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11 01:28
전에도 이렇게 정리된 내용을 본 거 같은데
막걸리 농가는 왜 생각을 안하고 이런 결과를 낸건지.. 잘됐으면 고기가게에서 막걸리 한 잔 시켜서 마시고 할 수도 있었을텐데...
25/08/11 06:09
여러번 같은 댓글을 달지만 이런 기업이 상징이 된다는게 신기합니다. 기업에 도덕적 완벽함을 기대하는건 넌 센스인데 적어도 기본적인 컴플라이언스는 지켜야 상장이 되는거 아닌가요?
25/08/11 06:25
바베큐 그릴도 그렇고, 그냥 프차도 맛 한번 보면,
남들이 돈 쓰는거 보고 [왜 이렇게 돈을 그렇게 써? XX XX하면 돠는거 아니야?]하고 자기가 천재인줄 알고 세상만사 쉽게 생각하고 뛰어드는데, 결과물을 보면 항상 모양새만 그럴싸하고, 가격은 저렴해보이지만 내용물은 가격 그 이상으로 저품질이고 무엇보다 세상 사람들이나 상대방이 그렇게 고비용을 들여야하는 이유가 있는건데, 거기에 숨겨진 기술적, 법률적 제약 의미를 하나도 모르고 자기가 똑똑한양 행세한거죠...
25/08/11 06:56
이 모든게(일의 본질 X / 대중에게 백종원의 이면이 알려지기 시작함 O) 빽햄 논란부터 출발한 나비효과였다라고 생각을 해보면, 백종원이 빽햄 터질때 바로 도게자 박고 그에 따르는 상응조치를 했다면 어땠을까 문득 궁금해지네요. 그 평행세계에서는 최소한 흑백요리사 시즌2는 볼 수 있었겠죠...?
25/08/11 07:28
요즘드는 생각이 백종원씨는 방송에 의해 만들어진 요리천재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스푸파도 pd와 작가들에의해 충분히 사전정보가 오갔다면 음식에 대한 전문성을 부각시킬수 있었을테고 마리텔도 담당작가가 평범한 맛에도 과한 리액션으로 호응해주고 맛없다고 평가한 작가는 그냥 웃어 넘겼죠 흑백요리사도 피디나 작가가 그 유명한 빠스를 사전에 언급해줬을수도 있겠지요 다른 방송에서 요리에 실패하면 그냥 실수한 요리로 넘어가면 됐고요
그런 이미지들이 백종원을 절대 미식가 혹은 장사천재로 만들었다면 실제는 그냥 거품이었다고 보는게 맞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25/08/11 07:47
애초에 백종원이 각광받던 이유를 생각하면 저럴만하죠. 저렴한 식자재로 고급 식자재를 대체하는 조리법으로 빵 떴으니까요. 당연히 쉽고 저렴하게 만드는 막걸리를 생각하지 어렵게 로열티 주고 기술 도입 안합니다. 절대 찾아가서는 안될 사람을 찾아갔네요.
25/08/11 08:44
백종원 쉴드칠 생각은 전혀 없고...
백종원 제외하면 아무도 막걸리 시장에 안뛰어드는 현실로 봐서 성공하기 힘든 아이템이었다 생각을... ㅠ 저는 와인 다음으로 막걸리를 좋아하는데, 저도 밖에서 마실때 막걸리 찾은 기억이 없네요, 몇몇 특수 안주인 경우 제외하면
25/08/11 08:16
확실히 기업이 무너지는건 조롱의 대상이 되는게 답인것 같습니다.. 다른기업들 이슈와 달리 백종원쪽은 이제 관련업계에서 다시는 예전 위상 못찾을 수준의 재기불능이 되긴 했으니 말이죠.
25/08/11 08:29
작곡? 리멬?하던 어떤 사람이
큰 엔터가서 상담했다가 얘기만 하고 나온뒤에 나중에 그 사람이 만든거랑 비슷하게 나와서 그걸로 표절시비 붙고 했던 그 케이스랑 너무 똑같네요 대기업의 마인드가 중소기업 기술빼먹고 겉으로만 이미지메이킹 하는 땅은 대국인데 마인드가 소국이라 중국이다 라고 한 것도
25/08/11 08:36
불법이든 거짓이든 백종원이 책임지겠지만
결국 피해자는 가맹점주들이라는거죠. 그 피눈물을 누가 어떻게 보상해주나요. 무책임한 프차들은 진짜 악마들입니다.
25/08/11 08:46
흠...
