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03 15:34:16
Name 번개맞은씨앗
Subject [일반] 사회와 심리 : 중간자

사회와 심리 : 중간자

한국인이 미국에 이민을 갔다고 해봅시다. 아마도 그는 미국 사회에서 주류가 아닐 것입니다. 이방인으로서 미국인들과 갈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그는 한국 사회에서도 주류가 아닐 것입니다. 그는 떠난 사람입니다.

이런 경우 이를 '중간자'라 부를 수 있을 것입니다.

서민의 아들로 태어나 공부를 열심히 하여 공무원이 되고 안정된 삶을 산다고 해봅시다. 그리고 중산층이 되었다고 해봅시다. 그 역시 중간자일 수 있습니다. 원래부터 중산층이었던 사람들과 다른 부분이 있을 것이고, 이로인한 심리적 갈등 혹은 사회적 갈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도 자녀를 갖게 되었을 때, 그 자녀가 다시 서민으로 떨어질까 우려될 수 있습니다. 그로인해 공부를 매우 강조하게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자녀는 공부에는 관심이 없고, 미술에 흥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중간자의 자녀'라 부를 수 있을 것입니다.

즉 중간자는 끼어있는 사람이거나,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건너간 사람입니다. 개천에서 용이 났다고 할 때, 그는 더이상 개천 사람도 아니고, 온전히 용천 사람도 아닐 것입니다. 중간자입니다.

양쪽에서 갈등을 겪으니 에너지가 강렬해집니다. 고립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그 에너지가 특별한 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습니다.

1. 악인이 되는 것입니다.
2. 영웅이 되는 것입니다.
3. 우울증 환자가 되는 것입니다.

에너지가 강렬하지 않다면, 셋 다 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중간자의 심리적 문제에 대한 책으로 리처드 호가트의 <교양의 효용>이 있습니다. 20세기 초 영국 문화에 관한 책입니다. 중간자의 자녀, 그 예시로 <나의 투쟁> 독일의 아돌프 히틀러가 있습니다.

중간자 중에 영웅이 나올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양쪽 관점을 모두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을 긍정적으로 종합해낼 수 있다면, 특별한 인격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그 예시로 히브리인 출신 이집트 왕자, 모세가 있습니다.

개인이 아닌, 국가를 놓고 볼 때도, 중간자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최빈국에서 태어나 선진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이 살았으며 살고 있는 곳은 바로 한국입니다. 한국은 중간자입니다. 그로인해 내부에 강렬한 에너지가 있습니다. 악인이 될 수도, 영웅이 될 수도, 우울증 환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순진무구
25/07/03 16:49
수정 아이콘
어떤 강렬한 에너지로 인해 악인 혹은 영웅이 만들어진다는 내용은 흥미롭고, 일견 수긍도 됩니다.
다만 강렬한 에너지가 꼭 어떤 집단과 집단 사이에 끼인 중간자에게만 찾아올까 싶기는 합니다.
아주 사소한.. 뭐 하나의 인간관계, 하나의 사건 등이 어떤 사람한테는 악인 혹은 영웅이 되는 에너지로 작용할 수도..
번개맞은씨앗
25/07/03 16:54
수정 아이콘
맞는 말씀이라 생각합니다. 글에서는 단순하게 말했지만, 중간성은 에너지 생성의 여러 원인 중 하나라 할 수 있겠죠.
안군시대
25/07/03 17:44
수정 아이콘
자수성가한 사람이 오히려 하층민들을 무시하거나 노력이 부족한 사람으로 치부해 버리는 등의 현상도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할 수도 있겠군요.
그리고 동서양을 막론하고 영웅담에는 꼭 특별한 출생과정, 고난과 역경이 들어가는 이유도 설명이 될 수 있겠고요.
번개맞은씨앗
25/07/03 18:36
수정 아이콘
네, 말씀하신 것은 흔히 있는 일이라 생각해요. 흔하니 평범의 범주에 있다고 생각하고요. 그저 무시하는 걸 넘어서, 적극적으로 사람들을 해친다면, 악인이라 할 수 있겠죠. 

