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8/07 07:53:40
Name 두드리짱
출처 유튭
Subject [유머] 하루도 안지나서 댓글 1800개 쌓인 단군 영상

고거슨 영화관 안가는 이유

코로나 후유증 오티티 감안해도 울나라가 유독 타격 심하다던데 하도 상황이 안좋아서 그런지 지적이 다 맞아보이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린비
25/08/07 08:00
수정 아이콘
댓글많다길래 논란인줄
Chasingthegoals
25/08/07 08:44
수정 아이콘
28년 후 리뷰는 단군이 나쁘지 않게 봤다고 얘기해서 한동안 댓글 많이 달렸죠.
25/08/07 16:30
수정 아이콘
전독시도 그렇고 남들 재밌었다는거 재미없다고 하면 오히려 그런가보다 하는데 남들 재미없었던걸 괜찮았다고 하면 불이 활활 타는..
Chasingthegoals
25/08/07 16:52
수정 아이콘
저도 막상 봤는데 단군 스탠스에 더 공감 갔습니다. 대니 보일 스스로 창조해서 상업적인 성과를 남긴 소재를 [상업적인 투자를 받아 굳이 독립영화를 만들었다는게] 문제죠. 개인적으로 2+1 조건으로 제작한걸로 알아서 2까지 보고 판단하렵니다. (지미의 캐릭터에 따라 1편도 재평가 될 수 있으리라 봄) 아마 상업 흥행 조건을 충족하긴 글렀다고 봐서 트릴로지로 완결되진 못 하리라 봅니다.
닉넴길이제한8자
25/08/07 08:02
수정 아이콘
근본적인 이유는 '비싸서' 아닌가요?

잘 몰라서....
25/08/07 08:03
수정 아이콘
그돈씨가 좀 더 정확할겁니다 크크
십자포화
25/08/07 08:29
수정 아이콘
그돈씨 야구보러간다 해서 지금 야구가 역대 최대로 흥하고 있죠.
같은 돈으로 시간을 두 배로 즐긴다고? 이거 완전 쌉혜자....
25/08/07 11:57
수정 아이콘
사실 대부분의 만족도 차이는 가격이 큰 이유죠..크크
타카이
25/08/07 08:21
수정 아이콘
그돈씨
영화관 많이 망하면서 접근성
영화관이 PC방처럼 매점화는 진행되는데 맛이 편의점 수준을 크게 다르지 않음 가격은 훨 높은데

