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11 10:17:54
Name 철판닭갈비
Link #1 https://www.yna.co.kr/view/AKR20250710182753530?input=1195m
Subject [정치] 내년 최저임금 2.9% 오른 시간당 1만320원…17년만 합의로 결정
PYH2025071022870001300-P4

내년도 최저임금이 결정되었습니다. 올해 10,030원에서 10,320원으로 2.9%가 인상될 예정이라고 하네요. 월급으로 환산(주40시간, 월209시간 기준)하면 약 209만원 -> 약 215만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6만원이면 명륜진사갈비 3번 먹을 수 있는 금애....쿨럭) 이정도면 양쪽 다 만족할만한(혹은 양쪽 다 불만족스러운;;) 인상폭이 아닌가 싶습니다. 다시 말해서 물가상승폭 대비 괜찮은 결론이 아닌가 생각되네요.

2011-2025
20250711-094110
출처: https://www.minimumwage.go.kr/minWage/policy/decisionMain.do

이렇게 표로 보니 최저임금 많이 오른게 눈에 보이네요. 제가 군 제대하고 대학 다니면서 편의점 야간알바 했을때 야간인데도 5천원 받고 일했었는데...
특이점은 이번이 2008년 이후 17년 만에 노사공 합의로 결정이 된 케이스라고 합니다. 1988년 최저임금제 도입 이후 8번째라고 하고요. 최저임금위원회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는데,

image

그간은 노사간 합의가 어려워 공익위원이 중재하여 결정했는데, 이번에는 최초 노동계 11,500원-경영계 10,030원(동결)로 1,470원이나 차이나던 것이 10차까지 가는 수정안 끝에 노동계 10,430원-경영계 10,230원으로 200원까지 격차가 줄었고 공익위원들의 중재 하에 최종합의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어쨌건 이익단체간의 이런 합의하는 모습은 보기 좋은 것 같습니다.

GYH2025071000200004401-P4
출처: https://www.yna.co.kr/view/GYH20250710002000044?section=graphic/index

최저임금이 오르면 덩달아 직장인 급여도 함께 오르는게 그간 추세였기 때문에 우리 피지알러들 내년 연봉협상에 다들 행운이 깃드시길 소원합니다...저부터!!!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리얼포스
25/07/11 10:22
수정 아이콘
주휴수당 시급에 반영하고 삭제할 방도는 없는 건가요?
철판닭갈비
25/07/11 10:30
수정 아이콘
법 개정 필요한 부분인데, 뭐 현재 정치지형상 대통령이나 민주당이 의지를 갖고 행하면 될 가능성이 높은데

https://www.news1.kr/industry/sb-founded/5740366
"주휴수당 폐지해야" 소상공인 주문에 이재명 '난색'(종합)
https://www.chosun.com/national/labor/2025/06/26/MBCKEMYE25H2FLBKDFUC5QF234/
주 15시간 미만 일하는 초단기 근로자에게 주휴수당 지급 검토

이재명 생각이 주휴수당이 근로자에게 도움되는 정책이라고 생각하는게 아닌가 싶어서 어려울지도..ㅠㅠ
리얼포스
25/07/11 10:49
수정 아이콘
주휴수당의 존치가 누구의 이득이 되는지 잘 모르겠어요.
근로자나 고용인 양측에게 불편함만 주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데...
카루오스
25/07/11 11:07
수정 아이콘
주휴수당이 장기 근무한다고 주는거 아니었나요? 초단기근로자한테까지 주는거면 그냥 최저시급올리는거 아닌가;
lightstone
25/07/11 10:49
수정 아이콘
단순하게 생각하면 주휴수당에 상응하는 만큼 기본시급을 올려서 총액을 비슷하게 맞춰주자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시급으로 계산되는 각종 수당(시간외 수당, 특근 수당, 연차 수당 등)들도 거기에 비례해 오르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지출이 갑자기 늘어난다. 그렇다고 기본시급을 주휴수당만큼 다 올리지 말고 중간 어디서 합의하자니, 임금에서 수당이 차지하는 비중이 사업장별, 고용형태별로 천차만별이라 역시 합의가 되지 않는다. 이런 계산이 복잡하니 그냥 비정규직에 한해서만 폐지하겠다고 하면 일단 최저임금을 이원화해야 되는데다, 주휴수당의 장점인 개근 유도 효과가 정작 비정규직 쪽에 더 크게 작용한다는 것이 문제다.
---
나무위키를 살펴보니 문제점으로는 위와 같이 설명하긴 하네요.
주휴수당이 존재한 상태에서 우리나라 임금체계가 정착해오다보니, 하나를 바꾸면 그에 따른 파생효과들이 있어서 쉽지 않을 듯 합니다. 예를들어, 최저임금이 아닌 회사들은 주휴수당이 없어지면 기존 시급들을 어떻게 할것인지 노사간의 큰 혼란이 있을 듯하네요.
리얼포스
25/07/11 10:50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어느 정도 의문점이 해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lightstone
25/07/11 10:53
수정 아이콘
공무원으로 정책을 해보니 쉬원쉬원하게 되는 일은 극히 드물더라구요.
"왜 이렇게 하고 있지? 병신들인가? 제로베이스에서 다시 리빌딩 해야겠어" 포부를 가지지만 나중에 전임자들이 병신들이 아니었음을 깨닫게 되죠...
척척석사
25/07/11 14:45
수정 아이콘
마치 어른이 되어가는 과정과 같은..

