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5/22 19:58
캐릭마다 횡신이 좋다, 백대시가 좋다, 웨이브를 쓴다 뭐 이렇게 움직임 자체로도 조금씩 성능이 나뉘어서
그런게 다 매치되면서 상성 얘기가 나오는 거일꺼에요~
10/05/22 21:03
캐릭터가 40개니까
경우의 수가 800개.... 맞나요? 한 수백개 정도 되는데, 이걸 다 일일이 따질 수는 없죠. 상성표는 없습니다. 한 캐릭터를 오래 하다보면 얘랑 상대하는 건 쉽구나 얘는 어렵구나 하는 게 느껴집니다. 많은 사람들의 대전 경험이 모여서 상성이라는 게 생기죠. 40개 캐릭터의 모든 상성을 이야기 하지는 않고 자신의 주캐에 대한 대여섯 정도... 캐릭터의 상성은 많이 생각하게 됩니다. 상성은 특정 기술을 막고 나서의 딜캐, 횡방향, 판정 등등 여러가지에 의해 결정됩니다. 레이븐이 헤이하치한테 버즈소를 막 쓰는데 헤이하치는 못 띄우죠. 좀 유명한건 드라로 라스 못이깁니다. 5:95정도. 라스가 컷킥 막 쓰는데 드라로 못 띄웁니다. 그 밖에 기술 판정 하나하나가 상성. 곰은 덩치가 엄청 커서 별 희한한 벽콤을 맞는 경우가 있습니다. 쿠마 전용 벽콤이 있으면 쿠마에게 강하겠죠. 근데 곰은 다리가 짧아서, 일반 공콤을 좀 덜 맞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면 쿠마에게 좀 약하다고 할 이유가 되겠죠. 카즈야는 시계횡을 잘 못 잡습니다. 그래서 횡신 횡보가 좋은 캐릭에게 불리합니다. 리리나 미겔 등등. 슬라이딩 막고 콤보가 들어가면 리나 로우를 상대하기 좋을 거고 14프레임 띄우기가 있으면 리 미겔 브루스 등등에게 좋은 점이 있고.. 이런 여러가지 것들이 모여서 상성을 이룹니다. 그냥 두서없이 적었는데... 제일 좋은 건 직접 해보고 느끼는 거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