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7/06 12:20
그리스와 터키까지 선진국의 범주에 들어간다면 아시아의 꽤 많은 국가들도 선진국에 포함되어야 할텐데 말입니다.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10/07/06 12:30
남아메리카 저부분이면 베네수엘라 가이아나 수리남 중 하나일거 같은데..... -,.-;
중동에 이스라엘도 선진국으로 나오네요.크크
10/07/06 12:54
남아메리카 저 부분은 프랑스령 가이아나 같습니다. 프랑스때문에 색칠된것 같군요
저도 이 지도를 예전에 본 적이 있는데 선진국은 아니고 (사실 '선진국'이란것 자체가 주관적인것이죠) 무슨 기준을 놓고서 그 이상되는 국가였습니다 GNP뭐 이런 비슷한 지표 같았는데... 아무튼 선진국이라는것 자체가 여러가지 기준이 있으니 아예 이해 못갈 것은 아니죠 뭐 예를들어 그리스나 이스라엘같은 경우는 우리보다 GDP가 높습니다 (GDP높다고 무조건 선진국 아닌건 당연하죠) 그리스,터키는 OECD 가입 국가이기도 합니다 근데 남아공이 이상하군요... 한번 뭔지 찾아봐야겠네요
10/07/06 13:22
칠레(가 색칠된 것 같진 않으나)는 남미에서 거의 가장 살기 좋은 나라일 것 같습니다. 피노체트의 군부 독재 기간 동안, 결과적으로는 우리나라 박정희 정권과 유사하게 경제 성장을 이뤘습니다. 그리고 20년 정도 사회주의 정권을 거쳤기 때문에 양극화가 상대적으로 덜하고 서민 복지수준이 높다고 들은 것 같습니다.
터키는 중동에서 유일하게, 케말 파샤를 중심으로 자생적 근대 개혁에 성공한 나라인 것 같습니다. 여전히 근대화가 완성되었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중동 다른 나라들(이란, 이라크, 사우디 등)에 비할 바는 아닌 듯 합니다. 싱가폴은 경제적으론 윤택합니다. 때문에 대다수의 사람들이 정부에 대해 별 불만도 없는 듯 하지만 리콴유가 수십년 독재한 나라고, 신문/방송에 정부 비판하는 내용을 찾기 어려운 나라입니다. 궁금해서 찾아보니 1995년에 오랄 섹스가 법적으로 금지되었다고 하고, 사람들의 자유의식 수준도 낮은 것 같습니다. 선진국이라고 하기는 어렵지 않나 싶으네요.
10/07/06 14:00
아무래도 꽤나 예전의 IMF 자료인 것 같은데 최근엔 바꼈습니다.
http://en.wikipedia.org/wiki/File:IMF_advanced_economies_2008.svg 참조 바라구요. 만약 글쓴이가 올리신 게 최근의 자료라면 한국이 빠졌다는 점에서 이미 제대로 된 선진국 분류 기준이 아닌거죠. 근래엔 어떠한 통계에서도 한국이 선진국 분류에서 빠지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세계 3대 국제기구인 IMF, OECD, 세계은행은 한국을 모두 선진국으로 분류하고 있고 대표적인 선진국 분류 지표인 삶의질과 인간개발지수에서도 한국은 세계 TOP 30에 포함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