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8/24 16:52:57
Name LEADA
Subject 국내 내수경제가 엄청나게 안 좋다고 들었는데 이유가 뭘까요?
무식하지만 한동안 궁금했던 점을 거침없이 질문 좀 해보겠습니다. -_-..

1.

인구 5000만명의 국가인 한국은
내수시장이 안 좋아서 수출로 먹고 살아야 한다고들 하던데

실제로 내수시장이라는 개념이 국가 내에서 생산, 소비를 같이 하는 것이 맞다면
우리나라 보다 인구수가 적은 국가의 내수시장은 더욱 안 좋을까요?

간단하게 여쭙자면 현재 한국의 '내수가 죽었다'라는 말은 정확히 의미인가요?

2.

반대로 일본은 수출을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내수시장이 튼튼하다고 하는데 우리와 어떤 구조적인 차이가 있을까요?


p.s. 무식해서 죄송합니다.. 흑흑..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뿌지직
12/08/24 17:0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인구도 적지만 구매력도 낮죠 더군다나 가계부채가 심각해서 내수가 더 어렵구요 우리와 인구규모가 비슷한 유럽은 우리보다 훨씬 잘살기 때문에 내수가 어느정도 돌아가구요 물론 지금은 유럽도 위기지만요
뿌지직
12/08/24 17:08
수정 아이콘
일본의 경우 인구도 많고 땅도크고 국민들도 잘살죠 일본의 위기는 정부의 문제지 가계의 문제는 아닙니다
3시26분
12/08/24 17:21
수정 아이콘
윗 분들 의견에 덧붙여
내수 활성화 효과가 큰게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 인데
한국은 전통적으로 서비스업을 낮게 여기죠. 고용주나 일하는 사람이나 ..

경제규모에 비해 서비스 산업이 작은것도 원인중 하나라고 합니다.
12/08/24 17:37
수정 아이콘
구매력이 좋아지려면 소득이 오르고 물가가 내려야죠. 그런데 소득이 오른다는건 인건비가 오른다는 소리고, 인건비가 오르면 물가가 같이 오르구요. 우리 나라가 내수강국이 되려면 임금을 더 올려야 합니다. 임금은 올리고 그에 따르는 물가 상승은 최대한 낮게, 그러니까 재화의 가치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인건비 상승분 만큼만 물가가 오를 수 있도록 하는게 내수가 성장하는 길이죠. 이건 결국 재화에 대한 비용이 아닌, 인건비가 중심이 되는 서비스업이 발전해야 한다는 소리 입니다. 일본이나 미국, 서유럽의 나라들은 이게 이루어진 나라들이구요. 이렇게 되면 소득도 오르고 물가도 오르지만 내수는 강화 됩니다. 그런데 이게 내수는 강화 되는 반면 수출, 특히 노동력이 많이 들어가는 분야에는 타격이 됩니다. 수출이 축소되서 입는 타격이 더 크면 오히려 내수도 위축 되어 버리구요. 개인적인 생각에는, 우리나라가 전통적으로 잘해왔던게 수출이기 때문에 그냥 잘하던걸 계속 잘하면 되지 이런 생각이 크지 않나 생각합니다.
12/08/24 17:54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사람값이 싸거든요. 지나치게. 개인적으로는 이 문제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이고, 이 문제만 해결되면 많은 부분이 해결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지나친 학구열, 대학 등록금, 청년실업, 출산율 등등)

적은 돈으로 많은 사람을 부릴 수 있다는 뜻은 바꿔말하면, 다수의 국민이 적은 돈을 받고 일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소수의 고용주만 이득이란 거죠.

결국 사람값이 오르지 않는다면 이 나라는 일단 더이상의 발전은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현재의 수준까지는 싼 사람값이라도 발전해 올 수 있었을지 모르지만, 그게 현재의 비정상적인 경제구조를 낳은 것이거든요. 앞으로는 그걸 완화해가야합니다.
12/08/24 19:04
수정 아이콘
거기다 유럽국가들은 말만 국가지 다 육상교통으로 연결되어 있는 같은 경제권역이거든요.
근데 우리나라는 사실상 섬이라 교역이 너무 불편한 점도 있습니다.
ataraxia
12/08/24 19:43
수정 아이콘
10년 넘도록 1인당 GDP는 20,000달러 언저리인데 물가는 계속 올랐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4141 안드로이드 어플을 아이폰용으로 바꾸는 게 어려운 일인가요? [6] move-1539 12/08/24 1539
144140 어떤 길드 이름이 그나마 나을까요? [1] 은안1557 12/08/24 1557
144139 계란후라이+케찹이랑 밥 비벼먹는것 어떤가요? [13] 지바고7463 12/08/24 7463
144138 디아3 패치되고 해보신분 어떤가요.. [5] 아레스1515 12/08/24 1515
144136 오락실 게임을 해보려고 하는데요. [4] poibos1313 12/08/24 1313
144134 호주 여행 도움 부탁드려요 [10] 이뿌니사과1780 12/08/24 1780
144133 그라가스가 요즘 유독 부각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11] S_Kun2197 12/08/24 2197
144132 기성용은 여전히 거피셜인가요??오피셜 아니고?? [2] 블루드래곤1828 12/08/24 1828
144131 영화 제목 질문입니다. [2] 노대누대1356 12/08/24 1356
144130 KCTC에서 복무하거나 훈련 뛰어본 분 계신가요? [15] rechtmacht4471 12/08/24 4471
144129 남자연예인 NO.3 를 가리자. [30] wizard2334 12/08/24 2334
144127 뜬금없이 카오스 명칭을 질문드립니다 [5] Smirnoff1346 12/08/24 1346
144126 면도에 대해서 질문점.. [2] 웃으며안녕1610 12/08/24 1610
144124 안드로이드 ndrive에서 음악 재생 잘 되시나요? [1] Suiteman1625 12/08/24 1625
144123 핸드폰 개통철회 조언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1] KAKA`1527 12/08/24 1527
144122 국내 내수경제가 엄청나게 안 좋다고 들었는데 이유가 뭘까요? [15] LEADA1877 12/08/24 1877
144121 피쟐 남성 회원분들은 어떤 스킨케어 제품을 쓰세요? [18] 샨티1580 12/08/24 1580
144120 [원룸관련]안산시에 대해 좀 아시는분 없나요? [3] 아스날1274 12/08/24 1274
144119 동생이 노트북을 산다고 견적을 뽑아 놨습니다. 2 [1] 이것봐라1389 12/08/24 1389
144118 인터넷 공유기에 대해 질문입니다!! [5] 지효Love1225 12/08/24 1225
144117 스타리그 3,4위전 질문입니다. 광개토태왕1291 12/08/24 1291
144116 간짬뽕+사천짜파게티 조합 해보신분 있나요? [6] 타나토노트5746 12/08/24 5746
144115 아 그런데 중국어 성조에 대해서 질문이 있어요!! (+다른 언어) [4] 여자친구1654 12/08/24 16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