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0/05/29 20:02:52
Name 다음세기
Subject 박용욱 선수의 강점은 무엇이었나요?
강민 올드보이에서 박용욱 해설위원이 나왔더라구요

구 3대 토스는  박정석 강민 박용욱 이렇게 셋을 꼽죠

박정석 선수는 스톰과 물량(원조)에 강했고
강민 선수는 전략이 기가 막혔고 포지 더블넥의 창시자 수비토스..뭐
이런걸로 김택용 이전 최강토스 이미지가 있었죠

박용욱 선수는 악마의 프로브 라고 하죠...
근데 단지 초반 프로브 견제 하나를 잘했다는 것만으로
메이저 대회 1번 우승 1번 준우승 이라는 업적을 쌓기엔
제가 좀 모르는 요인이 많았을거 같은데...

박용욱 선수의 전성기였던 2003년 2004년 시절 박용욱 선수의 플레이가 어땠나요..
사실 이선수에 대해선 제가 잘 몰라서 질문드립니다.

다른 토스 플레이어에 비해서 강점이라던지...어떤점이 뛰어났다던지.....이런거에 대해서
제가 아는바가 거의 없네요. 어떤점으로 하여금 이선수가 당시 프로토스로서 대단한 성적을 내게 했는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녹차한잔의여
10/05/29 20:04
수정 아이콘
박용욱 선수는... 음.. 전쟁에는 질지 몰라도 전투에서는 지지 않는 그런 모습이었습니다..^^;
하르피온
10/05/29 20:04
수정 아이콘
신개마고원 (?)에서 이운재 선수와의 경기를 보시면 초반 프로브 견제 하나를 잘했다는말을 넘어서는 무언가를 보실지도..
철의동맹
10/05/29 20:06
수정 아이콘
심리전이 뛰어났습니다..초반 프로브 견제부터 시작해서 상대선수 짜증나게 하는 플레이.....그리고 큰 경기에 강했던걸로 기억합니다~~
10/05/29 20:07
수정 아이콘
박용욱선수라고하면 백병전의 박용욱이라는 말이 있었죠. 악마의 프로브등에서도 알 수 지만 소수유닛 컨트롤이 매우 뛰어났습니다.
그런 컨트롤을 하면서도 전체적인 흐름을 놓치지 않는 능력 즉 멀탯도 매우 뛰어났구요(그 당시 기준으로) 가장 빛났던건 교전능력이 아닐까 싶네요
파이어볼
10/05/29 20:08
수정 아이콘
악마빠로서 한마디 드리자면 음 ....
일단 원프로브 찌르기부터 시작해서 초반에 조금씩 이득을 취하는게 박용욱 선수의 스타일이었습니다.
초반에 거둔 이득을 조금씩 쌓아가서 그 격차를 벌리는 거죠.
같은 병력가지고는 절대 이길수 없다고 해서 백병전의 최강자 소리도 들었구요.
바이오리듬을 타는 박용욱 선수라서 잘할때와 못할때의 격차가 좀 있었던 것은 사실입니다만
프로토스 중에서 양대 결승을 밟았다는거 자체가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세한건 아주 유명한 이 글로 대처하겠습니다. 읽어보세요 ^^
<a href=https://pgr21.net/zboard4/zboard.php?id=recommend&page=5&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02
target=_blank>https://pgr21.net/zboard4/zboard.php?id=recommend&page=5&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02
</a>
10/05/29 20:08
수정 아이콘
이기는 경기들 보면 정말 물 흐르듯 흘러가면서 이겼죠. 제 생각으로는 운영이 정말 좋지 않았나 생각 합니다.

순간순간의 센스도 대박이고요. 김정민 선수와의 인투더 다크니스경기에서 대박 센스가 나오죠.
닥터페퍼
10/05/29 20:10
수정 아이콘
아주 짜임새있는 선수는 아니었지만 플레이 하나하나가 다 센스로 넘쳐나던, 특히 유닛 컨트롤과 같은 교전 기술이 좋았습니다.

옛날 생각나네요^^;; 하핫
가츠79
10/05/29 20:16
수정 아이콘
박용욱 선수 경기중 가장 임팩트 있게 본게 프리미어리그 대 김환중 선수와의 경기였습니다.
그 경기에서 김환중 선수의 다크에 본진 넥서스가 날라가고, 프로브까지 동원해서 옵저버 한기와 한부대 이하의 드라군으로
김환중 선수의 소수 지상군과 케넌 라인을 뚫어내는 컨트롤은 보는 이로 하여금 혀를 내두르게 하더군요.

