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8/13 17:25
그 집단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서 달라질 것 같네요. 예를 들면 예전에는 개인의 문제로 치부되던 종교인의 문제 행동이 이제는 집단의 문제처럼 인식되면서 다른 종교인들까지 책임의식을 느끼는 것, 예전에는 문제시 되지 않았던 된장녀, 더치페이 문제도 그것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여성 전체가 책임의식을 느끼게 되는 것, 등등요.
명확한 기준은 없을 겁니다, 한국인의 총기난사는 개인의 잘못이지만 조선족의 살인사건은 조선족 집단의 문제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것처럼요. 굳이 따지면 해당 집단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좋을 수록 개인의 문제는 개인의 문제로 국한되고, 나쁠수록 전체의 문제로 확대되는 것 같아요. 따라서 내가 속한 집단에 대한 이미지가 안 좋을 경우-외국에서의 동양인, 우리나라에서의 전라도인, 남초집단내에서의 여성- 더 조심하고 더 책임감 느끼게 되겠죠 [m]
12/08/13 20:31
정답이 없는문제네요.
집단의 성격에 따라, 개인의 소속감의 정도에 따라, 사회의 성격에 따라 달라지는 거니까요. 또 요즘같은 인터넷세상에선 현실에선 순한 양이다가 온라인에선 집단얼굴 똥칠하는 사람이 될 수도 있는거구요. 특정집단의 어떤 상황을 상정하지 않으면 질문자체가 너무 광범위한거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