개인적 사유(OTT비교)
놓친거 돌려보기 안됨
일시정지 안됨
쓸데없는 오프닝 광고 로고 나오는 장면 스킵 안됨
하이퍼나이프
25/08/07 08:29
수정 아이콘
좀비딸 흥행하는거 보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듦새가 좋으면 관객은 찾지 않나 합니다.
25/08/07 09:09
수정 아이콘
지금 할인 쿠폰 타이밍이라 그렇지 아니었으면 2할정도는 적을거 같습니다.
하이퍼나이프
25/08/07 09:18
수정 아이콘
같은 시기에 개봉한 전독시가 있으니까요
쿠폰에 뭐에 풀어도 안되는건 안되더라고요
복타르
25/08/07 09:15
수정 아이콘
할인쿠폰을 뿌려서 6, 7천원인데 함 보러 가볼까? 이니까요.
그거 없었으면 작품분석하며 표값과 비교하다가 그냥 ott로 풀리면 봐야지 했을 겁니다.
25/08/07 08:32
수정 아이콘
그돈씨 + 퀄저하
25/08/07 08:51
수정 아이콘
평소 유튜브 댓글을 안봐서 댓글 1800개가 많은건가 싶어서 옆에 핑계고 눌러보니 조회수 170만에 댓글 1500네요 크크. 핑계고 같은 예능이랑 결이 다르긴 하지만 그래도 이만큼 극단적으로 차이나는거 보면, 이 주제가 묘하게 다들 한마디씩 보태고 싶은 주제긴 한가봅니다.
이민들레
25/08/07 08:53
수정 아이콘
데이트나 가족여가 컨텐츠가 다양화된게 크지 않을까 싶은데
25/08/07 08:53
수정 아이콘
원래 영화산업규모 자체가 인구대비 큰 나라였죠 영화 자체가 좋아서 가는 비율보다 데이트코스 등으로 활용하던 비율이 높았던지라 타국 대비 반대급부로 빠지는 수준이 큰 것도 당연한 것 같습니다
다크서클팬더
25/08/07 08:53
수정 아이콘
아무리 ott가 있어도 극장 특유의 분위기나 환경이 있는데 그걸 다 씹어먹는 그돈씨
Silver Scrapes
25/08/07 09:09
수정 아이콘
가격은 올랐는데 서비스 질은 떨어지고 만족도를 저하시킬 요인은 많은 데다가 대체제가 늘어남
세 글자로 줄이면 그돈씨
25/08/07 09:1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좋은 영화가 주는 즐거움에 비하면 여전히 저렴한 편이라 생각해서 오른 티켓값은 크게 문제로 느껴지지 않는데, 다른 관객한테 방해받는 게 싫습니다. 휴대전화 불빛, 소리, 잡담, 발 올리기 등등. 그래서 진짜 영화관에서 봐야만한다 싶은 거 아니면 천천히 집에서 보게 되네요.
열혈둥이
25/08/07 09: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어떤 현상에 대한 원인이 하나뿐일리가 없으므로 단군이 얘기하는 모든 부분이 다 공감갑니다.
원래 영화매니아가 아닌 저는 탑건 매브릭이라던지 인터스텔라라던지, 애내매이션 스파이더 맨이라던지 같은
영화관에서 봐야 감동이 더 할것 같은 영화들만 영화관에서 봅니다. 때문에 1~2년에 한번 갈까 말까죠.
그 이유는 시간내기 힘든직장, 보고 싶은 영화는 남들도 보고싶어해서 좌석 경쟁, 예매 못하는 똥손, 그래서 택하는 심야영화, 그동안 아내의 독박육아 등이 있구요.
그 모든 난관을 헤쳐가야함에도 불구하고 보고싶은 영화만 영화관에 가서 보거든요.

관객들이 저처럼 되고 있는거죠. 넷플릭스의 극도의 편의성과 영화관에서만 느낄수있는 몰입감을 , 가격과 만족감까지 고려해서 저울질하면서요.
그래서 다 맞는말인게 제 입장에서는 기존에도 힘들었는데 그걸 견디고 봤던 사람들은 지금도 영화관에서 보고 만족할수있는 영화만 나오면 보러갈거같아요.
롤격발매기원
25/08/07 09:13
수정 아이콘
영화관 가는 시간 및 교통비 까지 포함하면 왠만한
영화는 도저히 가성비가..
벌점받는사람바보
25/08/07 09:18
수정 아이콘
영화관에서 폰끄고 집에서 보는것보다 집중도 잘되서 나쁘지 않았고
영화관 버스정류장 5개 정도라서 주말에 산책겸 걸어가서
조조 보는게 취미생활이였는데 가격오르니까
ott로 보는게 아니라 영화 자체를 안보게 되버림
25/08/07 09:20
수정 아이콘
단군형 lck 캐스터 좀 해주시요.. 주에 한 번이라도
파고들어라
25/08/07 09:20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이제는 몇 없는 만화방을 갔었는데 꽤 가격이 비싸더라고요. 한시간 3000원, 10분에 600~800원? 이런 식이었고 시설은 꽤 좋았습니다. 둘이서 음료수 먹고 라면 먹고 3시간 넘게 있다가 나오니까 3만원쯤 나오길래 와 비싸다 했었죠. 하지만 좀 있다 생각해보니 요즘 그 가격에 3시간 있을 곳이 없죠. 영화관도 그런 느낌입니다. 예전에는 한 사람 5000~6000원으로도 2시간 넘게 시간 보낼 수 있는 곳이었는데 너무 비싸졌어요.
평온한 냐옹이
25/08/07 09:23
수정 아이콘
지난달 평일에 하이파이브 보러 갔는데 저희 가족말고 한커플 있는게 전부였습니다. 뭐 주말엔 좀더 많겠죠.
25/08/07 09:26
수정 아이콘
영상은 못봤지만, 제 생각에는 원래는 영화를 영화관에서 봐야지하는 관념 같은 것이 보편적으로 어느 정도 있었는데, 코로나랑 가격 인상으로 다 끊겨 버린 게 가장 큰 문제라고 봅니다. 안가다보니 안가게 되네? -> 가끔 보러갈까 싶어도 너무 비싸네? -> 안보고 버티다보니 대체 방법(스트리밍)이 있네? 이순
25/08/07 09:27
수정 아이콘
연애를 잘 안해서가 제일 크지 않나요?
평온한 냐옹이
25/08/07 09:57
수정 아이콘
그럴수도 있고 또 진도를 빨리 빼서 그럴걸요?
과거는 영화관에서 손잡고 그담에 기회봐서 나중에 뽀뽀하고 ( 고로 데이트시 영화는 고정적)
현재는 오빠 우리집에서 고양이 볼래 or 라면먹고 갈래 ( 빨리 진도 나가고 빨리 헤어짐)
25/08/07 09:27
수정 아이콘
단군 말대로 그동안 우리나라가 희한하게도 영화를 많이 봐왔던 거였고 코로나 이후 티켓값 상승과 서비스 저하, 여러가지 대체재의 등장으로
영화 관람의 문화 자체가 바뀌어 버려서 다시 예전같은 느낌으로는 못 돌아갈거 같아요.
2024헌나8
25/08/07 09:29
수정 아이콘
적게잡아도 10개이상의 이유가 중첩되어서 나타나는 현상이죠
만약 그걸 원인을 단순화해서 분석하고 심플한 해결책을 외치는 사람이 있다면
연애못해서 고민인 일반인 모솔남성에게 "니 외모가 강동원 차은우급이면 연애했을거야~"라고 하는격이죠. 맞말이지만 틀린말인

