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7/10 09:22:05
Name 삭제됨
Link #1 http://longlive.tistory.com/m/post/586
Subject [일반] 주인의식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cecracker
14/07/10 09:40
수정 아이콘
함께 생각해보기 : 자기 일을 하시는 분 손들어보세요.
절름발이이리
14/07/10 09:42
수정 아이콘
유리한
14/07/10 09:55
수정 아이콘
Red_alert
14/07/10 10:20
수정 아이콘
별지기
14/07/10 09:40
수정 아이콘
주인이 아닌 사람들이 주인의식을 가진게 문제.....
Acecracker
14/07/10 09:41
수정 아이콘
주인의식이 없는 자본주의는 존재가치가 없다는 게 더 문제.
별지기
14/07/10 09:43
수정 아이콘
자본주의에서 노동의 가치가 자본에 예속되는게 더 문제.
14/07/10 11:07
수정 아이콘
주인인 사람들이 주인의식 가지고 노력하는 이들에 대한 가치 보상을 제대로 안 해주고 본인의 주인권력만 누리려고 하는 것도 문제 ..
14/07/10 09:41
수정 아이콘
아래 조물주보다 위대한 건물주 글을 보고 바로 보게 됐는데..
음 하하 답이 안나오네요
절름발이이리
14/07/10 09:45
수정 아이콘
엄밀히 말하면 본문의 두 사례 모두, 자기 좋은 일을 한게 맞습니다. 동네를 꾸민 노력, 가게를 번창시키려 한 노력은 모두 자기 자신이 효용을 본 행위들이지요. 쫒겨난 시점만 생각하면 안 됩니다. 그 좋아진 동네에서 살던 시절, 그 가게에서 이윤을 창출하던 시기가 사라지는 건 아니니까요. 다만 본문과 같은 사례에 사람들이 공감하게 되는 건, 아무래도 건물주로 상징하는 자본가 혹은 자본이 불로소득을 얻는것과 대비되어 아니꼽게 여겨지는 것이지요. 한마디로 상대적 박탈감입니다. 상대적 박탈감은 물론 중요합니다만, 그러나 그렇다고 아무도 살고 싶지 않은 동네를 방치하는 것이나, 자기 가게를 등한히 운영하는 것을 감수할 만큼은 아닙니다. 결론적으로 본문의 두 사례나, 그 외 대부분의 사람들도 기본적으로 모두 자기 좋을 일을 하는 것 뿐입니다. 자원봉사가 아니구요.
더불어 자신을 위한 노동이 남 좋은 일로 이어지는 것은, 그러나 사실 나 자신도 마찬가지로 남의 남을 위한 노동으로부터 수혜를 입을 수 있다는 것으로 치환됩니다. 실제로 자본주의 하에서 생산되는 기술발전과 복리증진은 모두가 누리게 됩니다. 물론 상대적 박탈감을 완화하는데 큰 도움은 안되긴 하죠.
14/07/10 10:24
수정 아이콘
상대적 박탈감의 관점보다는 자본 수익률이 생산소득 증가율을 앞지르는 현상이 점점 넓게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점에 문제가 있는 거죠.
켈로그김
14/07/10 10:19
수정 아이콘
고용안정과도 같은 맥락이긴 한데,
안정적이고 예측가능한 상황과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의 투자양상은 달라집니다.
하지만, 건물주는 영세한 상인들에게 좋은 환경을 주고 성장할 때 까지 기다리는 것 보다는 대기업용병을 선택한거지요.
(요즘 겜게에서 핫한 크킹2 연재글에서처럼..)

전체적으로 사회의 안정성이 낮아지는걸 체감하게 되는데,
개인의 생존전략이 달라지는 상황에서, 도태되는 사람에 대한 이 사회의 태도를 잠시 생각해보면 안습합니다.

점포를 차리고, 창업하고, 취업을 위해 전공과정을 수료하는건 일반적인 사람이 일생에 몇 번 선택할 수 없는 큰 기로입니다.
그 사람의 자질부족이 아니라, 자원과 기회비용을 엄청 잡아먹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그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한다면... 이건 생존에 대한 위협이 될 수 있지요.

