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6/01/07 18:46:30
Name OrBef
Subject 이공계의 길을 가려는 후배님들에게..1(이려나..??)
안녕하세요.

십수년 전에 이공계의 길을 택했고, 학부, 국내대학 석사과정, 대기업 연구원, 벤처 창업을 거쳐서 지금은 미국 대학에서 박사과정을 밟고있는.. 따라서 이공계의 길을 가는 사람들이 밟아보는 코스 중 제법 많은 부분을 경험해본 평범한 30대의 남자입니다.

이전부터 이런 글을 한번쯤 써보고 싶었는데, 두어달쯤 전에 피지알에 글을 썼다가 날려먹은 아픈 기억 이후로는 다시 쓸 엄두가 안나더군요. 이번에는 짧게 여러편에 나눠서 써보려고 합니다만.. 어떻게 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이 글을 쓰는 이유는.. 글쎄요.. 제법 오랜 시간을 이 분야에 몸담고 있다보니, '이런 부분만큼은 누가 미리 얘기를 좀 해줬었으면 정말 좋았을텐데..'하는 경험들이 자꾸 쌓이더군요. 그래서 제 뒤에 오는 분들은 저같은 실수를 하지 말고 바로바로 좋은 길로만 가기를 원하는 마음이 이유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오늘 말씀드리고 싶은 부분은, '분야 선택은 어렸을 때의 꿈에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소질과 취향에 마춰야 한다'라는 점입니다. 뭐 그리 당연한 얘기를 하느냐라고 하실 수 있지만, 얘기를 들어보시면 그게 그렇게 간단한 문제가 아닙니다.

제가 중학생때 칼 세이건(영화 컨택트의 저자로 유명하죠)씨가 쓴 '코스모스'라는 천문학 교양서를 읽을 기회가 있었습니다. 너무나 아름다운 얘기였죠. 단숨에 끝까지 읽은 저는, 제 친한 동네 동생녀석한테도 책을 권해줬었고, 그놈 역시 그 책에 완전히 매료되어버렸습니다. 그리고 그 동생은 실제로 천문학과에 진학을 했고, 저는 별을 보는것 보다는 별에 가고싶다는 생각에 기계공학과로 진학을 했습니다. 결과는? 그 동생은 천문학을 접은 뒤 사시 준비를 하게 되었고, 저는 공학 공부가 너무 괴로운 나머지 졸업을 연기하고 폐인생활을 하다가 어찌어찌(이부분은 말씀드릴수 없습니다) 마음을 잡고 지금은 울부짖는 심정으로 그냥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후배님들도 꿈은 시작은 저랬을 겁니다. 나중에 고3 입시에 닥쳐서 분야를 선택할 때는 '이정도의 성적으로 갈 수 있는 곳은 A학교의 a학과, B학교의 b학과 등등등' 이런 식으로 생각을 하시겠죠. 좋습니다. 그것도 나쁘지 않고, 반드시 필요한 부분입니다.

'꿈' 이라는 것은 자신이 원하는 목표일 것이고,
'성적'이라는 것은 자신이 가진 능력일 것입니다.

근데, 많은 분들이 놓치는 부분이 바로 아까 말씀드리려고 했던 '소질'과 '취향'입니다.

말하자면.. 대마왕이 인류를 위협하고 있고, 그것을 무찌르기 위해 5명의 결사대를 조직한다고 칩시다. 전사/마법사/도둑/용사/사제 이렇게 5명이 모여서 여행을 떠나는데, 당신은 어떤 역할로 거기에 참가하시겠습니까? 설령 마법사로서의 소질이 어마어마한 당신이더라도 전공선택을 전사로 택한다면 평생 자신의 소질을 발견할 기회도 놓치고 전체 결사대에도 해만 끼치는 결과를 초래하겠죠.

마찬가지로, 이공계에서 '연구'에 기여하는 능력은 크게 3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상상력
분석능력
추진력

또한 이공계에서 본인이 '연구활동'을 즐기기 위한 취향에도 크게 3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수리/논리 영역에서의 이론적 활동에 대한 취향
실험적 검증 활동에 대한 취향
연구 활동 기획에 대한 취향

능력이라는 부분은.. 본인이 얼마나 자신이 속한 조직에 기여할 수 있느냐를 결정짓는 요소일 것이고, 취향이라는 부분은 자신이 얼마나 행복하게 살 수 있느냐를 결정짓는 요소입니다.