교전 능력 하나는 그 당시 토스 게이머중 최상급이 아니었을까 싶네요.
정대훈
10/05/29 20:18
수정 아이콘
현대적 운영형 프로토스의 시조격이라고 할 수 있는 선수지요

대 테란전 예를 들면 드라군 찌질대다 캐리어를 가장 이상적으로 구현한 선수 였고요.
송병구선수의 원조격이라고 보심 됩니다.

저그전도 초중반 승부보다는 하이테크 유닛계열로 이기는 경기가 많았구요.

뭐 초반극악의 프로브와 질럿드라군찌르기도 말할 필요없구요.
밀가리
10/05/29 20:18
수정 아이콘
김동준 해설이 했던 말이 있죠. 백병전의 달인~
동료동료열매
10/05/29 20:19
수정 아이콘
백병전의 달인 (2)
(改) Ntka
10/05/29 20:39
수정 아이콘
전투와 초반 견제, 초반 전략이 매우 좋았죠.
전략하면 강민 선수, 전투와 물량하면 박정석 선수 하던 게 2003이었을 텐데
적절하게 초반 전략을 통한 상대 무너트리기, 전략이 없어도 견제를 통한 심리전, 그리고 중후반 운영을 통한 승리...

게다가 의외로 박정석, 강민 선수보다도 다크아콘류의 마법 운영을 잘 보여준 선수입니다.
다음세기
10/05/29 20:45
수정 아이콘
아 모두들 감사합니다.

생각했던것보다 대단한 선수였고 색깔이 있었던 선수였네요
검은창트롤
10/05/29 20:46
수정 아이콘
일단 프로토스 팬이 봐도 짜증나는 프로브가 먼저 떠오르네요. 진짜...악마의 프로브...
couplebada
10/05/29 21:04
수정 아이콘
그리고 물량에도 대가였습니다.. 사실 프로토스에 한 획을 그은 선수들은 모두 물량은 기본이었죠. 강민 선수가 물량으로 박정석 선수를 눌렀듯, 박용욱 선수도 물량에서 다른 프로토스들을 압도했었습니다.
Go_TheMarine
10/05/29 21:11
수정 아이콘
원래 박정석선수가 나오기 전부터 박용욱선수가 물량토스라고 불렸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하지만 정말 박용욱선수는 초반견제가 대박이었죠..
10/05/29 21:15
수정 아이콘
위에도 언급되었듯이 "드라군 찌질대다 캐리어가는 운영"을 가장 이상적으로 보여줬습니다.
경기 방식이 굉장히 공격적이고 스타일리쉬해서 그로 인한 인기도 한몫했죠.
더블넥이 정형화된 이후에도 하드코어 질럿러쉬를 상당히 자주 사용했습니다.
루나대혈전, 815대첩, 박경락선수와의 포비든 존에서의 경기 등으로
비인기 유닛이었던 다크아콘의 운용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합니다.
물량이나 컨트롤은 뭐..
BoSs_YiRuMa
10/05/29 21:40
수정 아이콘
멀티테스킹의 원조라고 해야할까요..
원프로브,원질럿,원드라군부터 상대를 지독하게 괴롭히던 모습이 아직도 선하네요.
릴리러쉬
10/05/29 21:42
수정 아이콘
전투력은 3대 토스중 최고였던 걸로.
10/05/29 21:44
수정 아이콘
베르트랑선수 진짜 거의 프로브로 경기끝낸게 생각나네요.. 프로브하나로 경기를 쥐락펴락
10/05/29 22:06
수정 아이콘
일단 초반견제와 더불어 전투 컨트롤이 너무나 좋았습니다. 네오 레퀴엠 같은 맵에선 투게이트 하드코어 질럿러쉬 만으로 저그를 때려잡고 다녔죠.
앵콜요청금지
10/05/29 22:27
수정 아이콘
거지같은파..
필요없어
10/05/29 22:30
수정 아이콘
단점이라면 저그전 추가 멀티 타이밍이 늦다, 중규모 이상의 유닛이 쌓이면 초반같은 전투를 잘 하지 않는다(대규모 교전에서 취약 -> 덕분에 이윤열 선수 상대로 상당히 고전했습니다) 정도라고 생각됩니다. 장점이야 위에서 언급한 그 내용 그대로입니다. 장점은 초반 백병전의 달인, 빛나는 순간센스, 중반 이후 병력 운용(대규모 힘싸움의 취약점을 병력 운용으로 극복)이라고 생각됩니다.
C.P.company
10/05/29 23:12
수정 아이콘
병력 비율이 최고였습니다. 죽지 않는 드라군 끊임없이 충원되는 질럿..
이니르
10/05/29 23:21
수정 아이콘
재미있는게 3대 토스의 상성이죠