아무튼 비가역적인 변화는 맞는거같아요. 다들 뉴노멀에 얼른 적응해야...
비행기타고싶다
25/08/07 09:32
수정 아이콘
예전엔 2~3만원이면 3~4시간 데이트하기 좋아서 필수코스였는데
이젠 두배는 써야하니 누가 안부담스럽겠어요.
사부작
25/08/07 09:36
수정 아이콘
젊은 세대 중심으로 요즘 한국인들이 '라이브'? 가 아니면 지출을 꺼리는 게 있는 것 같아요

공연 잘 되는 것도 그렇지만, 빵도 공장빵보다 빠바 선호하는 그런 느낌?
롤격발매기원
25/08/07 09:38
수정 아이콘
그래서 스포츠 중계료가 계속 폭등하고 있다고는 하죠..
25/08/07 09:38
수정 아이콘
요새 영화관 환경이 더 좋지가 않더라구요.
에어컨도 제대로 안틀어져있어서 습기가 한가득.. 답답할정도. 의자도 제대로 청소안되어있고 마치 예전 비디오방 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또 ott로 너무 빨리 나와요. 굳이 웃돈주고 빨리 볼 이유가 전혀 없어요.
덴드로븀
25/08/07 09:40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93/0000070759?sid=101
['적자의 늪' CJ CGV, 2500억 회사채 연말 만기 '초읽기'] 2025.08.06.

https://www.thepublic.kr/news/articleView.html?idxno=271280
[‘OTT 대세’ 속 멀티플렉스 3사 휘청...롯데·메가 합치고, CGV는 팔린다?] 2025.08.01
2024년 기준 좌석 수 : 전년 대비 5.6% 감소, 스크린 수 2.2% 감소

<CGV 2024년 실적>
매출 1.9조 / 영업이익 759억원 -> 해외실적+올리브네트웍스 효과
[국내 사업 : 76억원 적자]

가격만 내리면 영화관들이 다 살아날것처럼 단순하게 생각하지만 그냥 이제 사양산업이 되버린겁니다.