개인적으로 백종원 싫어하긴 하지만 아이디어 경우 배꼈다기 보다는 컨셉만 가져갔다고 보이긴 합니다. 제가 기업의 입장을 대변하는 건 아니지만 아마 더 본 입장에서는 당연히 저 기술을 가지고 하긴 할려고 했을 겁니다. 다만 저 기술에 대한 특허 사용료 및 로얄티 관련해서 타산이 맞지 않아서 그런게 아닐까 생각되구요. (아마 이부분은 이야기 안했을 가능성이 있고) 그러다 보니 특허에 나온 내용을 그대로 사용하면 당연히 비용을 내거나 도용으로 문제가 생길것이 뻔하니 특허에 문제가 없는 케그부분만 가지고 가맹점을 모집한 걸로 보입니다. 물론 막걸리 사장님은 억울하지만 저렇게 피할 수 있는건 어쩔수 없구요. 다만 한가지 우려되는 건 저렇게 좋은 기술을 가지고 왜 투자나 이런걸 제대로 못받았냐에 대한건 흔히 이런 기술 개발해서 상용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긴 헌데 결국 상용화되기 전에 기술에 대해 투자한 시간과 돈이 있으니 당연히 그에 걸맞는 돈을 받고 싶어 할껍니다. 문제는 실적이나 매출 및 그리고 영업망 이런걸 종합적으로 봐서 투자를 진행하는데 (기보와 같이) 이런걸 하기 쉽지 않고 거기에 대한 반대급부로 주식이나 특허의 지분같은 걸 원하는데 이걸 잘 못해서 무너지는 경우를 상당히 많이 봤습니다. 아마도 막걸이 사장님은 이런것 때문에 망하지 않았을까 싶구요. 백종원하고의 문제는 굉장히 마이너한 부분을 것 같습니다. 근데 저는 이 막걸리 사장님 문제보다 가맹점 문제가 더 큰 것 같은데요? 막걸리 사장님 이야기야 뭐.. 워낙 투자나 특허 관련해서 많이 나오는 흔한 이야기라 그렇지만 가맹점들에게 주류법에 관련된 걸 제대로 인지 못시키고 망하게 한 건데 이러면 사기 혹은 몰랐더라도 만만한 일이 아닐것 같은데요? 오히려 이 부분이 더 큰 문제인걸로 생각되는데요..
25/08/11 08:50
깊이 아는 건 없는데 적당히 보고 본인의 범주에서 이해한 다음에 본인 것인양 주절주절 이론 덧붙히는...
저것도 딱 보고 제대로 알 필요는 없고 딱 내가 보니 이렇게 하면 되겠네~해서 사업화까지 한 느낌...
25/08/11 09:15
백종원 체인점에 대한부분은 문제가 꽤 있어보이는데
사업 자체는 진짜 사업성있었으면 특허도 걸어뒀겠다. 투자자 찾아서 사업 계속하면 됐지, 뭐뭐때문에 망했다는건 그냥 신세한탄밖에 안될거 같습니다. 사진 막판처럼 백종원이 망했으니 투자 못받는다는건.. 조심스럽긴한데 17년동안 투자 못받으신건 그냥 사업성 없었던걸 백종원 덕분에 실패했다로 포장하고 자기 위로하시는건 아닐까요.
25/08/11 09:57
(수정됨) 제생각도 비슷합니다.. 아마 저 케그가 비용이 너무 커서 수익성이 나오지 않는게 아닐까 싶어요.... 백종원이 이 아이디어를 도용한쪽은 저는 솔직히 큰 문제는 아니라고 보고(왜냐면.. 솔직히 막걸리를 생맥주처럼 파는 아이디어는 그렇게 독특한것처럼 안보여서..)... 그것보다는 위법성을 분명히 알고도 무대뽀로 밀어붙이고 너무 빨리 가맹사업까지 해서 리스크를 가맹점주들에게 떠넘긴게 더 큰 문제가 아닐까 싶네요..
+ 25/08/11 11:23
꼭 그래서 안된건 아니겠지만
저 일 때문에 투자 받기 더 어려웠을 거예요. 대기업이 먼저 들어갔다는건 선점 효과도 없고 법적 문제가 기사화 되거나 사업을 접었다는건 해당이 없다 한들 이미지에 좋지 않으니 투자자가 꺼릴 요소는 되니까요. 사업은 원래 망할 확률이 더 높다고 저 영상에서도 나오긴 하는데... 제대로 시도도 못해보고 접혔으니 그게 많이 아쉽다 이야기 하더라고요.
25/08/11 09:35
뭔가 알면알수록 백종원은 사업가긴합니다. 비도덕의 여부를 떠나서요.
백종원 레시피라고 유튜브에서 본걸 따라했을때 맛이 이상했던건 제 잘못이 아니었어요..
+ 25/08/11 10:54
네.. 그.. 크로커다일이고 가세연이고 은현장과 대립각 세우던 애들 다 망해서.. 흐흐.. 은현장이 보면.. 순수히 제생각이긴 한데.. 실수도 많이 했을지언정 사람 자체가 나쁜 사람은 아니었던거 같아요..
+ 25/08/11 11:27
제대로 된 검토 없이 가맹점을 쉽게 쉽게 낸다... 리스크는 점주가...
문제 소지가 나와도 관공서에서는 이상하게 가볍게 넘어가 준다... 일반인이 이런거 이렇게 해도 그냥 이제 안할게 하면 끝나는건지? 영상 보면 주로 지적하는건 이 두가지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