제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저런 부분에 대한 성찰을 통해서 전공을 선택하는 것이 빠져서는 절대로 좋은 전공 선택을 할 수 없습니다.

꿈이라는 것? 물론 중요합니다. 근데, 사실 그게 전공선택과 큰 연관이 없다는 것을 나중에 가면 알게됩니다.

제 얘기를 해볼까요? 전 기계공학을 전공했습니다만.. 제가 지난 7년정도동안 연구한 것들을 돌이켜보면, '극소 거울들을 100만개 조합해서 TV화면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기술', '압전 진동체를 이용한 셀폰 주파수 필터', '축전형 가속도계를 이용한 캠코더 떨림방지 기술', '송유관의 진동을 흡수해서 이상 진단에 사용하는 자가발전기' 입니다. 상당히 서로 연관이 없어보이죠? 네 그렇습니다. 이공계 연구인력이 시간에 따라 가지게 되는 것은 '여러가지 연구를 행하는 특정 능력'이지 '특정 연구를 행하는 여러가지 능력'이 아닙니다. 대마왕을 잡기위해선 여러가지의 능력이 필요하고, 당신은 그 중 하나를 가지게 되는거죠.

다른 학문도 마찬가지입니다. 생물이 너무 아름다우세요? 제가 있는 학교에서 저희과에서 행하는 바이오 관련 프로젝트만도 몇십억 단위가 넘어가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물리학이요? AFM 은 물리학과보다도 기계공학과에서 더 많이 하죠.

저희 과 자랑이 아닙니다. 다른 과에서 기계과보다 훨씬 잘하는 분야는 더더욱 많을겁니다. 제 요점은, 이공계쪽 학문은 점차 그 구별이 애매모호해져가고 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아까 말씀드렸듯이 '난 이 과가 아니면 안돼' 라는 생각은 별로 좋은 생각이 아니라는 것이고, 그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에게 내재한 소질과 취향에 맞는 선택이라는 점입니다.

상상력이 풍부한 분이 기존연구를 재확인하는 연구분야를 해선 안되고,
실험에 대한 취향이 풍부한 분이 이론 연구를 해도 안되고,
이론을 좋아하는 먹물쟁이 기질의 분이 기획을 해도 안됩니다.

어쩌다보니 굉장히 부정문으로 가득한 글이 되어버렸군요. 마지막 3줄에 대해 좀 더 길게 쓰고 싶은데, 오늘은 시간이 안될것 같습니다. 다음기회에 추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주말 되세요.
* Noam Chomsky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1-11-22 23:20)


2편.  이공계의 길을 가려는 후배님들에게..2   https://pgr21.net/?b=2&n=41
3편.  이공계의 길을 가려는 후배님들에게..3   https://pgr21.net/?b=2&n=55
4편.  이공계의 길을 가려는 후배님들에게..4 - 대학원 진학   https://pgr21.net/?b=8&n=307
5편.  이공계의 길을 가려는 후배님들에게..5 유학(전편)   https://pgr21.net/?b=8&n=551
5편.  이공계의 길을 가려는 후배님들에게..5 유학(중편)   https://pgr21.net/?b=8&n=1588
6편.  이공계의 길을 가려는 후배님들에게..6 현실과 대응   https://pgr21.net/?b=8&n=3105
7편.  이공계의 길을 가려는 후배님들에게..7 능력의 한계   https://pgr21.net/?b=8&n=3456
8편.  이공계의 길을 가려는 후배님들에게..8 소제목 그런거 없습니다.   https://pgr21.net/?b=8&n=4668
9편.  이공계의 길을 가려는 후배님들에게..9 돈의 힘   https://pgr21.net/?b=8&n=5956
10편. 이공계의 길을 가려는 후배님들에게..10 내공   https://pgr21.net/?b=8&n=16981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BOUTSTARCRAFT
06/01/07 18:53
수정 아이콘
음 좋은 글 감사합니다...이번에 수능쳤습니다.
이번에 전자공,기계공,생명공 넣었는데 다 붙었으면 좋겠는데..
님의 글을 읽고 기계공 붙고 싶다는 생각이..-,.-;
솔직히 적성이 맞는지 알수가 없네요..후 난감..^^;;
대학가서 알수있을듯..
D.TASADAR
06/01/07 19:11
수정 아이콘
정말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이공계가 아닌 다른 길을 전공으로 하고 있는 저이지만 공감이 가는 좋은 글이네요.
06/01/07 19:17
수정 아이콘
이제 2학년으로 올라가면서 세부적인 전공분야를 선택하는 최초의 기로에 서있는 학생입니다..
정말 좋은 글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06/01/07 19:21
수정 아이콘
최근의 이공계는 정말 학과 구분이 모호해졌죠.
과들 자체의 커리큘럼도 그렇거니와 요즘은 특히나 복수전공을 장려하고 있기 때문에 처음 선택하는 과가 예전만큼 절대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보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물론 기계과와 생명과.. 뭐 이런 정도는 아주 많이 다를 수 있지만요. ^^