박정석<강민<박용욱<박정석

초반 플레이 스타일에 기인한 결과라고 피지알 프로 분석가분들께서 말씀하셨던 걸로 기억합니다.
10/05/29 23:26
수정 아이콘
공공의적 박경락을 3대0으로 때려잡던 임팩트...정말 승부가 뭔지 너무나도 잘 알았던 몇 안되는 선수죠.
가츠는달리신
10/05/29 23:36
수정 아이콘
박용욱 선수 참 좋아했는데요.

제가 생각하기엔 박정석+강민=마이너버전 박용욱이랄까...저는 그렇게 생각이 들었다는...
10/05/30 00:33
수정 아이콘
인기있는 올드 게이머 대부분이 그렇지만 참 색깔이 있는 선수였죠.
영웅토스 박정석, 몽상가 강민 못지않게 악마토스라는 별명이 그리 잘 어울릴 수 없는 플레이...
셋 모두 당대 최강의 프로토스였으면서도 각자 뚜렷한 개성이 있어서 팬들은 즐거웠던...
개인적으로 박용욱선수는 바이오리듬과 녹차가 필수요소로 쓰이던 기억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2853 저그가 테란을 3:0으로 압사한적이 있나요? [19] 칼새2416 10/05/29 2416
82852 왜 롱기누스는 테란맵이었던거죠? [10] greensocks2574 10/05/29 2574
82851 오늘 결승전 3경기 리페어. [3] 바카스2204 10/05/29 2204
82850 이거 원래 이런가요? [1] 레몬커피1614 10/05/29 1614
82849 똥맛은 무슨맛이 날까요???(짱구님 필독!) [21] 독수리6864 10/05/29 6864
82848 박용욱 선수의 강점은 무엇이었나요? [31] 다음세기2903 10/05/29 2903
82846 오늘 MSL 결승 재방송 시간이 언젠가요? [1] Dream1545 10/05/29 1545
82845 자유게시판 17745 "내 마음대로 뽑아본~"이 글을 읽을수가 없네요 [4] 틀림과 다름1878 10/05/29 1878
82842 일본 아이돌 그룹 akb48 노래. [5] 현상2147 10/05/29 2147
82841 리눅스 signal()과 자식/부모프로세스 종료에 대해... [3] 녹차한잔의여2830 10/05/29 2830
82840 익스플로러 관련 멈춤 현상? [3] lightkwang1673 10/05/29 1673
82838 오늘 리쌍록을 약속때문에 못볼 것 같습니다 [14] 조각난미남2100 10/05/29 2100
82835 유령작가 보신분 계시나요? 진리는나의빛1936 10/05/29 1936
82833 정대세선수가 북한을 선택한 이유가 뭘까요? [7] 승천잡룡3146 10/05/29 3146
82832 비디오 게임기 질문입니다 [4] 유안1941 10/05/29 1941
82831 모니터 추천 부탁드려요. [2] 1664 10/05/29 1664
82829 포맷을 위한 웹하드를 추천부탁드립니다. [6] 현상2047 10/05/29 2047
82828 한달 뒤에 뉴욕 갈 예정인데 전기 코드 문제....해외 여행,어학연수 해보신분 조언 좀... [5] 창이2298 10/05/29 2298
82827 붉은 악마 머플러 가격 문의 드려요. [5] sweethoney2106 10/05/29 2106
82826 점프 공연 보신분 있으려나요? [5] DynamicToss1512 10/05/29 1512
82825 컴퓨터가 이상합니다. 도와주세요. [1] 옥희1482 10/05/29 1482
82824 화공 플랜트 설계에 관련한 질문 [3] 고카츄2702 10/05/29 2702
82821 대구 사시는 분들에게 여쭙니다~ 당일치기로 우방랜드에 갈려고합니다+맛집 질문 [7] 래토닝2884 10/05/29 288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