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8/15 00:55
일반인들이 생활하기에는 전혀 부족함을 느끼지 못하지만 시기별, 지역별로 물이 부족한 상황이 있습니다.
가뭄으로 인해 물이 부족해지는 경우도 있고 농업용수나 섬주민들의 생활용수는 도시사람들이 수도물 펑펑 쓰는 것처럼 넉넉하지 않죠. 이런 특정 상황에서의 물부족 현상이 있기때문에 물부족 국가라고 한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게 옳은 정의인지는 저도 잘 모르겠지만요.
10/08/15 01:44
제가 강의시간에 배운바에 의하면요. 관점에 따라 다를 수가 있다고 합니다.
강수량으로 따지면 물부족 국가가 아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강수량이 심하게 여름에 몰려 있기때문에, 저장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고 실제로 농업용수 같은것이 부족하다고 하네요. 물론 일반인이 쓰기에는 전혀 어려움이없지만요.
10/08/15 02:38
자료에 잘 정리되어 있네요.
일단 국토는 좁고, 인구는 많기 때문에 총강우량을 인구수로 나누면 '비교적' 물이 부족한 나라에 속하겠지만 강수가 그냥 바다로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주요 강에 댐 등으로 충분한 저수 시설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가능한 수량을 인구수로 나눈 기준에서 볼 때 물부족 국가는 아닙니다. 물부족 국가들은 강수량이 극히 적은 건조지대 국가나 비는 충분히 내리나 저수시설 및 상수도 시설 부족으로 물을 공급하기 어려운 나라들 이야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