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8/26 22:08:57
Name 번개맞은씨앗
Subject [일반] 경제사색 : 가격은 무엇으로 결정되는가

:: 경제사색 : 가격은 무엇으로 결정되는가 ::

Chapter 1. 심리와 가격

Q. 가격은 무엇으로 결정될까요?

흔한 경제 서적을 읽다보면, '가치판단과 기회비용'으로 결정된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건 합리적으로 타당해보입니다. 그리고 아마 실제로도 맞는 말일 것입니다. 가격은 의사결정에 의하는데, '가치판단과 기회비용'은 경제적 의사결정에 있어서 주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뭔가 설명되지 않는 듯합니다. 제 생각에 2가지가 더 있다고 봅니다.

당연함과 의지입니다.

경제주체들이 무엇을 당연하게 여기는가, 그리고 경제주체들이 어떤 의지를 품는가, 이런게 중요합니다. 뿐만 아니라, 경제에 있어 룰을 정하는 사람들의 당연함과 의지 또한 가격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판매자인 내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팔아서, 더 많은 수익을 거두려면, 가격을 높여야 합니다. 그런데 애초에 '가격을 높이고자 하는 의지'가 없다면 어떨까요? 가격이 스스로 올라가지 않을 것입니다. 음식점 주인이라면, 메뉴에 가격을 바꿔 적어야 합니다. 누가 대신 바꿔주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구매자인 내가 높아진 가격을 보면서, 기분이 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구매를 거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때 심리적으로 어떤 가격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구매를 하는게 여전히 나에게 이익일 때에도, 구매를 거부할 수 있는 건, 당연함에 사로잡혀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가격이 움직일 때, 실질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겪는 경우들이 많은 듯합니다. 가격을 높이고자 하는 의지가 있긴 합니다. 그러나 당연함에 막혀 섣불리 올리지 못합니다. 그러다가 명분이 생기면 그때 올립니다. 혹은 남들이 가격 올릴 때, 나도 따라서 올립니다. 명분은 이를테면 뉴스가 공급해줄 수 있습니다. 뉴스가 집단적 가격변동을 야기합니다. 뉴스를 야기하는 것은 실제 어떤 변화일 수도 있고, 누군가의 해석이나 평론일 수도 있습니다.

Chapter 2. 의지와 발전

가격이란 누가 더 이익을 보는지로 끝나는 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흔히 가격이 높아지면, 그로인해 새로운 투자가 일어나곤 합니다. 가격을 높이고, 더 좋게 만드는 것입니다. 가격을 높이고, 그 잉여수익으로 기술개발을 하는 것입니다. 가격을 높였고 돈을 잘 번다는 소식이 널리 퍼지자, 재능있는 사람들이 뛰어들게 되고, 그 결과 발전하는 것입니다.

특정 분야에 가격상승 의지가 부족하거나, 의지가 있긴 하지만 당연함이 강력히 이를 억압하고 있다면, 그 분야의 제품과 서비스는 가격이 높아지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기술개발도 되지 않을 것이고, 재능있는 사람들이 들어오지 않을 것이며, 기술과 재능이 없으니 투자도 이뤄지지 않을 것입니다.

각 국가마다 발전된 산업이 있습니다. 각 국가마다 가격이 다릅니다. 각 국가마다 재능있는 인재들이 주로 어디로 가는지가 다릅니다. 그것은 어쩌면, 그 국가 내부에서의 '의지와 당연함'의 결과인 것일 수 있습니다. 그중 상당부분은 '문화'로 해석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문화가 그 국가의 가격 스펙트럼을 결정합니다.

Chapter 3. 과학기술의 가격

왜 우리나라 이공계 천재들은 돈을 많이 벌지 못하는가?

