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3/10/29 12:55:12
Name 칭찬합시다.
Subject 어떤 과일가게 (수정됨)
고향집에서 걸어서 3분 가량을 가면 작은 청과점이 있었다. 내가 그 앞에서 유치원 승합차를 타던 시절도 있었으니 20년은 족히 넘었다. 인도를 오가며 내부가 훤히 보이는 커다란 창을 통해 안을 보면 주인 아저씨는 늘 높은 선반 위의 텔레비전을 멍하니 바라보고 있었고 손님이 오면 주섬주섬 일어나 과일 바구니의 과일들을 봉투에 담아 주었다. 누군가는 사과를 어떤 이는 배를, 과일을 사지 않는 이들은 담배를 사갔다.

수십년을 봤지만 그 아저씨는 매일 아침 일찍 가게를 열었다. 학창시절 수학여행 집결지에 일찍 모이기 위해 새벽녁 집을 나섰는데 벌써부터 부산스럽게 장사 준비를 하시던 모습에 놀랐던 기억이 난다.

가게는 작았고 과일을 특별한 것이 없었다. 작은 소쿠리에 사과나 배, 바나나, 딸기 같은 것들이 가득했고 최근 유행한 샤인머스킷이 구석에 보였다.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많다던 애플망고 같은 과일은 들여놓지 않았다. 갈수록 단골만 가는 그런 집이 되어갔다. 나 역시 어린 시절 부모님의 심부름으로 몇 번 구매를 한 것 말고는 방문한 적이 없으니 나는 그에게 손님이라기보단 행인이나 주민이었다.

그곳은 어떤 특별한 추억이 있는 장소라기보단 그냥 풍경 같은 곳이었다. 집 근처에 늘 존재하던 가로등이나 전봇대, 멀리 보이는 붉은 십자기의 불빛 같은거. 대학시절 오랜만에 집에 들렸다 그곳에 진열된 과일들이 너무 반듯하게 놓여있는 것을 보고 싱숭생숭했던 기억이 난다. 새벽녘에 신경써서 과일을 예쁘게 놓았을 주인아저씨의 모습이 상상되며 그의 최선과 고심이 타인에겐 수십년 간 알아채지도 못할 일이었다는게, 아마 나의 최선도 타인에겐 그러할 것이라는 게 마냥 우울했었다.

오랜만에 간 고향집에서 앞 과일가게에서 이제 문을 닫는다는, 정갈한 손글씨로 쓰인 벽보를 읽었다. 그래서 이 글은 과거형으로 쓰여졌다. 내가 집에 머문 고작 며칠 사이에 과일가게는 뜯겨나가고 그 자리엔 어디서나 보이는 편의점이 들어섰다. 편의점이 새로 생기는게 일주일도 채 안 걸린다는게 놀랐고 누군가의 수십년이 정리되는 시간도 찰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친구들한테 말하니 웃으며 우리도 늙었다고,  그래서 이제 그런게 보인다고들 하더라.



* 배려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5-02-26 07:43)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 게시글로 선정되셨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어느새아재
23/10/29 15:55
수정 아이콘
저희는 랜드마크 개념이었던 중국집이 간판내리길래
아..여기도 바뀌는구나 했는데
그분들이 다시 고깃집을 딱! 크크크
한동네 오래 사니까 그런게 잘 보이는 듯합니다.
윤니에스타
23/10/30 10:42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요새 가게들 없어지는 거 정말 순간이더라요. 특히나 자주 가던 가게가 그렇게 폐업을 하고 엄한 가게가 들어온 걸 볼 때는 살짝 마음이 먹먹해지는..
과수원
23/10/30 12:11
수정 아이콘
그런데 생각해보면 그 오랜 시간동안 장사 열심히 하셨으면
이제 쉴 때가 되셔서 닫으신 것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원호문
23/10/30 15:17
수정 아이콘
풍경으로 남아있던, 당연하던 공간이 바뀔 때 문득 허무해지는 순간이 있더군요. 그 풍경 속에 있던 나 자신의 시간까지 사라진듯 하여 그런걸까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추천게시판을 재가동합니다. [6] 노틸러스 23/06/01 32718
3905 인류 역사의 99%를 알아보자: 서울에 200명도 안살던 시절 [10] 식별9014 24/07/16 9014
3904 ‘삼체’를 소설로 읽어야 하는 이유 [35] Schol8917 24/07/14 8917
3903 아이를 LG트윈스의 팬으로 만든 죄책감에 대하여 [43] likepa8350 24/07/10 8350
3902 2024년 방콕 광역권 지도 업데이트 [13] 쿠릭8148 24/07/04 8148
3901 장롱면허 레이 운전 분투기(3시간) [82] 사람되고싶다10214 24/06/16 10214
3900 [에세이] 군대에서 광신자가 되는 방법 [9] 두괴즐15731 24/07/03 15731
3899 전통주 회사 전직자의 주관적인 전통주 추천 [69] Fig.115987 24/06/11 15987
3898 공군의 F-4E 팬텀 퇴역식을 담아봤습니다. [17] 한국화약주식회사15437 24/06/07 15437
3897 네안데르탈인에 대해 알아봅시다 [25] 식별17014 24/06/19 17014
3896 2024년 방콕 중심지 지도 업데이트 [30] 쿠릭15353 24/06/18 15353
3895 구직을 마무리하며 - 많은 분들에게 감사했던 시간 [33] Kaestro12595 24/06/06 12595
3894 돈과 시간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57] 모찌피치모찌피치12126 24/06/01 12126
3893 [역사] ChatGPT가 탄생하기까지 / 인공지능(딥러닝)의 역사 [20] Fig.111886 24/05/28 11886
3892 [장르론] '한국풍'이라고 말할 수 있는 세계관의 방향 [17] meson10552 24/05/26 10552
3891 나는 어떤 얘기들을 들을 수 있었을까 [5] 바이올렛파파10142 24/05/26 10142
3890 구축 아파트 리모델링 공사 후기 [19] GogoGo15572 24/05/24 15572
3889 [잡담] 새로 생긴 로또 판매점 [26] 언뜻 유재석14560 24/05/22 14560
3888 조직 안의 나르시시스트들 [68] 글곰14515 24/05/22 14515
3887 재미로 코딱지 파는 심리를 통계 분석해 보았습니다. [31] 인생을살아주세요14672 24/05/19 14672
3886 [스압 & 데이터] 어제 찍은 오로라 사진 [18] 엔지니어13903 24/05/12 13903
3885 마카오에서 만난 아저씨 이야기. [22] 가위바위보16737 24/05/09 16737
3884 3년간 역사 글을 쓴 회고 [19] Fig.115677 24/04/30 156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