그리스 신화에서는 신과 인간에게서, 영웅이 탄생하니, 출생부터 곧바로 중간자라 할 수 있을 것 같고요. 이런 구조라면, 영웅은 중간자로서, 인간들로부터 질투를 받고, 신들로부터 무시를 받아야 할텐데, 질투의 여신 헤라로부터 고난을 당하는 걸로 바뀌어 있는게 특이한 점 같고요. 
다크드래곤
25/07/03 18:28
수정 아이콘
좋은 가설인것 같습니다.
저도 비슷하게 생각한 생각입니다
해당 가설을 로 검증할만한 수단은 뭐가있을까요
입증이 되면 더 좋을것 같아요
번개맞은씨앗
25/07/03 18:58
수정 아이콘
주장이 정확하고 엄밀한게 아니니, 확증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 생각해요. 개연성을 높이는 방법은 있겠고, 사례를 들어볼 수 있겠죠. 

중간자로서 사례라 하면, '서자'가 있을 거라 생각해요. 픽션이지만, 홍길동도 중간자죠. 그리고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위인인, 레오나르도 다빈치도 서자인 걸로 알아요.

'아버지 피에로 다 빈치는 법률가들을 배출한 지주 가문 출신으로 직업은 공증인이었고 어머니 카타리나는 가난한 집안의 딸이었다. 이들 사이에서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사생아로 태어났다. 당시 부친의 나이 23살로 결혼 전이었으나 모친은 사회적 신분이 낮았고 지참금을 낼 수 없을 정도로 가난한 집안 출신이었기에 결혼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 위키백과 레오나르도 다 빈치

서자로서 악인이라면, 연산군이 있겠죠. 
No.99 AaronJudge
25/07/03 18:32
수정 아이콘
좋은데요
번개맞은씨앗
25/07/03 19:0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5800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6565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0238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3865 4
104448 [일반] 현대 기아는 중국 시장에서 부활할 수 있을까? [3] 깃털달린뱀1211 25/07/04 1211 1
104444 [일반] 사회와 심리 : 중간자 [8] 번개맞은씨앗2314 25/07/03 2314 1
104443 [일반] 입대 1주년, 휴가 복귀 전 써보는 글 [23] No.99 AaronJudge2894 25/07/03 2894 8
104438 [일반] 일상의 슬픔. [3] aDayInTheLife3198 25/07/02 3198 6
104437 [일반] [꼬꼬무] 염순덕 상사 피살사건 2025년 업데이트 [2] Croove5129 25/07/02 5129 7
104436 [일반] [도서] '세가 게임기 투쟁사' 소개글 & 게이머 라이프 [25] 15년째도피중3388 25/07/02 3388 5
104435 [일반] (강스포)오징어게임3 이건 좀... 이라고 생각했던 장면들 [74] 마술의 결백증명6759 25/07/02 6759 21
104434 [일반] 노스포)25년 상반기 영화관 관람 결산 [19] 왕립해군2606 25/07/02 2606 2
104432 [일반] 정말로 따실 줄은 몰랐지. [21] 맛밤6596 25/07/02 6596 25
104430 [일반] 집주인 바뀌면 전세금 돌려줄때 대출한도 '고작 1억원' [183] 로즈마리8940 25/07/02 8940 9
104429 [일반] 고양이와의 생활 [16] 공기청정기4193 25/07/01 4193 6
104428 [일반] 폰 노이만이 쏘아올린 공 / 메모리(RAM)의 역사 [10] Fig.14402 25/07/01 4402 22
104427 [일반] 홈오피스 계약을 이용해 미국에서 불법으로 일하다가 적발된 북한 [21] 타츠야6448 25/07/01 6448 2
104426 [일반] 딸아이와 함께하는 게임 잡담 [21] 글곰3980 25/07/01 3980 13
104425 [일반] 독서목록 500 [16] 번개맞은씨앗3933 25/07/01 3933 3
104423 [일반] [경매이론3] 제한된 자원과 최선의 선택 [2] 오디세우스2102 25/07/01 2102 4
104422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7 [7] Poe3438 25/07/01 3438 30
104421 [일반] 게임 좋아하는 우리 누나 이야기 [38] 천둥5955 25/06/30 5955 25
104420 [일반] 팀장이란 무엇이길래 : 공무원의 직급과 직위 [55] 글곰8077 25/06/30 8077 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