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7/23 14:41:43
Name Leeka
Subject [정치] 가계부채에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비율은? (수정됨)


1. 주담대기준 변동과 고정비율은?
- 변동 46.3%
- 고정 53.7%

주담대만 or 주담대와 적당량의 신용 또는 회사대츨같은 저리를 받은 사람들은 금리 이슈를 버틸수 있는데요
대강 절반은 이슈가 없고, 절반은 이슈가 있다고 보면 될것 같습니다

2. 주담대가 가계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 주담대 44.1%
- 그 외 55.9%

그 외의 대출도 사실 주담대 받고 부족한걸 빌리는 신대등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론 주택구매가 가계부채의 반은 넘는다고 볼수 있고
전세대출같은 임차인 대출까지 고려하면 가계부채는 결국 부동산 지분이 압도적이긴 합니다

3. 모든 대출 계산시 가계부채에서 고정과 변동은?
- 변동 77.7%
- 고정 22.3%


즉 금리를 올릴때마다 가계부채의 77%는 영향을 받는 상태라고 합니다

금액으로 환산시에는 0.25 상승시
연 3조 6천억의 이자부담으로 볼수있다고 하네요

금리 인상이 가계부채와 그로인한 실물경제 영향을 얼마나 줄지에 대한 참고자료로 보시면 될것같네요


https://m.dailian.co.kr/news/view/1133861/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피식인
22/07/23 14:47
수정 아이콘
주담대 제외 그 외 부분에 해당하는 대출은 크게 보면 전세자금대출, 생활비대출, 자영업자대출 정도 될 까요? 그 비율도 궁금하긴 하네요. 담보대출 보다는 그 외 신용대출 부분이 리스크가 더 크지 않을까 싶긴 한데요.
지구돌기
22/07/23 14:50
수정 아이콘
보통 주담대의 경우 3년에서 5년 고정 후 변동인 경우도 많은데, 이건 변동으로 분류되는지 고정으로 분류되는지 모르겠네요.
이게 고정으로 분류되었다면, 예상보다 영향이 더 클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변동이라면 반대일 거 같고요.
-안군-
22/07/23 15:06
수정 아이콘
요즘 커뮤니티나 유투브를 보다보면, 금리가 오르고 있는 점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 같아 보이는데, 그것보다는 금리상승이 멈추고 고금리가 얼마동안 유지가 될 것인가도 같이 생각해봐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이전 경우를 살펴보면 짧아도 1년, 길면 수년까지도 유지가 됐는데, 이게 대출자들에겐 더 큰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이거든요. 금리가 좀 올랐다고 그걸 당장 청산해버릴 수 있는 사람들이 그리 많지는 않을테니까요
벚꽃자몽
22/07/23 17:42
수정 아이콘
주담대에 고정은 없다 그러고, 5년고정 변동금리로 대출 받았는데요. 50%넘게가 고정 금리네요? 대출상담원에 낚인건가..
22/07/24 01:38
수정 아이콘
보금자리론같은 정부정책 주담대가 완전고정금리입니다

일반은행은 30~40년 고정 없는게 맞습니다
하아아아암
22/07/24 19:25
수정 아이콘
https://www.standardchartered.co.kr/np/kr/pl/bw/LoanDetail.jsp?id=3237

