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7/01 16:17
뉘앙스가 중요해보이긴 하네요. 일본어 자체의 어감도 한국어랑 다른 점이 있을까요. 개인적으로는 구어체에서는 7시 50분, 문어체에서는 8시 10분이라고 받아들였을 것 같아요.
25/07/02 06:59
그냥 시간 range의 의미로 쓰면 Before 8시 10분이 되는거고 시각의 의미로 쓰면 7시 50분 인거죠.
까지 붙으면 시각일수밖에 없으니 7시 50분이 맞고요.
25/07/01 16:17
보통은 몇시 10분까지 오라는 묘한 시간을 정할일이 적다보니 그냥 정시가 정해진 시각이고 그보다 빨리 오라는 걸로 읽는 경우가 많겠죠
25/07/01 16:43
발음을 어떻게 하냐에 따라 다르죠. '8시' 다음에 한텀 쉬면 8시(의) 10분 전이라는 의미니까. '8시 10분' 까지 말하고 한텀 쉬면 8시 9분까지 인거고요.
25/07/01 21:30
문자적으로는 그렇고 음성적으로는 그런 데 애초에 갈리는 이지선다 출제 자체가 어느 쪽으로도 해석될 수 있고 그 배경을 보려는 거겠죵.
25/07/01 20:07
로마식 표기하고는 궤가 다른거 같습니다.
한글표기에서 저라면 7시 50분까지, 혹은 8시 10분까지라고 하지 8시 10분 전이라는 표현 안쓸거 같아요
25/07/01 16:37
초등학생 때 교과서에서 10분전 이라는 개념을 배웠던 기억은 생생하긴 해요.
대체 이런 표현은 왜 쓸까? 라는 게 의문이 강하게 들었어서 아직까지도 생생한 듯 해요.
25/07/01 16:39
해당 기사를 읽었는데 기사에서 인용한 교수님의 해석은 이렇더군요.
요즘 젊은 세대들은 어릴때부터 정확한 시간을 알수있는 휴대폰을 가지고 다녀서 기본적으로 시간이라는건 몇시 몇분이라는 정확한 것으로 인식하고 어림잡아 시간을 말하는거 자체가 생소하다.
25/07/01 16:48
그러게요. 왜 굳이 10분 전 같은 표현을 만들고 쓰게 되었을까요?
8시 50분이라는 게 더 간결한데. 윗댓처럼 시각을 어림하던 시절의 유산인지...
25/07/01 17:11
말을 저렇게 쓰는 사람이 있어요? '8시 되기 10분전까지' 라고 하지 않나요? 쓰고보니 8시 10분전 까지/ 8시 10분 까지라고도 할듯.
25/07/01 17:26
앞쪽에 나온 시각을 강조하는 어투라고 생각해왔어요
8시 10분전이면 8시가 중요한 기준이되기에 강조하고 그보다 10분 앞선 시각까지 뭘 해야하다는 느낌이죠
25/07/01 17:32
군대나 훈련소에서 많이들 쓰셨잖아요.
집합 1분 전 ! 점호 5분 전 ! 8시 10분 전 ! 수능 3일 전 ! 대선 한 달 전 ! 포인트는 1분 5분 10분 전이 아니라 목표 시점인 집합/점호/8시/수능/대선날에 방점을 찍고 그걸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표현이었죠. 8시에 뭔가가 있겠죠.
25/07/01 18:11
보통 정각이 정해진 시간이면 10분 전에는 오세요
라고 많이 쓰고 ... 10분 20분이 정해진 사건이면 ~ 까지 오세요 라고 많이 쓰지 않나 싶습니다.
25/07/01 18:24
근본적으로는 아날로그 시계를 안 읽어도 되는 세대의 출현 + [8시 10분 전]이라는 관용 표현에 제멋대로 [까지]를 붙여버린 최초글쓴이(지금 커뮤니티를 뒤덮고 있는..)의 환장의 콜라보같네요.
