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7/18 21:28:40
Name 투투피치
Subject [일반]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90년대 일본 드라마 오프닝 곡들 (수정됨)

우리나라 드라마에도 큰 영향을 미친 ‘도쿄 러브스토리(1991)’의 오프닝 곡인 오다 카즈마사의 ‘러브스토리는 갑자기’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영화와 드라마로 2번이나 리메이크된 ‘101번째 프러포즈(1991)’오프닝 곡인 차케&아스카의 ‘SAY YES’입니다.


키무라 타쿠야와 니시지마 히데토시의 풋풋한 모습을 볼 수 있는 ‘아스나로 백서(1993)의 오프닝 곡인 후지이 후미야의’TRUE LOVE’입니다.


역시 키무라 타쿠야의 초기작인 ‘젊은이의 모든 것(1994)’의 오프닝 곡인 미스터 칠드런의 ‘Tomorrow never knows’입니다.


에구치 요스케 주연의 코미디 드라마 ‘우리들에게 사랑을(1995)’의 오프닝 곡인 L⇔R의 ‘KNOCKIN'ON YOUR DOOR’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드라마를 홍콩 봉황위성TV에서 거의 실시간으로 봐가지고는 기억에 남네요. 오프닝 곡은 지금도 참 좋아하는 곡이기도 하구요.


키무라 타쿠야 전설의 시작인 ‘롱 베케이션(1996)의 오프닝 곡인  쿠보타 토시노부의 ‘La La La Love Song’입니다.


마츠 다카코의 최전성기를 확인할 수 있는 작품, ‘러브 제너레이션(1997)‘ 오프닝 곡인 오오타키 에이이치의 ‘행복한 결말’입니다.


드라마보다 오프닝 곡이 더 유명해져 노래 가사가 다시 드라마까지 제작된 ‘마녀의 조건(1999)’의 오프닝 곡인 우타다 히카루의 ‘First Love’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7/18 21:49
수정 아이콘
저는 '돈이없어' OP였던 오다유지가 부른 OVER THE TROUBLE을 종종 흥얼거립니다.
미키맨틀
24/07/18 22:03
수정 아이콘
봉황티비를 언급을 하시다니 저보다 윗세대이시거나 동시대 분 같네요.
저 때는 유선 방송이라고 했죠.
90년대 후반은 세기말과 홍콩 반환이 겹쳐져서 분위기가 묘혔죠.
당시의 TV 진행자들은 전부 지금은 50살은 넘겼을 텐데 뭘 하고 있을지 가끔씩 궁금하기도 하네요.
할수있습니다
24/07/18 22:15
수정 아이콘
저 오리지날 101번째프로포즈는 문화개방이후 한번쯤 우리나라 케이블채널에서 해줄만했는데 안해주더라구요. 리메이크가 잦아서 그런가
투투피치
24/07/18 22:30
수정 아이콘
이번에 채널W에서 최초로 방영해주더라구요.
24/07/18 22:51
수정 아이콘
제가 제일 처음 본 일드가 도쿄러브스토리였네요. 그땐 자막이 없어서 내용도 모르는걸 왜 그렇게 열심히 들여다 봤었는지.. 크크
저는 리카 역의 스즈키 호나미보다 나오코 역의 센도 아키호를 더 좋아해서, 나오코가 나오는 장면만 반복해서 보곤 했었네요.
회색사과
24/07/18 23:55
수정 아이콘
와.. 도쿄 러브스토리가 한국에서 이렇게 메이저(?) 할 줄은… 

기억나는 명대사 
“칸치!! XXX 시요“

일본은 공중파에서 이런 대사가 나오는구나 싶었습니다. 
(나중에 알기로는 일본에서도 쉽지 않은 대사였다고..) 
가이브러시
24/07/19 08:42
수정 아이콘
그 유명한 대사.세크스쇼-!! 와 역시 다르네...하고 놀랐는데 그 90년대 일본에서도 파격적인 대사 였나보군요. 첨 알았습니다.
스마스마
24/07/19 14:11
수정 아이콘
사회적 반응이 꽤나 큰 대사였죠.

