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2/03/12 03:32:03
Name VictoryFood
File #1 1.jpg (55.3 KB), Download : 15
Subject [일반] 6공화국 역대 대통령 다 선출한 지역.jpg


선게가 닫히기 전에 가벼운 애기도 해봅시다

직선제가 시작된 1987년 13대 대통령 선거 이후 모든 선거에서 1위 후보가 우세를 보인 지역입니다.

19대 대통령까지 7번 대통령 선출에 성공한 지역은 15곳이었는데 이번 선거에서 9곳이나 대거 탈락하는 바람에 6곳 남았네요.
특히 경기/인천 지역 전멸이 눈에 띕니다.

그래서 아직도 6공화국의 모든 대통령을 선출한 지역은

충북 청주시 상당구
충북 청주시 흥덕구
충북 증평군
충북 음성군
충북 옥천군
충남 금산군

입니다.

충청도만 남았네요.

청주시도 자치구가 아닌 일반구인 것을 감안하면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증평, 음성, 옥천, 금산 단 4곳 뿐이구요.

다음 대선에서는 이 중 몇개 지역이 또 대통령을 선출하게 될지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락곰
22/03/12 03:46
수정 아이콘
신도시 영향으로 인한 표심 변화로 수도권 지역이 전멸해버렸군요.
사이먼도미닉
22/03/12 03:58
수정 아이콘
남양주는 보수 성향의 지역으로 알고 있었는데 별내, 다산 신도시로 변해버린 게 있는 거 같아요.
22/03/12 18:50
수정 아이콘
안성, 평택, 남양주 원래 다 보수 성향이었는데 신도시의 영향으로 3040인구 유입이 많았습니다.
포인트가드
22/03/12 05:16
수정 아이콘
증평 바로미터는 공중파 티비에서도 얘기하더라구요
티모대위
22/03/12 05:38
수정 아이콘
역시 균형의 수호자 충북..
22/03/12 06:18
수정 아이콘
sbs개표방송에서 이거 언급하던데
이번대선빼고는 구리시가 득표율까지 가장 근접하게 맞추었다고 하더라고요
구리시는 이번대선은 1번50퍼 2번46퍼로 광탈했습니다
활화산
22/03/12 06:39
수정 아이콘
저는 대통령 선거한 이래로 5번 모두 적중인데, 혹시 7번 다 적중하신 분 계시면 댓글 달아주시면 좋겠습니다.
곰돌이푸
22/03/12 06:45
수정 아이콘
나의 구리시가... 대선 결과만큼 궁금했는데 아쉬웠습니다.
새벽목장
22/03/12 08:33
수정 아이콘
이쯤되면 멍청도라 부를수없엇..!
wish buRn
22/03/12 09:04
수정 아이콘
기만자들
22/03/12 19:41
수정 아이콘
실눈캐같은 거네요
StayAway
22/03/12 10:59
수정 아이콘
난 잘 모르겠슈~~~ (수정구를 돌린다..)
22/03/13 00:14
수정 아이콘
빵 터졌네요 크크
시나브로
22/03/14 15:23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22/03/12 11:12
수정 아이콘
이런거 보면 볼수록 안희정이 멀쩡하게 나왔으면 볼것도 없었겠단 생각이 드네요
사이퍼
22/03/12 11:17
수정 아이콘
갈등의 시대에 연정, 통합을 강조한 사람이라 더 좋았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마감은 지키자
22/03/12 14:34
수정 아이콘
충청도 정확성 보소…
22/03/12 18:50
수정 아이콘
충청도를 잡아야 대선에서 이기는것은 국룰인듯 합니다.
스덕선생
22/03/12 21: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역대 선거를 보면 전라광주 vs 대구경북 + 강원은 고정이고 경남이 5~6대 3~4 정도 비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런 만큼 충청도에서 표를 얼마나 가져올 수 있느냐가 대선의 승부처인듯 합니다.

민주화 이후 대선 중 유일한 언더독의 역전승이라는 16대 대선에선 충청도를 겨냥한 행정수도 공약이 있었고 엄청난 반향을 이끌어냈죠.
5년 전 15대 대선에선 이인제 + 이회창의 충청도 지지율은 도합 65%에 달했는데, 16대 대선에선 40% 안팎에 그쳤을 정도로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976 [일반] 전장연 시위 관련 여론전을 펼친 것처럼 보이는 서울시 교통공사 [211] 트루할러데이14923 22/03/29 14923
5975 [일반] 청와대 개방하면 연 2000억원 이상의 경제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138] 12892 22/03/29 12892
5974 [일반] 요즘 선게를 보는 민주당지지자의 느낌 [294] 아구스티너헬16847 22/03/29 16847
5973 [일반] 전장연 파업에 대한 소고 [295] 당근병아리18418 22/03/28 18418
5972 [일반] 영부인 의상비 유감 [484] 숨고르기29697 22/03/28 29697
5971 [일반] 청년 정치인가? [49] 구텐베르크10344 22/03/28 10344
5970 [일반] 진보는 이준석류 정치을 극복할 수 있을까요 [330] 한강두강세강23406 22/03/27 23406
5969 [일반] 선거 2주 후 넋두리 [115] 르블랑12260 22/03/27 12260
5968 [일반] 윤석열 정권의 실권은 누가 잡을까? [106] 니가커서된게나다13676 22/03/26 13676
5967 [일반] 선거구제 문제 / 총리 인선 문제 [71] 큐리스11068 22/03/25 11068
5966 [일반] 2022년3월25일 갤럽 여론조사+잡설 [124] 스탱글15589 22/03/25 15589
5965 [일반] 청와대 이전에 대한 개인적인 감상 [77] 코지코지10970 22/03/25 10970
5964 [일반] 풍수 전문가 “청와대 터가 용산보다 좋아…흉지설은 대통령 말로 탓” [189] 굄성12278 22/03/25 12278
5963 [일반] 윤석열, ‘청와대 벙커’ 대신 ‘비상용 지도통신차량’ 사용키로/尹당선인, 靑·국방부 못 들어가면… '손님은 어디서 만나나?' [222] 선인장14804 22/03/25 14804
5962 [일반] 인수위가 법무부 업무 보고를 취소시켰습니다. [218] 트루할러데이15757 22/03/24 15757
5961 [일반] 여가부 폐지 여론조사 찬성 47.8% 반대 47% [339] 21275 22/03/24 21275
5960 [일반] 문재인 정부는 북한의 도발에 대해 제대로 대응을 못했던걸까요? [173] 개념은?14101 22/03/24 14101
5959 [일반] 윤 당선인 "박근혜 전 대통령 곧 찾아뵐 계획" [44] 박근혜8946 22/03/24 8946
5958 [일반] 한국은행 총재 임명 그리고 잡음 [486] 카미트리아30300 22/03/23 30300
5957 [일반] 6월 지선에 영향을 줄만한 이슈들이 어떤게 있고 어디에 유리하게 작용할까요? [132] Guaita12957 22/03/23 12957
5956 [일반] 민주당은 선을 잘 지켜야 합니다 [163] Gunners18146 22/03/22 18146
5955 [일반] 용산 전쟁기념관 어떨지요 [40] 국수말은나라9247 22/03/22 9247
5954 [일반] 내일 부터 백신 패스가 일시 정지_사유 추가. [195] 카미트리아9152 22/02/28 91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