시중은행 30년 고정 없다하셔서 충격받고 찾아봤는데, 이런것들 있지않나요?
teragram
22/07/23 20:53
수정 아이콘
어차피 별로 상관이 없는게,
금리는 원래 내렸다 올랐다 합니다.
30년 주담대 변동 금리로 받은 사람이 최근에 금리 올랐다고 30년 내내 높은 이자 내는게 아닌거죠.
30년 동안 금리 인상 인하 사이클 몇번은 돕니다.
굳이 비교를 할꺼면 그걸 평균 낸 값을 고정 금리랑 비교해야 맞는 비교죠.
답이머얌
22/07/24 01:10
수정 아이콘
문제는 지금 당장 버티는게 문제라는 거죠.
같은 액수라도 앞으로 과도한 인플레가 진정되고(연 2% 상승률 이내 유지시 안정적인 경제 운용이라고 하죠.) 나이가 들면서 소득이 증가하면 갚아나가는 부담은 저절로 경감되는데, 지금은 과도한 인플레에(고정 지출비 상승) 급격한 금리 인상(대출금 상환 부담)이 이중 충격을 주어서 이 기간이 얼마나 갈지가 굉장히 중요해지죠.
22/07/23 23:57
수정 아이콘
주담대야 어떻게든 잘 버틸거라 보는데 전세 대출이나 신용 대출쪽이 약한 고리인 거 같은데 과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6084 [일반] 요즘 본 만화 잡담 [17] 그때가언제라도10425 22/07/23 10425 1
96083 [일반] [그알]모영광 군 실종 미스터리 [98] 핑크솔져17379 22/07/23 17379 0
96082 [일반] 저희 동네빵집 50% 할인행사를 다녀와서. [50] B와D사이의C13365 22/07/23 13365 4
96081 [정치] 가계부채에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비율은? [9] Leeka9065 22/07/23 9065 0
96080 [일반] 빚 2000, 대학을 자퇴하고 일을 하는 게 맞지 않을까요 [196] 자살하고싶다18668 22/07/23 18668 28
96079 [일반] (노스포) 나쁘지 않은데? 영화 "주(咒)" [8] 타란티노6843 22/07/23 6843 1
96078 [일반] [팝송] 오늘의 음악 "마이클 잭슨(1)" [13] 김치찌개7255 22/07/23 7255 2
96077 [일반] 지난 16년간 대세였던 알츠하이머(치매) 이론의 핵심연구 자료 조작 의혹 [50] EpicSide16263 22/07/22 16263 7
96076 [일반] 요즘 아이돌 덕질 관련해서 입덕할까 말까 고민 중입니다 [48] 블랙리스트9439 22/07/22 9439 1
96075 [일반] i5-13600K 긱벤치 유출, 멀티 코어 테스트에서 라이젠 5950X급 [70] SAS Tony Parker 12852 22/07/22 12852 1
96074 [일반] 왜 요즘 청년들은 미래보다 현재의 삶을 즐기는가 [151] 데브레첸19034 22/07/22 19034 12
96073 [일반] [단문] 이직 후에 생긴 직장, 이직 선택에 대한 회의와 푸념 [34] 히히 똥이다 똥7701 22/07/22 7701 10
96072 [정치] 바이든 코로나 양성 [19] poocang13093 22/07/22 13093 0
96071 [일반] [역사] 이순신은 정말 무패(無敗)했는가? (3) [8] meson11644 22/07/21 11644 30
96070 [일반] “어린이집 교사 2인1조로 20개월 폭행”…CCTV 확인한 母 쓰러져 [65] 로즈마리15747 22/07/21 15747 3
96069 [정치] 윤석열 정부 세금 대격변이 발표되었습니다. [175] Leeka23912 22/07/21 23912 0
96068 [일반] 신용카드 추천 합니다 [KB 마이포인트카드] [64] 웅즈14574 22/07/21 14574 2
96067 [일반] 칵테일 한 잔 주세요: 카리브 해변의 Zouk 음악 [13] KOZE7539 22/07/20 7539 2
96066 [일반] 웹소설 상세리뷰 <폭염의 용제> / 스포주의!! [20] 가브라멜렉8172 22/07/20 8172 1
96065 [일반] [역사] 이순신은 정말 무패(無敗)했는가? (2) [15] meson9963 22/07/20 9963 15
96064 [일반] 외계+인, 관객과 상황에 따라 볼만 할 수도? [49] 오곡물티슈9863 22/07/20 9863 2
96063 [정치] 대통령실, ‘최저임금 업종별 차등적용’등 우수 국민제안 TOP 10 선정 [143] EpicSide17849 22/07/20 17849 0
96062 [정치] 이준석 차기 당대표 국힘 지지층 상대 압도적 1위, 안철수 내일 직무대행 체제 입장발표 外 [284] 채프22673 22/07/20 2267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