가치판단과 기회비용만으로 부족할 수 있습니다. 그걸로 이해하기에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의지나 당연함 때문일 수 있습니다. 그 의지와 당연함이 문화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고, 문화가 제도가 되어서, 직간접적으로 규제하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심리나 문화는 경제학자들의 전공이 아니기 때문에, 이런 요소는 무시하거나 간단히만 언급하고 넘어갈 수 있겠습니다만, 실제 세상에 일어나는 일은 경제학적 합리성만으로 돌아가지 않는 듯합니다.

우리는 소비자로서 마트에 가격표가 딱 적혀있는 걸 많이 경험하곤 합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원래 기본은 부르는 게 값입니다. 부르는게 가격이고, 안 사면 그만입니다. 심지어 사람에 따라 다른 가격을 부를 수도 있습니다. 상대가 부자이고, 돈 쓸 마음이 열려있는 것 같으면, 가격을 크게 부를 수 있습니다.

연차가 쌓이면 그에따라 임금이 결정되는 구조라 해봅시다. 오직 그렇게만 결정된다고 해봅시다. 그러면 임금협상의 경험은 없다는 얘기가 될 것입니다. 만약에 협상에 따라서 임금이 크게 좌우될 수 있다면, 그러한 고정된 가격을 당연하게 여기지 않고, 임금을 높이려는 의지를 갖고 기업과 협상할 것입니다. 나는 이런이런 공헌을 했다 혹은 나는 이런 실력이 있다는 걸 입증했다 — 이러면서 가격을 높이려 할 것입니다.

누군가 무료로 재능기부를 하면, 그 분야에서 돈 벌어 먹고 사는 사람의 수익이 감소할 것입니다. '나는 돈은 중요하지 않아, 그러니 사람들에게 무료로 재능기부할래.' — 그랬더니 다른 사람들이 배고파집니다.

'학자나 기술자가 돈을 탐하면 안 돼. 순수히 지적 열정을 해야 하는 것이지, 탐욕스러우면 안 되는 거야.' — 라는게 당연함으로 형성되어 있는 문화라면, 가격을 높이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 결과 학문 발전이 잘 되지 않고, 기술 발전이 잘 되지 않습니다.

아마 기업에서 탁월한 인재들에게 돈을 많이 주지 않는 여러 이유 중 두 가지는 이런 것일 겁니다. '기술자보다는 경영진이 돈을 더 많이 받는게 당연하지. 당연함에 위배되기 때문에, 상무보다 더 많이 버는 30대 기술자는 절대 존재해선 안 돼.'

또 하나는 그 일부가 많은 돈을 받으면, 나머지 사람들이 사기가 떨어진다고 안 줄 것입니다. '일부 기술자들 임금 올려주면 다른 기술자들도 올려줘야 되잖아. 그리고 기술자들 임금 올려주면, 다른 부서 사람들은 어떻게 돼? 다 같이 올려줘야 되잖아. 그럴 돈은 없어. 따라서 기술자에게 임금을 높여주면 안 돼.' — 그 결과 의대로 가거나, 혹은 해외로 나가버립니다. 혹은 워라밸과 안분자족 즉 적당히 일하면서, 적당히 벌고, 그걸로 만족합니다. 뭐 대단한 거 해내려고 애쓰지 않습니다. 받은만큼 일하는 겁니다. 어차피 기업이 대단한 일을 해낼 의지도 없는 것 같고, 별로 희망도 없어 보이는데, 자리 보존에만 신경쓰면서, 승진은 해야 되니, 실력과 열정을 겸비한 사람이 보이면, 이런저런 구실로 견제하고 훼방놓으면 됩니다.