???: 어른들은 지 돈만 먹을라고 저따구로 일하고 정책짜네 왜 저렇게 살지?

???: 아 이래서 이렇게 살았구나 설명이 쉽지않구나
아케르나르
25/07/11 10:54
수정 아이콘
저도 좀 단순하게 생각했었는데, 따져보니 주휴수당 없애기가 쉽지 않은 일이군요.
25/07/11 11:17
수정 아이콘
정보 감사합니다. 저도 주휴수당을 없애고 임금 체계를 간소화 시키는게 좋다고 생각했는데 단순히 없앨 수도 없고 조정도 어렵고 많은 갈등이 생기겠네요.
VictoryFood
25/07/11 12:46
수정 아이콘
시급으로 계산되는 각종 수당(시간외 수당, 특근 수당, 연차 수당 등)들도 거기에 비례해 오르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지출이 갑자기 늘어난다.

그래서 주휴수당을 없애고 기본시급을 올리는 것으로 바뀌어야 하죠.
기본시급을 올려야 야근, 특근 등이 사용자에게 더 부담이 되기에 업무효율을 늘리려고 노력하거나, 3명이 일할 것을 4명이 일하는게 더 저렴하거나 하게 되거든요.
lightstone
25/07/11 12:57
수정 아이콘
고용인이나 피고용인이나 총임금이 같아야 한다는 조삼모사로 생각한다면 당위의 문제가 아닙니다.
강제하지 않는다면 고용인의 선의에 기대하는 것이고 강제할 수 있다면 오랜시간 동안 정착해 온 임금체계를 바꿀때 서로의 계산법이 다를 수 밖에 없는 현실적 어려움을 말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 고용인은 기본급만 같아야 한다고 할 수도 있고 피고용인은 모든 수당을 다 포함한 임금이 같아야 한다고 볼수도 있는 것이죠.
VictoryFood
25/07/11 13:22
수정 아이콘
우리 노동환경은 특근,야근이 노동자보다 사용자에게 더 유리하게 짜여져 있습니다.
계속 사용자가 52시간보다 더 많이 일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는 건 많이 일할 수록 단위시급이 낮아지기 때문이죠.
일을 더 많이할수록 노동자보다 사용자에게 부담이 되어야 우리 사회의 상당수 많은 문제점이 해결된다고 봅니다.
Be quiet
25/07/11 13:24
수정 아이콘
주휴수당을 없애려면 포괄임금제도 같이 손을 봐야됩니다
그런데 사용자축에선 포괄임금제를 건드리는건 또 싫어하죠
그래서 지금까지 이런 쓰레기 같은 제도가 유지되고 있는겁니다
잠이오냐지금
25/07/11 10:22
수정 아이콘
와 저 중학생때 친구들 롯데리아에서 알바했었는데
1시간 일해도 새우버거 단품 하나 겨우 먹는 시급이였는데... 1,600원이엿나...
철판닭갈비
25/07/11 10:23
수정 아이콘
크크크 저도...11년도 복학하면서 편의점 야간알바할 때 5천원 받고 했었는데...
시급보다 많이 준다고 뻐기던 점장에게 그땐 어려서 정말정말 감사했었던 기억이...
25/07/11 10:59
수정 아이콘
제가 94년 대학교 때 첫 알바가 소주방이었는데, 시급 1600원이었습니다.
한 달 일해서 대략 20만원대 삐삐 사면 끝이었던... 크크
25/07/11 10:24
수정 아이콘
1999년쯤인가 보네요? 이때 최저시급이 1650원이었고 알바 처음시작하면 3개월간 수습이라고 50원 빼고 1600원 줬었죠
기무라탈리야
25/07/11 10:27
수정 아이콘
200x년(5이하)에 1400원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학생이라 그런가
아케르나르
25/07/11 10:55
수정 아이콘
저 2001년에 피씨방 알바할 때 시급이 1,500원이었는데, 그때쯤이었나보네요.
잠이오냐지금
25/07/11 11:02
수정 아이콘
중2~3 이엿으니까
98~99 엿을거에요 크크
EnergyFlow
25/07/11 10:25
수정 아이콘
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인 효과인게 아닌가 싶은.....
Mephisto
25/07/11 11:55
수정 아이콘
바로 아래 글이랑 같이 보시면 가관이죠. 크크크....
25/07/11 10:27
수정 아이콘
주휴수당은 여전히 손 안보는건가요
카루오스
25/07/11 10:30
수정 아이콘
만원갈때 주휴수당을 같이 녹여버렸어야됐는데 이젠 요원하겠네요.
덴드로븀
25/07/11 10:34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220136?sid=102
[실업급여도, 출산휴가급여도 오른다…최저임금 따라 달라지는 것] 2025.07.11.
주휴수당 : 한 주에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소정 근로일을 개근한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유급휴일 수당
주5일 8시간을 근무할 경우 8시간에 시급을 곱한 만큼이 주휴수당
주휴수당액 : 8만240원 -> 8만2560원

