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1/25 09:05
일본자체의 축구 성향상 원래 미들은 넘쳐나죠...
일본 축구만화를 생각해보셔도 미들을 중점적으로 부각시키는 예를 쉽게 보실수 있을겁니다... 그만큼 일본 축구의 성향을 반증하는 대목이기도 하구요... 다만 스트라이커는 좀 처럼 나오지 않는다는거... 좀처럼이 아니라 미우라 이후 쓸만한 스트라이커 자체가 나오기나 했는지 모르겠네요...
06/11/25 09:11
일본에서 실력좋은 공격수보다 실력좋은 미드필더가 많은 이유는 일본의 성향이 미드필드 중심이기 때문입니다.
j리그나 일본국대 스타일이 미드필드를 중심으로한 유기적인 패스플레이가 중점을 두죠. 그래서 일본에서는 기술이 좋은 '테크니션'이 많이 배출되죠. 나카타(은퇴), 나카무라 슌스케(셀틱), 마츠이 다이스케(르망, 박지성과 친분이 있는 선수로 유명하죠), 이나모토 쥬니치(갈라타사라이), 오가사와라 마츠오(메지나)등이 일본이 배출한 세계적인(?) 테크니션들이죠. 그에 비해 스트라이커는 유럽파는 많습니다만....타카하라 나오히로(프랑크푸르트), 오구로 마사시(토리노),모리모토 타카유키(카타니아) 정도가 나가 있지만 주전은 단 한명도 없습니다. 후지산 대폭팔 슛과 신간센 대탈선 슛으로 잘 알려진 일본의 대형(!)스트라이커 야나기사와 아쓰시(가시마 앤틀러스)는 이탈리아 메지나에서 벤치만 달구다 1시즌 만에 그냥 J리그로 복귀했죠... 그에 반해 한국은 강한 체력을 바탕으로한 공격수와 미드필드간의 압박을 중점적으로 두고 플레이를 합니다. 따라서 미드필더도 중요하지만 중원에서의 압박때문에 미드필더들의 득점력보다는 공격수를 이용한 득점을 노리게 되고 따라서 공격수들의 능력치가 중요하게 되죠. 더군다나 한국은 어릴때는 무조건 공격수를 시킨후 서서히 중학교, 고등학교등을 거치면서 미드필더나 수비수로 나뉘죠.. 그렇기 때문에 공격수들이 미드필더나 수비수에 비해 인재가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박지성(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설기현(레딩FC), 차두리(마인츠05, 원래는 공격수였죠) 서정원(SV 리트)등... 이영표선수도 원래 포지션이 공격수 였다고 하죠 저 경기에서는 미즈노선수가 잘하긴 했지만 왼쪽 윙백이었던 안태은 선수가 자꾸 선수를 놓치는 바람에 자꾸 뚤리고 크로스 가 많이 올라왔기 때문에 저런 모습이 보이지 않나 싶은데...
06/11/25 09:34
흠.. 일본 미드필더는 정말 테크닉이 장난이 아니라는 생각이 여러번 듭니다. 역시 일본의 실력은 무시할 수 없어요. 하지만 한국 국대엔 좀 밀리는 것 같은데요
06/11/25 09:34
L = Lawliet// 아무 생각 없이 보다가 '야나기사' 와 '아쓰시' 로 보고
"어라? 두명갔었나?" 생각하다가 혼자 큭큭 웃고 있습니다. 어떻게 그분의 이름을 까먹었지;;아무리 아침이라지만;;
06/11/25 09:39
일본 청소년들이 나카타나, 오노신지, 나카무라 같은선수들을 우상으로 삼고 연습해서 미드필더들이 많다고 합니다. 그에 비해 공겨수는...
06/11/25 11:31
라바무침님// 슈팅이 아니라 휘슬이라는 축구만화죠.. ^^
휘슬 정말 재밌게봤는데.. 글 내용에서 미즈노라는 이름보고 바로 휘슬을 생각했다는; 만화에서도 미즈노는 천재 미드필더였는데.. 설마 비슷한 스타일인가요~ 그럼 영상보러 휘리릭~
06/11/25 13:32
아시아의 포르투갈이군요...원톱부재에 미들도아닌 윙만 쏟아지는 포르투갈
근데 일본이 미들자원쏟아져도...우리나라가 중원에서 일본한테 밀린다고 생각하진않습니다...박지성,설기현,김두현,백지훈,김남일,이호 등등에 염기훈,오장은선수등 거기다..이관우선수(제발좀 뽑아줘)도...
06/11/25 16:46
크로스는 일품이네요. 그러나 나중에 더 나아가 윙이면서도
느린 발로 어떤식으로 경기를 풀어나갈지 궁금하네요. 공을 잡으면 너무 끌지 않는가 싶습니다. 하지만 크로스가 좋으니... 나카무라 처럼 킥만 좋은 선수가 될려나...
06/11/25 20:09
용호동갈매기// 기타자와라...하핫.. 활동량은 참 많은 선수인데 골 결정력은 거의 없는. 전형적인 사무라이(?)처럼 생기신 그분.. 그래도 94,98월드컵 대표였죠. 90년월드컵에선 대표였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일본은 항상 미드필드진이 좋았죠. 90년대 초반 라모스 선수 이후로 나나미 야마구치 나카타 오노신지 나카무라 이나모토 묘진 등등. 90년대후반이후 실력좋은 미드필드진이 좋았죠. 우리나라가 실력좋은 선수를 첨부터 공격수 시키듯이 일본은 미드필더를 시킨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골 못넣었을때 욕먹는 게 두려워 기피하기 한다고 하니...윗분 말대로 츠바사의 영향이 큰 것일지도..--;; 근데 츠바사가 미우라를 모델로 삼고 만든 만화이지 않나요?? 미우라 카즈요시가 브라질유학 1세대라 그걸 모토로 삼아 만들었다는 소리를 들은 적이 있는데 사실인지 잘 모르겠네요;;; 갑자기 98월드컵 대표팀의 윙백 소마선수가 생각이 나는 건...왜일까요??-_-aa
06/11/25 20:11
아 그리고 우리나라는 수비수나 미드필더 중에 어렸을 때부터 공격수 였던 선수들 참 많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이관우선수, 김도균선수, 박동혁선수, 박진섭선수, 조세권선수 등등 있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