오락실, PC방 가격 내린다고 많이 가던가요?
25/08/07 10:53
수정 아이콘
요즘 오락실 다시 핫플이더군요.
물론 아저씨들이 생각하는 오락실이랑은 다릅니다
OcularImplants
25/08/07 09:48
수정 아이콘
그돈씨보다 그시씨 같긴 합니다.
25/08/07 10:01
수정 아이콘
영화괸을 안가게 되는 이유는 점점 늘어나기만 하네요 개선이 되는건 없고...
25/08/07 10:19
수정 아이콘
전 로열석이나 커플석때문에...
로열석이나 커플석 가서 누워서 보다가 일반좌석에선 못보겠어요
근데 로열석이나 커플석은 너무너무 비싸져서
두명가면 거의 3~4만원에 팝콘 이런거먹으면 5~6만원...
25/08/07 10:32
수정 아이콘
가격은 올랐는데 더 후져졌어요. 살길 찾는건 좋은데 가격상승+원가절감으로 가니까 문제겠죠.
코로나 이후 비행, 여행 산업 복귀한거 보면 원가절감은 해도 기본적인건 안건드렸거든요. (물론 콘텐츠 퀄리티 차이도 있지만.)
25/08/07 10:37
수정 아이콘
전 혼자 영화관도 종종 갔는데 코로나 때 매번 집에서 혼자보다보니 이제는 영화관가면 사람들때문에 시끄럽고 집중이 잘 안되더군요.
음향, 영상이 대체 불가능할 정도의 명작이 아니면 이제 영화관을 혼자 갈 일은 없을 것 같아요.
25/08/07 10:43
수정 아이콘
영화 쿠폰이 생겨서 오랜만에 가볼까 싶기는 한데 딱히 볼게 없다는 느낌이네요. 발레리나나 볼까?
댓글자제해
25/08/07 12:59
수정 아이콘
구구절절 맞는말 많이해주네요
앞으로 영화관은 그냥 특별관위주의 대형 영화관만 남고 많이 줄고 운영도 특별관위주로 하게될거같습니다
주변에 영화롤 보러가더라도 아이맥스/4D/특수영화의 경우만 돌비나 음향관 정도만 가지 일반관에서는 영화 잘안보는거같습니다
25/08/07 13:02
수정 아이콘
진짜 다른 관객한테 방해받는게 큰거 같아요. 슬램덩크 마지막 슛 타임에 정적인 상태에서 옆쪽에 커플이 계속 떠들어서 스트레스 받았던 기억이..
25/08/07 13:08
수정 아이콘
대부분 말씀 하신 모든 부분이 다 맞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위생'이 제일 크게 다가왔습니다.

예전에 영화관에 가면 뭔가 청결하고 쾌적한 공간에서 대접 받으면서 본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는데
지금은 너무 어수선해요. 정리 안된 제 방만도 못 합니다.

