25/04/21 01:44
이재명을 신념형 정치인이라고 보진 않는지라
지지율을 생각하면 집값이 내려가는 정책을 펼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봅니다. 밀하는 정책들을 봐도 인플레이션 관점에서 우려되는 지점들이 믾기도 하고..
+ 25/04/21 01:55
민주당이 집값을 잡기 싫어서라기 보다는 민주당의 이념상 쓰는 정책들이 집값을 부추길 것으로 보이긴 합니다.
수요억제 중심의 규제 강화가 공급 위축으로 이어지고, 다주택자가 주택 처분 대신 임대료를 올려서 전월세 시장 불안이 집값 상승으로 이어지는 등... 그렇다고 이러한 접근이 잘못된 것이라고는 말하기 어렵습니다. 공급을 확 푸는 건 국힘이 할만한 정책이라 규제로 집값을 잡고 불평등을 축소시키는 그런 효과를 태생적으로 추구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아서...
+ 25/04/21 05:04
(수정됨) 민주당 정책특성상 집값 하락은 힘들건데 상승하기에는 경기가 나쁜데다 아직 금리도 높죠
자연스럽게 놔둔다면 우하향 해야 하지만 이재명대표가 자기가 집권하면 경기부양하는 방법이 있다는데 가장 손쉬운게 부동산 부양이죠 문재인 정부의 실책은 김수현 김현미 같은 무능한 사람을 임명한데다 교체도 한참 늦었죠 문재인 본인이 실제 부동산 상승을 인정 안했으니 대책이 나와도 구멍이 뚫린 땜질식 처방만 연발 했습니다 김현미 교체 수개월 전에도 대처 잘하고 있다고 칭찬을 하는 촌극을 연출했죠 결국 4년차때 인정했지만 이미 다 오른후였습니다
+ 25/04/21 07:22
세계적인 경기침체가 예상되고 있고 정책은 방향성을 거스르진 못하고 폭만 어느 정도 가감하는 정도라고 생각해서 크게 상승할까 싶긴 합니다.
+ 25/04/21 07:25
(수정됨) 그냥 유동성과 성장 따라 가죠. 정책으로 인한 집값 오름 내림이 어느정도 있겠지만 제한적입니다. 결국 거시경제가 좋거나 유동성이 풍푸한 상황이 필요합니다. 민주당 시기 집값 오를 때 주식도 같이 다 올라갔었습니다. 김대중 시기 IMF로 인한 기저 효과로 주가 상승, 노무현 시기는 사상 최초 2000돌파등 주식값 3~4배정도상승, 문재인 시기 주가 3000 돌파등 한국 주식의 최고점 기록등, 민주당 시기가 따져보면 주가가 엄청 좋았죠. 경기가 팽창할 때입니다. 민주당이 뭐 정책으로 주가를 부양했었나요? 그리고 민주당시기가 미국 집값도 상승기 였죠. 김대중,노무현시기 미국은 서브프라임 사태직전일정도로 집값이 계속 올랐었죠. 문재인시기 미국 집값 상승률은 문재인시기보다도 더 높습니다. 결국 노무현 대신 이회창이 됐어도 집값은 올랐고 문재인 대신 유승민이 됐어도 집값은 올랐을 것입니다. 물론 정책으로 인한 약간의 차이는 있었을지 모르지만요. 그리고 한국은 미국이 부양할때는 그래도 돈을 쓸 수 있지만 반대일때는 자채로 돈으로 부양하기 힘든 나라입니다. 우리나라가 기축통화국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부양을 하면 국채를 발행해야 하고 수출으로 번 달러나 외국인 투자가 적은 상태에서 미국이 돈풀지 않아서 달러가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한정된 수요를 가진 한국 국채가 갑자기 공급이 많아지면 국채 공급을 감당하지 못해 국채금리가 폭등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국채금리가 폭등하면 국채보다 안정성이 떨어지는 은행채등의 금리도 폭등해서 시중 금리도 폭등합니다. 결국 정부돈 풀어서 집값 상승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결론으로 이재명 시기 코스피 4000 넘을 거 같으면 집 사세요. 근데 아닐거 같으면 집살 필요 없습니다. 민주당때 집값 오를때는 코스피도 사상 최고치 경신할때가 많았습니다.
+ 25/04/21 09:02
개인적으론 정책으로 부동산 가격을 예측하는 건 굉장히 위험한 방법이라 봅니다. 위에서 언급한대로 미국 기준금리를 참고하는게 훨씬 타율이 높을거에요
+ 25/04/21 10:00
https://blog.naver.com/richkang7979/223695020190
(그래프 참고) https://nsp.nanet.go.kr/plan/subject/detail.do?nationalPlanControlNo=PLAN0000044140 [2024 KB 부동산 보고서 -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24-03-03 <정권 주요 가격 변동률 (연간, 서울 기준 추정) 주요 특징> 노태우 +50% 부근 급등 후 급락하여 0% 하회 / 규제 강화, 200만호 건설, 급등 후 안정화 시도 김영삼 0% 내외 안정세 유지 후 외환위기 시 -15% 부근 급락 / 규제 완화 기조, 외환위기 발생 및 가격 급락 김대중 외환위기 저점(-15% 부근)에서 회복하여 +30% 부근 급등 / 외환위기 극복, 규제 완화 후 급등 및 규제 시작 노무현 +25% 부근까지 상승 후 높은 변동성 보이며 +5% 이상 유지 / 강력한 규제 정책 시행, 높은 가격 상승률 유지 이명박 금융위기 영향(-5% 부근)으로 하락 후 회복 더디고 침체 / 규제 완화 기조, 글로벌 금융위기, 가격 하락/침체 박근혜 침체(-5% 부근)에서 벗어나 +5% 부근까지 점진적 회복 / 규제 완화 및 부양책, 점진적 가격 회복 문재인 +5% 부근에서 +20% 초과 수준까지 가파른 상승 / 강력한 규제 강화에도 불구, 역대급 가격 급등 윤석열 +20% 이상 고점에서 -10% 이하로 급락 후 조정 / 규제 완화 기조, 금리 인상 등 영향, 급락 후 조정 그래프만 바로 보이게 첨부되면 딱 좋은데 방법이 이것뿐이네요. 문정부시절 고점 찍고 윤정부시절 하락세를 겪다 반등중인 상황이니 이재명 정부가 별일없이 5년을 정상적으로 마무리한다고 가정하면 임기중 외부충격에 의한 하락은 나와도 결국 꾸준한 아파트값 상승 쪽이 높다고 예측해볼수는 있죠. 그런데 말입니다... 트럼프가 이런식으로 관세가지고 미친짓을 할거라고 제대로 예상한 사람이 있던가요? 저게 블러핑이라 진정이 된다면 모를까 대공황급 경제위기의 트리거가 될 가능성이 0% 라고 예상하기도 어려운 상황이죠. 결론은 서울 아파트값은 우리나라 내부의 상황에 의해서만 정해질수가 없기 때문에 그냥 예측불가라고 생각하는게 편하죠.
+ 25/04/21 10:17
심플하게 봅니다. 부동산을 건드려야만 지지도가 버텨내느냐, 아니냐.
건드려야 하면 상승장의 가능성이 1그람쯤, 건드리지 않아도 되고 그대로 두면서 시장에 맡겨두고 보면 오르기는 쉽지 않은 상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