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5/22 10:04
이것도 전공마다 다르긴 할겁니다. 박사유학생은 넘치는데 교수 자리는 한정 돼 있어서 지방대 교수직도 잘된 축이라는 썰을 들은 적이 있어서.
25/05/22 10:24
(수정됨) 전공마다 다르긴 한데 교수라는 허들을 넘으면 부르는 곳이 많아져서 어디서든 교수된 이후에 이직하는게 추세라고 하더군요
저도 본문 얘기 꽤 들어봤습니다
25/05/22 10:38
전공마다 학교마다 다릅니다.
어떤 곳은 일반 회사보다 상황이 좋지 않아서, 안된것만 못한 대학도 있거든요. 말씀하신 건, 사실 지방 국립대 정도입니다.
25/05/22 10:24
요즘 이런 현상 때문에 지역 연고가 있는 교수 후보자를 선호한다고 하더군요
특히 서울 출신에 서울쪽 대학, 해외 대학 나온 사람들은 교수 시켜줘도 떠난다면서요
25/05/22 10:39
15년 전에도 학부 교수님께서
“교수에 뜻이 있으면 네가 박사 딸 때 우리 학교에 어느 교수님이 은퇴하셨을 지 생각해서 전공정해라” 라고 팁을 주셨었습니다. 크크
25/05/22 10:49
이제 한국은 조금 큰 싱가폴이나 홍콩이 된 게 아닌가 싶습니다.
말이 지방이고 수도권이지, 마곡에 있는 직장 다니는 사람이 광화문에 있는 직장으로 옮기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과 비슷하지 않을까요?
25/05/22 10:56
과동기들 중 계속 공부한 친구들의 경우를 보면,
박사 마치고 바로 모교로 오지는 못하고 본인 고향에 있는 학교 등에 일단 교수로 갔다가 결국 경력 쌓고 대기하다가 자리 나면 슬슬 모교로 모이더라구요
25/05/22 11:04
지금 혈액종양내과 교수들이 이런식으로 빅5에서 거의 싹쓰리 해가시피 해서 지방 및 수도권 다른 병원에서 항암치료가 불가능할 정도라고 하네요... 다 똑같습니다.
25/05/22 11:18
카이스트는 지금 명성을 계속 지킬 수 있을까요?
학생수 감소에 영향 안받을 것 같은데.. 비수도권, 비의학계열에선 독보적으로 보여서요
25/05/22 11:48
KAIST GIST UNIST DGIST 등을 총칭해서 말하는 겁니다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의 준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