△구직급여(실업급여)
△지역고용촉진지원금
△출산 전후 휴가 급여
△고용촉진장려금 등
바람돌돌이
25/07/11 10:38
수정 아이콘
주휴수당 없애고 좀 단순화 해야죠.
슬래쉬
25/07/11 10:48
수정 아이콘
주휴수당 없애야 하는데, 오히려 더 넓게 적용시킬 생각하고 있으니...
사부작
25/07/11 11:05
수정 아이콘
최저시급 1만원까지 왔으니
이후는 물가상승율 + 약간의 알파 정도로 가는 게 적당하지 않나 하는 생각은 듭니다
덴드로븀
25/07/11 11:21
수정 아이콘
단순하게 물가상승률과 연동한다는 식으로는 안하는게 좋습니다. 평균을 크게 벗어나서 움직이는 경우를 고려하기 힘들어지니까요.

[소비자물가상승률]
2014 1.3%
2015 0.7%
2016 1.0%
2017 1.9%
2018 1.5%
2019 0.4%
2020 0.5%
2021 2.5%
2022 5.1%
2023 3.6%
2024 2.3%
사부작
25/07/11 11:23
수정 아이콘
네 저도 그렇게 규칙을 정하자는 건 아니고,
그 정도를 기준으로 협의하면 좋겠다입니다
25/07/11 11:24
수정 아이콘
취임첫해 치고는 소박하게 올리긴했네요 그만큼 경기가 어렵긴한가봅니다
철판닭갈비
25/07/11 11:39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노동계 쪽에선 비판적이라고 하더라고요
민주당 정부에서 국힘 정부보다 취임첫해 조금 올렸다고...
25/07/11 12:08
수정 아이콘
주휴수당은 위에언급한 여러 이유도있지만 현 주4일제 목표 기조에도 맞지않는다고 봐서 없애는게 방향성이도 맞다고보는데 참 모르겠네요...
VictoryFood
25/07/11 13:10
수정 아이콘
최근 10년간(2015-24) 월평균임금과 최저시급기준 월급(209시간)을 비교해 보면 (단위:천원)

연도 - 평균임금 - 최저월급 - 비율
2015 - 2,740 - 1,166 - 42.5%
2016 - 2,833 - 1,260 - 44.4%
2017 - 2,896 - 1,352 - 46.6%
2018 - 3,028 - 1,573 - 51.9%
2019 - 3,138 - 1,745 - 55.6%
2020 - 3,180 - 1,795 - 56.4%
2021 - 3,271 - 1,822 - 55.7%
2022 - 3,526 - 1,914 - 54.2%
2023 - 3,640 - 2,010 - 55.2%
2024 - 3,737 - 2,060 - 55.1%

