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JUNG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9/11 11:08:38
Name 사이시옷
Subject [질문] 대출 갚는 순서 질문입니다. (수정됨)
안녕하세요.

주택 구매로 대출을 두 가지 가지고 있는데 어느 것부터 먼저 갚아야 하는지 고민이 돼서 질문드립니다.

1. 특례보금자리론 1억 6백만원: 고정금리 4.4%, 40년 만기 체증식 상환
2. 직장 대출 5천만원: 변동 금리 4.9%, 2년 거치 후 8년 만기 상환(거치 기간 계속 연장 가능)

와이프는 원금이 큰 1을 먼저 갚아야 된다고 보고, 저는 금리가 높은 2를 먼저 갚아야 된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둘 다 문돌이라 수학에는 영 젬병이고ㅠ 각 은행사에서 조회를 해 보려고 해도, 특히 특례보금자리 같은 경우에는 아직 채권 매입이 안돼서 확인이 어렵네요.

여러분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

"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
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몽키매직
23/09/11 11:17
수정 아이콘
2번이요. 금리도 금리지만, 대출은 현금이 필요할 때 다시 대출받는 난이도가 쉬운 것부터 갚는 게 안전합니다. 그래서 마통 있으면 마통이 상환 1순위인 거고요. 갚아도 언제든 현금처럼 빼서 쓸 수 있기 때문에. 주택담보대출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에 만기가 긴 것은 가장 나중에 갚는 게 낫습니다.
프즈히
23/09/11 11:19
수정 아이콘
직장 대출은 주택 담보가 아니로 신용 대출로 잡혀있을 것 같은데 그렇다면 직장 부터 갚는게 안전하십니다.
여차 하면 다른데서 다시 빌릴 수도 있고, 혹시 실직이나 이직 시 약관에 의한 발목도 덜 잡히실거고요.
23/09/11 11:20
수정 아이콘
저라면 2번이요 1번에 비해서 변동가능성이 더크다고(퇴사하면 갚아야 하고, 기간도 더 짧아서 어차피 먼저 갚아야 하니) 생각 되서요

근데 이거 수학적으로 계산한건 아니여서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덴드로븀
23/09/11 11:26
수정 아이콘
2번입니다.
정채연
23/09/11 11:38
수정 아이콘
무조건 2번입니다.
1번은 한 번 갚아버리면 다시 빌리기 힘들지만 2번은 갚은 뒤에 언제든지 다시 빌릴 수 있어요.
SAS Tony Parker
23/09/11 11:42
수정 아이콘
리스크로 봐도 2번이 변동이기 때문에 2번을 해치워버리는게 관리상 좋죠 변수가 너무 많아요
장가갈수있을까?
23/09/11 11:54
수정 아이콘
닥2 입니다. 고민 할 이유가 없습니다. 보금자리론은 따 갚...................................................
푸르미르
23/09/11 11:55
수정 아이콘
직장은 언제든지 변수가 발생할 수 있으니 저라면 2번부터 상환합니다.
하우두유두
23/09/11 12:22
수정 아이콘
2번입니다. 저도 2번부터 갚았구요.
냉이만세
23/09/11 12:28
수정 아이콘
많은 분들 말씀처럼 이런 경우라면 2번을 먼저 정리하는게 좋다고 봅니다.
보금자리론이면 나중에 정리하는게 유리하죠.
23/09/11 12:47
수정 아이콘
추가로, 직장 퇴사하면 보통 한방에 갚아야해서 회사대출부터 갚는게 보통 제일 안전합니다..
이거 생각안하고 퇴사하다가 당황하는분들도 꽤 봤네요
23/09/11 12:54
수정 아이콘
2번 먼저 하고 1번은 아마도 중도상환수수료가 있을 것 같은데요. 일부 상환은 언제든 해도 되고요.
고오스
23/09/11 13:35
수정 아이콘
당연히 2번입니다

변동금리 부터죠
샤한샤
23/09/11 14:26
수정 아이콘
원금이 높은거부터 갚겠다는건 정말로 참신한 발상이네요 솔직히 이런 생각을 하는건 처음 봤습니다.

저는 좀 다른 의견 제시하고싶은데 소득이 얼마나 되시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이자가 부담이 안된다면 안갚는것도 방법입니다.
요즘처럼 대출통제 빡세게 하는 시절에 신용대출도 있고 주담대도 나오기가 쉽지 않습니다.
특례론이 DSR 안봐서 가능한 특수상황인건데 지금 섣불리 상환해버리면 나중에 돈 필요할때 대출이 안나올 확률이 좀 있습니다.