[여덟시 십분 전](띄어쓰기, 말할 때 쉬기는 아무 상관 없어보입니다.)은 아날로그 시계가 표시하고 있는 시각 그 자체를 읽기 위한 표현이죠. 바늘들이 그렇게 보이니까 그렇게 읽게 된거 아니겠어요? 근데 [까지]는 이 아날로그 시각 읽기에 근본적으로 붙을 수가 없습니다. 까지는 정확한 데드라인이 있는, 정확한 시각 값이 보일 때, 알 때 쓰는거죠. 50분이든 53분이든 48분이든 언제까지인지 정확한 시각을 알고 있으니까 까지를 붙이고, 굳이 이걸 환산해서 10분 7분 12분 전까지라고 말할 이유가 별로 없죠. 아닌데? 난 10분 전까지 많이 쓰는데? 라고 하신다면 [여덟시 십분 전]까지의 용법으로, 온전한 시각을 의미하는 십분 전으로 쓰는 게 아니죠. 데드라인이 먼저 나오고, 그 시각의 십분 전, [여덟시] 십분 전까지라고 쓰시는거죠. 사실 자세히 보면, 본문 일본방송짤도 [까지]가 붙어있진 않습니다. 일본어를 잘 모릅니다만 그냥 [여덟시 십분 전]은 몇시냐고 묻고 있지 않나요? 아무튼 그래서, 아날로그 시계를 읽을 필요가 없는, 정확한 분 초까지 다 나와서 읽기만 한 세대라면 8시 10분을 묶어서 읽고 전을 봤을 때 이해하기 어렵겠네요.
25/07/02 06:55
이걸 시간 레인지로 받아들이느냐 특정시각으로 받아들이냐 차이지 까지 붙으면 그냥 7시 50분 말하는게 맞죠.
내용상 시간 레인지면 8시 10분 포인트면 7시 50분인거라 구분 못할수가 없는게 정상인거같네요. 까지 붙으면 포인트일수밖에 없으니 7시 50분으로 해석하는게 맞고요. 헷갈릴거 하나없죠.
25/07/01 18:38
평소에 이런 글을 봤을 땐 7시 50분으로 이해하는 사람도, 사용하는 상황에선 그냥 사용합니다.
요즘엔 분단위로 시간을 이야기 할 상황이 많으니까요.
25/07/01 20:00
8시 자리에 다른 어떤 중요 시점을 의미하는 순간들을 넣어도
입장 10분전, 시험시작 10분전, 개막 10분전, 종료 10분전 등등 다 같은 의미로 해당 시점에 도달하기 전 10분을 의미하니 8시 10분전도 마찬가지로 보는게 타당하다 봅니다. 그리고 여전히 정각은 통념적으로 중요한 마일스톤이라 생각해요 내일 MSI 경기 있으면 9시 정각에 보통 시작하지 9시 10분 이렇게 시작 잘 안하잖아요 그래서 8시 정각이라는 존재는 시험시작, 개막 등과 같이 주요 이벤트로 취급될만 하다 봅니다. 뭔가 있으니까 정각을 강조했겠죠 8시 10분전을 before 8:10 의미로 쓰고싶다면 8시 10분이 되기 전 이렇게 좀더 풀어쓰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25/07/01 21:40
8시 10분전까지 ~하세요 라는 말을 잘 쓰지않죠. 8시전까지, 8시 50분전까지라고 하기보단 그냥 8시까지, 8시 50분까지가고 쓰니까요
25/07/02 04:48
엄밀히 말하면 구문상으로는 8시 9분까지가 맞죠
왜냐면 저렇게 말 안하고도 7시 50분을 의미하는 방법이 많으니까 8시 '되기' 10분전에 와주세요 회의는 8시입니다. 10분전까지 와주세요 위에서 말하신대로 기성세대는 그냥 알잘딱해서 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들은거고...
25/07/02 06:50
8시 10분전까지를 Before 8시 10분까지로 해석하는건 어퍼바운드의 어퍼바운드를 말하는거라 이상한 어법 아니에요?
이경우는 8시 10분까지라고 해야 맞죠. 8시 10분 전까지가 7시 50분까지여야 어퍼바운드만 말하는거라 맞는거고요. 헷갈릴게 없는거같은데요 이게 Before 8시 10분이면 역전앞도 옳은표현이겠죠.
25/07/02 07:24
8시10분의 전까지냐 8시의 10분전까지냐인데
보통 전자를 쓸 이유는 없으니(너무 시간이 애매함) 후자로 판단하는게 보통 아닐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