위계주의적 당연함과, 평등주의적 당연함이, 실력주의적 가격형성을 억제합니다. 엘리트 인재의 임금 상승을 억제합니다. 그 결과 해외로 나가버립니다. 그 결과 의대로 쏠려버립니다. 엘리트 인재가 없으니, 기업은 점점 영업이익이 줄어듭니다. 이익이 줄어드니 돈을 더욱 더 못 주겠습니다. 인재가 없고 이익이 줄어드니 투자도 잘 이뤄지지 않습니다. 미래를 팔아서 잠시 이익을 늘릴 수는 있습니다. 한가할 때는 그래도 괜찮았을지 모르지만, 중국이 치고 올라왔습니다. 엄청나게 열심히 일하는 엘리트 인재들이, 한국보다 100배는 더 많습니다. 당연함은 견고하고, 의지는 약해졌습니다. 성적우수자의 의대쏠림을 생각해보고, 해외로 고급인재 유출을 생각해보고, 안분자족을 생각해볼 때, 30배 차이가 아니라, 100배 차이라 보는게 그리 무리한 건 아닐 것입니다.

우리나라 과학기술 인재들은 300명으로 3만명을 이길 수 있는, 스파르타 군대라도 되는 걸까요?

시간이 흐르고 있고, 점점 무너지고 있습니다.

문화의 힘입니다.
제도의 힘입니다.

만약 사람들이 널리 '탁월함'을 향한 욕망이 컸다면, 온갖 문제들이 다 해결되었을 것입니다. 탁월함을 향한 야망이 있고, 그것이 가능할 거라는 기대가 있을 때, 생겨나는 파워가 있습니다. 널리 사람들이 그렇게 야망과 기대를 품는다면, 문화적으로 생겨나는 파워가 있습니다. 그때는 그걸 가능케하는 것들에 투자하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시간이 흐르고 있고, 점점 무너지고 있습니다.

야망이 당연함을 생산합니다.
당연함이 가격을 결정합니다.
가격이 미래를 보여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소독용 에탄올
25/08/26 22:15
수정 아이콘
가격이 가치판단하고 기회비용으로 설명되는것인지에 대해서 확신이 없긴 합니다만, 말씀하신 가정에서 출발한다고 해도 문화나 제도면 가치판단하고 기회비용에 포함되는 것 아닌가 합니다.
번개맞은씨앗
25/08/27 00:32
수정 아이콘
결국 행동이 일어나야 한다고 할 때, 운동이 가치있다는 건 알지만 운동하지 않는 사람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때 누군가는 운동하지 않고 쉬는게 더 가치있다고 판단한 거라 해석할 수 있겠지요. 미제스와 같은 행동중심의 경제학자는 아마 그런 식으로 해석해야 할 거예요.

그런데 다른 해석도 가능하니, 가치있다고 판단하지만 몸의 관성이 움직임을 막았다든지, 의지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서 운동하지 않았다고 볼 수도 있겠죠.

정말 인간이 가치판단대로 행동에 옮겨지는가 하고 물을 때 그런 것 같지는 않거든요. 가치있다고 판단해도 안 움직이는 것 같거든요. 의지와 당연함은 그저 가치에 의한 거란 주장도 가능한데, 이는 철학적인 논쟁거리가 되지 않을까 싶고요. 설령 그것들이 다 포함된 것일지라도, 강조하는 의미에서 이를 따로 꺼내 다룰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요.
에이치블루
25/08/27 00:16
수정 아이콘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너무 당연한 걸 하나도 안 써서 본문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그 때문에 이해가 갈 수 있는 부분도 그렇게 안 읽혀집니다.

뭔가 혼자만의 감상문을 쓰시는 거라면야 문제가 없습니다.
소통을 원하신다면 제대로 된 논리 전개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자기만의 글쓰기일지, 여러 사람들과 대화를 원하심인지...모르겠습니다.
번개맞은씨앗
25/08/27 00:19
수정 아이콘
가격이 수요와 공급으로 결정된다면, 수요와 공급은 무엇에 의해 결정될까요?
에이치블루
25/08/27 00:22
수정 아이콘
저는 거기까지 생각을 해본 적 없고, 번개맞은씨앗님께서 그 부분을 고찰하여 본문에 쓰시면 글의 설득력이 증강될 것 같습니다.
수금지화목토천해
25/08/27 00:36
수정 아이콘
철학에 관심이 많으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의지라는 개념을 말씀하시는 건 신기하네요. 인간의 자유의지는 없다는 쪽으로 학계이론이 발전하고 있는 중 아닌가요?
번개맞은씨앗
25/08/27 00:43
수정 아이콘
저는 철학책을 100권 이상 읽었고, 주로 서양 근대철학이며, 발을 제대로 들여놓았다고 본 때가 쇼펜하우어였어요. 책제목이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이죠.