뭐.. 그마저도 거시적인 혁신을 위해서는 필요하다는 관점도 있겠지만, 저는 위기의 당사자들 편에 이입이 좀 더 됩니다.
14/07/10 12:04
수정 아이콘
이래서 브랜드가 중요한가봅니다.
아래 글에서 나오는, 임차인이 비용을 부담하여 건물을 신축 내지 리모델링한 후 전대하는 형태의 사업은 엄청난 부가가치가 생기는 대신 꽤 위험성 있는 사업입니다(과거 아파트 지어대던 시절의 PF대출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잘못하면 투입비용이 몽땅 날아가지요. 건물주들이 전차인으로부터 직접 차임을 지급받으면 지금보다 훨씬 더 받을 수 있는데도 전대인을 끼우는 건 그 때문입니다.
그 사업을 개인이 계획한 다음에 건물주를 찾아가면 믿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기에 가깝다고까지 생각할 겁니다(저도 몇몇 계약서를 보고 "이거 봉이김선달이 따로 없네" 싶었습니다). 건물주들 역시 위험부담을 안고 싶지 않으니 브랜드가 끼어야 믿고(설마 대기업이 돈 떼먹진 않겠지), 그에 따라 대기업만 진출하는 현상이 생기게 되는 것이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637 [일반] 서울에서 일본 자위대 창설 기념식이 열립니다. [78] hola2676813 14/07/10 6813 2
52636 [일반] [잡담] 박제에 대한 이야기 [8] 7월2726 14/07/10 2726 0
52635 [일반] [스포츠] [NBA] 르브론을 모시고 오기 위해 클리브랜드가 노력하네요. [31] 어리버리5281 14/07/10 5281 0
52634 [일반] 유홍준 교수, 문화재 입장료에 대해서 [55] Duvet9320 14/07/10 9320 2
52633 [일반] 축구 국가대표 차기 감독은 이광종 감독이 유력하고 생각합니다. [66] 사신군6177 14/07/10 6177 0
52632 [일반] 주인의식 [13] 삭제됨3489 14/07/10 3489 7
52631 [일반] [오피셜] 만주키치, AT 이적 + 레반도프스키 뮌헨 입단 [21] 짐짓4937 14/07/10 4937 0
52630 [일반] 홍명보 감독 사퇴 확정(제목 수정) [96] 세종12620 14/07/09 12620 0
52629 [일반] 조물주보다 위대한 건물주.jpg [43] 성동구11012 14/07/09 11012 0
52628 [일반] 내가 좋아하는 신해철 노래 Best 10 [37] 리콜한방6854 14/07/09 6854 3
52627 [일반] 지난달에 발표된 전자발찌확대방안.. [47] nickyo5556 14/07/09 5556 1
52626 [일반] 2022년 동계올림픽 최종 후보지가 발표되었습니다... 어느 도시가 될꺼 같으신가요?? [15] 잘가라장동건4934 14/07/09 4934 0
52625 [일반] 새정치연합, 광주 광산을 권은희 전략공천 확정 [233] 어강됴리8486 14/07/09 8486 2
52624 [일반] 무료 음악 감상 앱 추천 - Beat [20] 베네딕트컴버배치6810 14/07/09 6810 0
52623 [일반] [해축] 디 마리아 딜레마 [47] OnlyJustForYou6777 14/07/09 6777 0
52622 [일반] 퇴마록에 대한 잡담 [42] 삭제됨6882 14/07/09 6882 0
52621 [일반] [K리그 클래식] 전북 현대 최은성 은퇴 [28] 잠잘까4540 14/07/09 4540 3
52620 [일반] 흡연자분들 전자담배로 오세요. [110] The Special One16627 14/07/09 16627 3
52619 [일반] [미드] 하우스 오브 카드 & 미드 장르 이야기.. [76] 삭제됨6146 14/07/09 6146 0
52618 [일반] 김완선/뉴이스트의 MV와 B1A4/박지윤/걸스데이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5] 효연광팬세우실2880 14/07/09 2880 1
52617 [일반] 한국기독교인들이 인도 부처님의 성도성지에서 일명 '땅밟기'를 자행했다고 합니다. [419] 큐브11464 14/07/09 11464 5
52616 [일반] 산책 [5] ohfree2898 14/07/09 2898 0
52615 [일반] 웹상의 좋은 글들을 스크랩해봅시다. [18] Love&Hate8611 14/07/09 8611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