이런 얘기들을 하곤 합니다. 학교보다 자신의 적성을 살려서 과를 맞춰서 가야 하지 않겠냐.. 이러는데... 사실 아직은 학교 간판이란 게 꽤나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예 동떨어진 과가 아니라면 일단 학교를 지원해 놓은 후에 과를 선택하는 것도 그리 나쁘지는 않아 보인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덧붙이지만... 이공계.. 위기다 뭐다 하지만 그래도 그나마 이공계가 취업이 잘 되는 편 아닌가요? 물론 의사, 변호사 등에 비하면 암울하다고 보는 게 맞긴 합니다만-_-;; 그것도 적성에 맞아야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저로서는 그 외의 길을 선택하라면 역시 그나마 이공계가 개중에선 무난하지 않을까 싶네요.

아, 그리고 글 잘 읽고 갑니다. ^^
CoNd.XellOs
06/01/07 19:54
수정 아이콘
문과이지만 좋은 글 감사합니다 ^^
06/01/07 20:18
수정 아이콘
저한텐 참 좋은 글이네요.
Challenging Qs
06/01/07 20:19
수정 아이콘
자신의 소질과 취향을 알기가 너무 어려운 것 같아요.^^
이웅익
06/01/07 20:32
수정 아이콘
ㅠ.ㅠ 저는 수시 합격해서 마냥 좋아했는데 좋아할게 아니군요...
서울에 있는대학도 아니고 그냥 지방국립대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인데요.. 수능보면 이대학도 못갈끼봐 그냥 쓴 대학입니다..
특히나 저는 수학,물리에 정말 약한데요.. 수시 붙고 나서 열심히 해야지 생각했는데 요즘은 그냥 집에서 놀기만 하고.. 지금부터 공부해도 대학가서 따라갈수 있을까요?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개사료맛있다
06/01/07 20:33
수정 아이콘
아 얘기만 들어도 머리가 아프네요.. 저도 한때 공대생이었는데..
악하리
06/01/07 20:35
수정 아이콘
자기 적성이 뭔지 고등학교때 아는것도 정말 힘들죠.
06/01/07 21:52
수정 아이콘
제 경험으로는 수학은 모르겠고
물리는 대학 와서 열심히 해도 대학물리 1학년 과정은 잘 따라갑니다. 제 경험입니다. 학교가 다르면 다를지도 ㅡ_ㅡ;
06/01/07 22:38
수정 아이콘
리플들 감사합니다 ^^ 다음 글에서 대부분의 리플에 대한 대답을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만..
이웅익님/지금부터 공부해도 대학가서 따라갈수 있을까요?
이건 걱정 안하셔도 될 듯 합니다 ^_^
06/01/07 23:58
수정 아이콘
이웅익님//전혀 관계없읍죠-ㅇ-
지방국립대면 혹시 K대 말하시는게 아닌지..한강이남 최'대'의 학부로서 많이들 들어와서 수능성적이 천차만별인데요..
그 수능성적이 학점에 비례하느냐? 천만의말씀만만의콩떡이죠;
자기 노력하기 달렸습니다^-^ K대오시면 열심히하세요~
이웅익
06/01/08 09:17
수정 아이콘
좋은 답변들 감사합니다^^
그래도 오늘부터 열심히 할거에요^^
OrBef// 앞으로도 좋은글 부탁드리고요...
LemonA// K대는 아니지만 열심히 하겠습니다 ^^ 근데 K대가 어디죠?
제이스트
06/01/08 12:46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빨리 2.. 3편이 보고싶네요.
06/01/08 14:41
수정 아이콘
이웅익// 아마 대구 경북대일껍니다
Ryu Han Min
06/01/09 12:42
수정 아이콘
전 후배들에게 재수해서 의대가라고 권해드립니다.
Noam Chomsky
11/11/22 23:29
수정 아이콘
운영진 촘스키입니다.