자유의지는 그것이 대체 무슨 뜻이며 그것이 존재하는지 논쟁거리이지만, 의지는 인간정신을 설명하는 중요한 관념 중 하나라 빼놓을 수 없는 거라 봐요. Will이죠. 영어에서 will을 쓸 때마다 의지를 이야기하고 있는 거죠.
+ 25/08/27 02:14
수정 아이콘
내용이 언뜻 잘 이해는 되지 않지만

말씀하신 의지를 x나 가지고싶은마음과 x나 팔고 싶은 마음 정도로 생각해보면 그냥 수요와 공급이구나 할 수 있지 않을까 싶구요.

당연함이라고 말씀하신 부분은 한계효용 같은게 아닌가 싶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31980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0887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4507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9617 4
104864 [일반] 경제사색 : 가격은 무엇으로 결정되는가 [8] 번개맞은씨앗1132 25/08/26 1132 0
104863 [일반] 여름 끄트머리에 올리는 H1KEY '여름이었다' 커버 댄스 영상입니다. 메존일각1019 25/08/26 1019 5
104862 [일반] 표범이 나타났다 — 의미와 대립 [4] 번개맞은씨앗3086 25/08/26 3086 2
104859 [일반] [사용기] light phone 3 [14] 50b4840 25/08/26 4840 3
104857 [일반] 한국에서 로보택시는 운행될 수 있을까요? [39] 깃털달린뱀5361 25/08/26 5361 0
104855 [일반] 담배가격과 흡연구역은 적절한가?? [220] 다크드래곤9597 25/08/25 9597 2
104854 [일반] (댓글에 발표)올해도 하는 나스닥 종합지수 맞추기 이벤트 [138] 기다리다4631 25/08/25 4631 0
104853 [일반] 학교에서 배우지 않는 수학기초 2편 : 행렬핑퐁과 인공지능 [27] 번개맞은씨앗3079 25/08/25 3079 1
104850 [일반] 이따 KBS1 '월드1945 - 그때 지금이 시작되었다' 다큐 마지막 3부가 방송됩니다. [3] 시나브로6184 25/08/24 6184 2
104846 [일반] 철학적 사고를 하는 캐주얼한 방법 [7] 번개맞은씨앗2947 25/08/24 2947 8
104845 [일반] 야구랑 축구 보러 대구 여행 [6] 及時雨1544 25/08/24 1544 4
104844 [일반] 기억상실증에 관한 이야기 [5] 라비012565 25/08/24 2565 8
104842 [일반] 철학적 사고를 하는 캐주얼한 방법 [21] 삭제됨3053 25/08/24 3053 4
104839 [일반] [팝송] 저스틴 비버 새 앨범 "SWAG" [2] 김치찌개2263 25/08/24 2263 1
104837 [일반] 귀멸의칼날 무한성 1장 개봉당일 보고 온 후기 (스포없음) [99] 시랑케도15343 25/08/23 15343 5
104835 [일반] 케데헌은 PC 그 자체이죠. [247] 유동닉으로13791 25/08/22 13791 21
104834 [일반] "소득은 국민연금뿐, 생활비 걱정" 부동산에 묶인 노인 빈곤층 [135] 페이커7511779 25/08/22 11779 23
104831 [일반] 숨 참기 기네스 기록 29분 3초 [49] 조조5925 25/08/22 5925 12
104829 [일반] 지식의 사람 차별 [8] 번개맞은씨앗3671 25/08/22 3671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