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8/24 17:01
우리나라는 인구도 적지만 구매력도 낮죠 더군다나 가계부채가 심각해서 내수가 더 어렵구요 우리와 인구규모가 비슷한 유럽은 우리보다 훨씬 잘살기 때문에 내수가 어느정도 돌아가구요 물론 지금은 유럽도 위기지만요
12/08/24 17:21
윗 분들 의견에 덧붙여
내수 활성화 효과가 큰게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 인데 한국은 전통적으로 서비스업을 낮게 여기죠. 고용주나 일하는 사람이나 .. 경제규모에 비해 서비스 산업이 작은것도 원인중 하나라고 합니다.
12/08/24 17:37
구매력이 좋아지려면 소득이 오르고 물가가 내려야죠. 그런데 소득이 오른다는건 인건비가 오른다는 소리고, 인건비가 오르면 물가가 같이 오르구요. 우리 나라가 내수강국이 되려면 임금을 더 올려야 합니다. 임금은 올리고 그에 따르는 물가 상승은 최대한 낮게, 그러니까 재화의 가치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인건비 상승분 만큼만 물가가 오를 수 있도록 하는게 내수가 성장하는 길이죠. 이건 결국 재화에 대한 비용이 아닌, 인건비가 중심이 되는 서비스업이 발전해야 한다는 소리 입니다. 일본이나 미국, 서유럽의 나라들은 이게 이루어진 나라들이구요. 이렇게 되면 소득도 오르고 물가도 오르지만 내수는 강화 됩니다. 그런데 이게 내수는 강화 되는 반면 수출, 특히 노동력이 많이 들어가는 분야에는 타격이 됩니다. 수출이 축소되서 입는 타격이 더 크면 오히려 내수도 위축 되어 버리구요. 개인적인 생각에는, 우리나라가 전통적으로 잘해왔던게 수출이기 때문에 그냥 잘하던걸 계속 잘하면 되지 이런 생각이 크지 않나 생각합니다.
12/08/24 17:54
우리나라는 사람값이 싸거든요. 지나치게. 개인적으로는 이 문제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이고, 이 문제만 해결되면 많은 부분이 해결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지나친 학구열, 대학 등록금, 청년실업, 출산율 등등)
적은 돈으로 많은 사람을 부릴 수 있다는 뜻은 바꿔말하면, 다수의 국민이 적은 돈을 받고 일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소수의 고용주만 이득이란 거죠. 결국 사람값이 오르지 않는다면 이 나라는 일단 더이상의 발전은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현재의 수준까지는 싼 사람값이라도 발전해 올 수 있었을지 모르지만, 그게 현재의 비정상적인 경제구조를 낳은 것이거든요. 앞으로는 그걸 완화해가야합니다.
12/08/24 19:04
거기다 유럽국가들은 말만 국가지 다 육상교통으로 연결되어 있는 같은 경제권역이거든요.
근데 우리나라는 사실상 섬이라 교역이 너무 불편한 점도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