이 글은 총 10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방대하고도 정성이 가득한 글입니다. 하여 시리즈 모두를 본문에 링크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올라갈팀은올라간다
11/11/23 12:00
수정 아이콘
드디어! OrBef님의 글이 추게로 올라왔군요.
그늘진청춘
11/11/23 16:26
수정 아이콘
고등학교때 보고 참 많이 도움이 되었던 글이네요.
11/11/24 02:03
수정 아이콘
저 글을 쓴 것이 벌써 5년 전이군요. 그동안 참 많은 일이 있었는데...
11/11/24 12:35
수정 아이콘
이거 눈팅유저일때 '뭔가 머리가 아프다.'(....)라면서 지나쳤다가 제대한 이후 정신차리고 스스로에 대해 나름 열심히 생각하다보니 이 글이 다시 생각나서 읽으려니까 자게/겜게에서 2, 3편을 못 찾아서 못 읽고 있었는데 에이스 게시판에 숨어 있었군요. 크크크 감사하게 읽겠습니다.
눈시BBver.2
11/11/25 15:45
수정 아이콘
오옷 이것이 ORBEF님의 글!
찰박찰박찰박
11/12/02 21:51
수정 아이콘
근데 링크가 연결이 잘 안되네요 ㅠㅠ 꼭 보고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64 재액(災厄), 정명훈 [59] 한니발31068 10/08/18 31068
563 현근대사 최고의 정치 사기극 [59] Cand38078 10/07/02 38078
562 홍진호를 위하여. <BGM> [87] Hanniabal17739 10/06/28 17739
561 너는 이미 죽어있다. [58] fd테란17877 10/05/29 17877
560 예의를 지켜야죠 [66] 信主SUNNY25232 10/05/26 25232
559 2010년 독수리오형제는 무엇을 하고 있을까 [13] 박진호9692 10/05/25 9692
558 최종병기 이영호 [57] fd테란14473 10/05/14 14473
557 열정 [55] Judas Pain11708 10/05/10 11708
556 지금 만나러 갑니다. [94] 온리진12956 10/03/12 12956
555 어떤 혁명가의 이야기 [36] 귀염둥이 악당8755 10/04/24 8755
554 [스압] 주옥같은 동물관련 판님 댓글 모음 Part 1. [57] ThinkD4renT17615 10/03/28 17615
553 플토 컨트롤의 로망, 다크로 마인 썰기 [38] 빵pro점쟁이14772 10/03/23 14772
552 하태기 버프, 투명 테란 이재호에 관한 소고 [58] kimera12137 10/03/14 12137
551 꺼져가는 속도거품, 드러나는 테저전의 끝 [66] becker12184 10/03/07 12184
550 [본격 알콜섭취 유도글 1탄] 니들이 진(gin)을 알어? [62] Arata9439 10/02/22 9439
549 눈이 정화되는 로고들을 한 번에 봅시다! [39] Alan_Baxter11991 10/02/12 11991
548 진화와 창조에 관한 이야기(1)-들어가기(개정판) [43] 반대칭고양이5932 11/02/12 5932
547 [서양화 읽기] 그림이 당신에게 묻다 -1- [31] 불같은 강속구5747 10/02/09 5747
546 박상우에 대한 기억 [40] 트레제디8970 10/02/08 8970
545 임요환을 위하여. <BGM> [163] Hanniabal28800 10/01/20 28800
544 어느 비상한 사람의 비상한 삶과 죽음 [18] happyend5974 10/01/11 5974
543 이공계의 길을 가려는 후배님들에게..1(이려나..??) [29] OrBef30157 06/01/07 30157
542 스타리그 4강 진출자를 바라보는 네 개의 시선들 [38] becker9201 09/12/31 92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