월평균임금 :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pop=1&idxCd=5032
최저월급 : https://www.minimumwage.go.kr/minWage/policy/decisionMain.do

임금근로자 평균월급 대비 최저임금월급 비율 추이입니다.
이 비율이 50% 선에서 유지되는게 좋다고 보는데, 문재인 정부시절 초반 급격히 늘었다가 최근 안정화 중이죠.
최근 2년(2025,2026) 에도 최저시급이 적게 올라서 이 비율을 더 낮아지지 않았을까 싶네요.
Janzisuka
25/07/11 13:22
수정 아이콘
경기 부양과 물가 안정이 같이 이뤄져야할텐데말이죵
정대만
25/07/11 16: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작년이나 올해나 오른 절대 숫자는 비슷하네요.
기본값이 커지니 % 숫자가 적어 보이는 것 뿐이죠.
그나저나 경기 어렵다는데 저것도 부담 되는 자영업자들 많을 것 같습니다. 서비스업은 생산성 문제가 아니라 그 시간에 포스트 지켜 주는 자체가 필요한거고 필요한 원재료 값은 물가 따라 상승 할 텐데 가격 상승 아니면 버티기 힘들겠죠. 동시에 가뜩이나 장사 안 되는데 가격 올리기도 쉽지 않을 테고요.
25/07/11 17:17
수정 아이콘
서비스업은 생산성 올릴 방법이 가격/요금 인상 말곤 사실상 없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6696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7220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0840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4648 4
104509 [정치] 이재명 대통령 간담회 실언 해프닝 [244] 짭뇨띠7853 25/07/11 7853 0
104505 [정치] 내년 최저임금 2.9% 오른 시간당 1만320원…17년만 합의로 결정 [38] 철판닭갈비5634 25/07/11 5634 0
104504 [정치] 민주노총 용공 논란은 민주노총이 자초한 측면도 있다고 봅니다. [34] petrus5146 25/07/11 5146 0
104503 [정치] 내란옹호 세력을 싹쓸이하려면 차별금지법이 필요합니다 [81] 코로나시즌6797 25/07/10 6797 0
104502 [정치] 국힘, 尹 재구속 날 ‘계엄·탄핵’ 사죄문 발표…사실상 ‘완전결별’ 선언 [107] 카린10316 25/07/10 10316 0
104501 [정치] 대선 이후 이대남 관련 글 중에서 읽어볼 만 하다고 생각했던 페북 글. [292] petrus11903 25/07/10 11903 0
104500 [정치] 정치적 소신과 의견의 교환 [253] 烏鳳10720 25/07/10 10720 0
104498 [정치] 조은희 "내란특별법은 정치 보복…국힘도 계엄 피해자" [116] 전기쥐10082 25/07/10 10082 0
104496 [정치] 정부, '전시작전권 환수' 협상 카드로 검토 [137] 시린비8090 25/07/10 8090 0
104493 [정치] 윤 어게인 [20] 백면서생6855 25/07/10 6855 0
104492 [정치] 윤석열 재구속 [66] 만우9267 25/07/10 9267 0
104490 [정치] 2030 남성 유권자 지형과 세대 방패 [257] 딕시11042 25/07/09 11042 0
104488 [정치] 주 4.5일 (혹은 4일) 근무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 [69] 정대만3794 25/07/09 3794 0
104487 [정치] 시사IN 대선 후 여론조사 (20대 남성 절반 가까이 이재명에 대해 부정적) [492] 빼사스13834 25/07/09 13834 0
104481 [정치] 채 상병 특검 “박정훈 대령 항소 취하”…무죄 확정될 듯 [24] 철판닭갈비4989 25/07/09 4989 0
104470 [정치] 트럼프 "8월1일부터 한국 일본에 25% 상호관세"…서한 공개 [131] 유머15250 25/07/08 15250 0
104468 [정치] 해양수도, 잘 준비하고 있는 것일까? <2> 부산 집중 [129] 원해랑7493 25/07/07 7493 0
104466 [정치] 해양수도, 잘 준비하고 있는 것일까? <1> 북극항로 [33] 원해랑6898 25/07/07 6898 0
104465 [정치] 안철수 국힘 혁신위원장 사퇴, 당대표 도전 [85] 동년배11258 25/07/07 1125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