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0/08/03 10:51:01
Name 리오스
Subject 공대생 (전기전자) 랩실 선택할 때 고려사항에 대해 질문합니다.

랩실에 직접 컨택하기 전에 홈페이지에서 랩실을 어느정도 파악하고 싶습니다.

일단 고려할 사항이 석박사 수(박사가 많은게 좋은지) , 논문 수( 어디에 실리는지, 몇개나 등) , 프로젝트 ( 이건 많이하면 좋은건지 등)
정도로 생각하고 있는데, 논문 같은 경우는 국제논문의 경우  IEEE IEICE ETRI 등 저명한 학회의 순위를 알고 싶습니다.
대충 어디에 많이 실리는지 확인할려고 해서요..

또한 약간 둘러본 결과, 두 랩실중 부교수님 (정년보장 모름) 랩실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논문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 듯 하고,
정교수님 (오신지 오래되셨음) 랩실의 경우 최근 대외활동 ( 운영위원, 자문위원 등) 으로 많이 활동하고 계십니다. (논문 수는 좀 적고)

이와같은 경우, 물론 케바케 이겠지만 경험 상 어떤 이야기나 조언같은 걸 듣고 싶습니다.
연구분야는 모두 비슷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honnysun
10/08/03 11:07
수정 아이콘
어디까지 생각하시는지 모르겠지만, 석사까지만 하는 것은 메리트가 별로 없다는 말씀을 드리면서...
프로젝트를 하게되면 인건비라는게 책정이 됩니다. WCU같이 큰 프로젝트의 경우, 인건비로 책정할 수 있는 부분이 굉장히 크죠. 현재 BK21이라는 국가 인재양성 프로젝트를 많은 연구실에서 하고 있을텐데, 석사생 한명당 50만원정도 책정이 됩니다. 그리고 석사생 인건비의 맥스가 180만원인가 할겁니다. 그러니 프로젝트를 많이 하고 있는 연구실의 경우 등록금면제+한달에 100만원정도는 받으시면서 다닐 수 있겠죠. 물론 몸은 더더욱 힘들어집니다. 저정도로 석사가 받는 연구실이 있는지를 모르겠지만 말이죠.
그리고 큰 프로젝트를 위해서는 교수-박사-석사 생으로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교수-몇명의 포닥(전체팀), 포닥-몇명의 석박사(한팀). 이렇게 팀으로 굴러가는 연구실이 제대로 굴러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시스템이 잡히게 된다면 그다음은 논문찍어내는 랩실이 됩니다.
논문은 아시겠지만, 네이쳐와 사이언스. 역시나 가장 쓰고 싶고 하지만 쓰기 어려운 저널이 되겠습니다. 논문의 질을 나타내는 수치로서 IP(Impact factor)라는 것이 있는데, 출판수와 인용수의 관계를 나타낸 것입니다. 유명한 저널일 수록 다른 논문에 인용이 많이 되므로 IF가 올라가겠죠. 하지만 IF가 논문의 질을 나타내는 절대적인 수치는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가령 JJAP(약1.5) 저널에 투고했다가 떨어진 논문을 APL(약 4.0)에 냈더니 통과가 되는 일도 많습니다.
아무튼 이런 논문은 역시나 많이 쓰면 좋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제1저자로써 석사때1~2개~ 박사때3~4개정도 쓰면 준수하지 않나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취업이냐 아니면 박사로 가서 연구직이나 교수직으로 갈것이냐를 우선 판단하신 후에 교수님의 수준을 판단하시고 가시기를 추천합니다. 그 수준을 판단하는 것은 얼마나 유명하냐겠고, 그 유명한 정도는 많은 대외활동과 많은 논문수가 되겠지요.
답변이 좀 부실하지만 모르시는 것 있으면 다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만..
10/08/03 11:13
수정 아이콘
프로젝트 많이하면 첨에는 돈을 많이 받아서 좋습니다.
근데 시간이 지나면 차라리 돈 안받고 프로젝트안할래라고 징징대는 자신을 만나게 됩니다.
리오스
10/08/03 11:54
수정 아이콘
sky 공대 중 하나에 재학중입니다. 박사는 솔직히 자신이 없고, 학부의 특성상 석사까지 마칠까 생각중이었는데
그래도 하지 않는편이 더 좋을까요?
현재 통신사에서 취업연계 인턴을 하고 있는데 취직에 올인을 할 것인지 대학원에 진학할 것인지 고민입니다..
아이온
10/08/03 23:12
수정 아이콘
교수의 성격이 매우 중요합니다. 제가 볼 땐 가장 중요합니다. 한국에선 교수가 무소불위입니다. 벤쳐 기업에 학생 팔려다 학생이 군대 가겠다고 버틸 때 재떨이 좀 던져줘도, 아무도 못 말리는 게 한국 대학입니다. 재떨이 안 던지는 교수 잘 찾는 게 중요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7600 윗몸 일으키기를 할 때 오른쪽 골반에서 뚝뚝 거리는 소리가 납니다 느낌도 안 좋습니다 [1] 터치미3345 10/08/03 3345
87599 임창정씨 노래를 찾고 있습니다 [19] 뱅문벅통합빠1947 10/08/03 1947
87598 여친의 이상한 버릇에 대해서.. [14] 초롬3334 10/08/03 3334
87597 원래 쓰던 메인 하드디스크를 새로운 컴퓨터에 장착... [5] 설아1668 10/08/03 1668
87596 물 많이 먹으면 몸에 좋나요?? [6] 고등어3마리2408 10/08/03 2408
87595 컴퓨터용 의자 추천해주세요~ [3] 화려한프로토1852 10/08/03 1852
87594 그냥 대학교에 관해 질문드려요~~ [2] K212122 10/08/03 2122
87593 스타1 경기는 언제까지 볼 수 있나요? [2] 코하홀릭1817 10/08/03 1817
87592 [스타2] 옵션 초상화 관련 질문 Kristiano Honaldo1495 10/08/03 1495
87591 아이락스 무선마우스가 고장인...건가요? [1] 뮤게2371 10/08/03 2371
87590 흡연자 분들 담배피실때 딸꾹질 하는 경우 없나요?? [2] 이디어트28931 10/08/03 28931
87589 스타2 사양 관련 질문입니다. [4] 보람1334 10/08/03 1334
87588 운동기구 질문 드립니다. [1] 개미1380 10/08/03 1380
87587 첫 일본여행. 도쿄가 좋을까요?오사카가 좋을까요? [8] 캐뱅1763 10/08/03 1763
87586 흠...욕하지말구 질문좀받아주세요 .. [40] 판다야어디가4378 10/08/03 4378
87585 점화식 문제 관련 [5] 피쟐춘2712 10/08/03 2712
87584 부산 해운대쪽에 'cj관련된' 호텔 혹은 리조트 숙박업소 아시는 분?? (수정이요) [3] 선미남편1736 10/08/03 1736
87582 서류가방 추천부탁 드려요! [1] 말룡1514 10/08/03 1514
87581 공대생 (전기전자) 랩실 선택할 때 고려사항에 대해 질문합니다. [7] 리오스2672 10/08/03 2672
87580 티스토리 하실 분 계시나요? [17] 나두미키1809 10/08/03 1809
87579 유통회사(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의 PL상품제조는 제조사에겐 불리한가요?? [2] 선미남편1607 10/08/03 1607
87578 노트북을 구입하려고 하는데요..... [1] 오우거1245 10/08/03 1245
87577 면목동(사가정, 용마산역 근처) 지역에 장어요리 맛있게 하는 곳을 찾습니다. Nybbas2116 10/08/03 21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