가격 올릴 수 있는데 기본은 해야죠. 퀄리티 유지는 하면서 올려야 말이 맞을텐데...
영화관 자체의 퀄리티가 과거보다 퇴행이니
일반상대성이론
25/08/07 13:17
수정 아이콘
코로나 이후로 직원이 반도 안되는 거 같이 느껴집니다
마작에진심인남자
25/08/07 13:39
수정 아이콘
영화표 가격을 8천원으로 바꾸면 예전수준의 관객 이 들어올겁니다. 관중 회복하고 3년마다 천원씩 올리면 12년 후엔 12000원에서도 장사잘될겁니다. 왜 가격인하를 안하는건지는 모르겠지만 참 뭐때문에 망해가는지 아직도 파악 못하는건 레전드긴하네요.
25/08/07 14:08
수정 아이콘
영화관 하향세에 가격이 차지하는 부분은 의외로 좀 적지 않은가 합니다. 15년쯤 전에 한창 다닐 땐 7-8천원정도 했던거 같은데 좌석수도 엄청 많았고 자리도 너무 비좁아서 광장히 불편했었거든요. 요즘은 대부분 리클라이너에 주변사람한테 치이지도 않고 굉장히 쾌적하더군요. 돈아까워서 안간다기보다 굳이 극장까지 가서 신작영화를 봐야하나?라는 느낌이에요. 남녀 여럿이 모이면 예전에는 신작 핫한영화 얘기가 필수적으로 나왔다면 요즘은 오징어게임 얘기가 나오겠죠. 30-40인치대의 tv가 대부분이던 그때는 영화는 집에서 보면 맛이 안살았지만 요즘은 4k 초대형화면으로 격차가 줄어든 점도 있을거고요.
이제는 대부분 없어진 DVD방에 얼마전 가봤는데 놀랍게도 가격이 15년전과 거의 비슷하더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님이 거의 없어 몇 안남은 가게 마저도 조만간 사라질거 같이 보였습니다. 가격경쟁력으로 버텨보는 피시방도 이처럼 되겠죠. 극장역시 아무리 가격을 내려본다 한 들 이처럼 되지 말라는 법이 없습니다. 반대로 현장직관이라는 대체불가능한 콘서트, 뮤지컬등의 공연시장은 계속되는 가격상승엔 아랑곳 하지 않고 어마어마하게 규모가 커졌습니다.
데이트비용 15만원 시대에 3만원 수준으로 그돈씨까지 나올 거리도 아니에요. 그냥 저물어가고 있는거죠.
승률대폭상승!
25/08/07 14:48
수정 아이콘
축구장 2만원 3만원 다녔던 입장에서 영화관 만오천은 적당하다고 생각하는데 이렇게 떨어지는게 신기하긴함
대관람차
25/08/07 14:57
수정 아이콘
이제서야 진격의거인 완주했는데 재개봉 안 하려나
비싸도 갈텐데ㅠ
샤르미에티미
25/08/07 15:38
수정 아이콘
여기도 댓글 많이 달렸듯이 한 마디씩 얹고 싶어져야 댓글 수가 증폭되는 것 같습니다. 조언-훈수-비판 이런 것들이 참 손가락을 잘 움직이게 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8098 [기타] 미국 유투버의 갤폴드7 개봉 영상 [7] VictoryFood3279 25/08/07 3279
518097 [기타] 인터넷 커뮤니티 대격변 예정? [27] 롤격발매기원4256 25/08/07 4256
518096 [기타] 한국 유투버의 갤폴드7 개봉 영상 [6] Lord Be Goja3484 25/08/07 3484
518095 [기타] 일본 유투버의 갤폴드 개봉 영상 [24] 길갈5242 25/08/07 5242
518094 [유머] 일본 "트럼프야 우리 관세협약 15% 맞지..." [48] EnergyFlow5803 25/08/07 5803
518093 [기타] 레미안 원베일리 공지 [17] 아지매5589 25/08/07 5589
518092 [기타] 자동차보험 품질인증부품 사용 개정 [12] 김삼관3551 25/08/07 3551
518091 [기타] 위고비 비-켜!!! [37] 카루오스5664 25/08/07 5664
518090 [유머] 하루도 안지나서 댓글 1800개 쌓인 단군 영상 [52] 두드리짱7684 25/08/07 7684
518089 [기타] 9월 21일부터 서소문고가차도 철거 [19] 에스콘필드6858 25/08/07 6858
518088 [동물&귀욤] 대충 여름 밤엔 평상에서 자야 제맛이라는 소리 [12] 공기청정기5040 25/08/06 5040
518087 [텍스트] 한국, 미국 제치고 전 세계 화장품 수출 2위 등극 [23] 내설수7205 25/08/06 7205
518086 [방송] 머리 자르러 오셨어요? [16] Croove6757 25/08/06 6757
518085 [게임] 블루 프로토콜 모바일 한국 출시예정 [7] 묻고 더블로 가!3514 25/08/06 3514
518084 [LOL] 씨베토론(씨맥 vs 베릴 토론).youtube [4] 하이퍼나이프3144 25/08/06 3144
518083 [기타] 생각보다 의리 드럽게 없는 해적단(원피스 스포) [3] 쎌라비4537 25/08/06 4537
518082 [게임] 스타2 밸런스에 대한 레니아워의 단상 [11] STEAM3535 25/08/06 3535
518081 [기타] 육지의 섬과도 같은 호주 지도 [23] 깃털달린뱀6602 25/08/06 6602
518080 [동물&귀욤] 주인 버리고 외식하러 간 리트리버 [5] Croove4193 25/08/06 4193
518079 [서브컬쳐] 전생했더니 이카리겐도가 되었습니다 [21] 유머3870 25/08/06 3870
518078 [LOL] 오늘자 브리온 소개 문구 [2] 카루오스2872 25/08/06 2872
518077 [유머] (광고) 기아차 광고영상에 LG트윈스 등장 [5] Croove3494 25/08/06 3494
518076 [유머] 위기에 빠진 인텔을 구하러 트럼프가 간다 [23] 타츠야5859 25/08/06 58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