물론 다른 자산 투자를 해서 4.5%보다 높은 수익률을 내야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만 이게 가능하다고 판단되시면 안갚는거 추천합니다.
그리고 특례보금자리는 중도상환 수수료가 없습니다. 이게 일시상환할때 면제인지 수시로 면제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하여튼 그렇습니다.
회사에서 나온 신용대출은 중도상환 수수료 이런거 어떻게 되어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잘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변동금리부터 갚는다.. 글쎄요 이것도 잘 모르겠습니다.
다음달 금리가 어떻게 될것이다 이런건 잘 모르겠지만 내년 금리는 제가 100% 장담하는데 지금보다 떨어질겁니다.
사이시옷
23/09/11 14:43
수정 아이콘
많은 조언 감사드립니다. 2번부터 먼저 갚겠습니다!
이른취침
23/09/11 16:00
수정 아이콘
저도 2번... 금액이 적은 것부터 갚는 게 정신건강 상으로 좋습니다.
일단 적더라도 다 갚으면 꽤 큰 성취감 혹은 홀가분함이 듭니다.
우도땅콩찰떡파이
23/09/11 16:50
수정 아이콘
주택담보대출은 시간이 알아서 갚아줍니다.
오래전 짜장면 값이 3천원에서 6천원으로 오르듯
현금 흐름만 잘 유지하시면 인플레이션이 자연스럽게 부담을 낮춰주게 되어 있습니다.

2번은 빨리 갚으세요!
23/09/11 22:54
수정 아이콘
당연히 2번이긴한데,
저라면 그냥 그 돈 적금넣습니다...
왜냐면, 주거를 위해 받은 대출의 이자는 추후 세액공제 대상입니다.
사탕바구니
23/09/12 04:55
수정 아이콘
세액공제 아니고 소득공제 아닌가요? 그리고 1번만 해당되구요
보금자리론 가능한 소득구간에서 1억 대출 소득공제해서 절세가 얼마 안될거같고+적금이자도 16.5프로 세금 내는데 적금이 더 나을가능성이 안 높을것 같아요
23/09/13 15:09
수정 아이콘
소득공제 맞습니다.. 맨날 거꾸로 적네요…
적금이자 + 공제 - 대출이자인데 말씀하신대로 소득구간 고려해서 고민해봐야겠습니다.
바위꿈틀
23/09/12 16:17
수정 아이콘
2번부터
1번은 최대한 늦게 갚아야죠 안갚을수 있으면 안갚는게 좋아요
별빛다넬
23/09/14 19:35
수정 아이콘
금리가 별차이도 안 나는데요?
돈 더벌수 있는 방법을 공부합니다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2562 [질문] 당산? 상견례 식당 추천 부탁 드려요 [7] 대출 30년7436 23/09/11 7436
172561 [질문] 부모님 핸드폰을 바꿔드릴 타이밍이 되었는데요 [2] 손금불산입6463 23/09/11 6463
172560 [질문] 교통사고 합의 및 보상 관련 [10] 슬래셔8503 23/09/11 8503
172559 [질문] 혹시 우마무스메 pgr 서클 있나요..? [6] Aquaris6047 23/09/11 6047
172558 [질문] 똑같은 제조사,성분 제품이라도 맛이 다를 수 있을까요? [16] CastorPollux6984 23/09/11 6984
172557 [질문] 게임 콜오브듀티를 해보려고 하는데 질문드립니다. [4] 목캔디7642 23/09/11 7642
172555 [질문] chkdsk 결과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4] 카페알파6145 23/09/11 6145
172554 [질문] 대출 갚는 순서 질문입니다. [22] 사이시옷8679 23/09/11 8679
172553 [질문] 시리얼 먹는 방법 [34] 수리검7544 23/09/11 7544
172552 [질문] [스포]드라마 무빙 설정 질문입니다. [17] 카즈하6015 23/09/11 6015
172551 [질문] 한자나 일본어는 세로로 쓰는게 더 가독성이 좋을까요? [10] 스물다섯대째뺨7107 23/09/11 7107
172550 [질문] 레이싱 게임 질문드립니다 [1] 느린마을버번6242 23/09/11 6242
172549 [질문] 러닝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펠릭스8022 23/09/11 8022
172547 [질문] 계약직 면접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들 계시나요? [16] Lissac7780 23/09/10 7780
172546 [질문] 글 쓰실 때 스페이스 두 번이나 세 번씩 넣어서 띄어쓰시는 분들께 질문 [10] 척척석사7923 23/09/10 7923
172545 [질문] 80인치 이상 전자칠판 제품 좋은 것 있을까요(Feat. 나라장터) [3] 엔쏘7732 23/09/10 7732
172544 [질문] 서울역 근처 인당 4만원 모임장소 [3] 화서역스타필드8222 23/09/10 8222
172543 [질문] 브렉시트는 누구의 책임이라고 생각하시나요? [18] Rays8218 23/09/10 8218
172542 [질문] 이 노트북 사려고하는데 괜찮을까요? [14] 이오르다체7425 23/09/10 7425
172541 [질문] 게임 실행시 에러가 발생합니다 깐딩6345 23/09/10 6345
172540 [질문] 갤럭시워치 녹음 앱 동기화 질문 아르키메데스5884 23/09/10 5884
172539 [질문] 티비 구입 질문 Lg 65인치 Fhd 2016 중고 28만 vs 중소 55인치 4k 새거 40만 [4] rukawa6897 23/09/10 6897
172538 [질문] 드퀘 11s 시점 관련 문의 드립니다. [8] 회색사과7343 23/09/10 73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