여성이 연애에 있어서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에 익숙치 않은 문화이고 시대이다 보니...
트랜디 드라마의 시작이, 86년 '남녀7인의이야기'이고
트랜디 드라마의 끝을, 96년 '롱 베케이션'이라고 볼 수 있지만,
가장 폭발적이었던 것은 아무래도 도쿄 러브스토리이긴 합니다.

페미... 까지는 아니어도, 일본 내 주체적인 여성의 삶을 이야기 할 때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작품이자 내용이기도 합니다. 스즈키 호나미가 너무 귀엽고 매력적이어서 해당 대사가 더 임팩트 있었던 것 같네요.
larrabee
24/07/19 00:15
수정 아이콘
j-pop 추억의 곡들 많이올라오니 좋네요 감사합니다
Starscream
24/07/19 07:02
수정 아이콘
아사노 아츠코는 우는 얼굴이 가장 아름다운 여배우라고 생각합니다. 
정채연
24/07/19 08:28
수정 아이콘
La La La Love Song 백예린버전 너무 좋습니다. 꼭 들어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k36cEbuLG94
24/07/19 12:49
수정 아이콘
제목은 기억 안 나고 90년대 후반~ 00년대 초반의 에스미 마키코 주연의 작품으로 기억하는데
히라이 켄의 오프닝 타이업이 굉장히 잘 어울리고 좋았던 작품이 있었네요. 노래 제목은 Kiss of life였나?
아직 히라이 켄이 스타급은 아니었을 때로 기억합니다.
24/07/19 14:31
수정 아이콘
러브 레볼루션 말씀이신 것 같네요
24/07/19 12:53
수정 아이콘
더불어 김재원, 김하늘 주연의 로망스를 재밌게 본 터라 모티브가 된 것으로 보이는 마녀의 조건도 봤는데 상당히 강한 내용이라 인상깊었네요.
타키자와 히데아키가 참 잘 생겼던 기억이...

글에 있는 작품 중 절반 정도 본 것 같은데 나머지도 한 번 보고 싶네요. 찾기 어렵겠지만...
24/07/19 14:51
수정 아이콘
최근 티빙에 들어가보니 생각보다 일본드라마가 많이 있더라구요. 개인적으로는 마츠시마 나나코가 나왔던 '야마토 나데시코'를 다시 보고 싶네요.
24/07/19 15:17
수정 아이콘
제가 아는 담배 가사 중에 가장 로맨틱한 곡입니다. 퍼스트 러브
24/07/19 15:50
수정 아이콘
명곡들이네요
쉐도우포스
24/07/19 20:28
수정 아이콘
롱베케이션은 주성치가 맛깔나게 살렸습니다.
쉐도우포스
24/07/19 20:31
수정 아이콘
희극지왕의 제가 제일 좋아하는 장면의 ost가 롱베케이션 리메이크에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28] jjohny=쿠마 25/03/16 16035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0932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5222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7934 4
104111 [일반] (스포일러 포함) 영화 <야당> - 빠르다... 진짜 빠르다!! [9] Anti-MAGE3017 25/04/23 3017 3
104110 [일반] 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1] meson1682 25/04/23 1682 6
104109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2)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1 [8] 계층방정3076 25/04/23 3076 8
104108 [일반] 트럼프 사실상 경제정책 항복? [86] DpnI12625 25/04/23 12625 6
104107 [일반] 무선 블루투스 송/수신기 사용기 [5] 스물다섯대째뺨4870 25/04/23 4870 3
104106 [일반] 제대로 하는 간짜장은 귀하다. [87] 인민 프로듀서9823 25/04/22 9823 24
104105 [일반] 오늘 갑상선암 진단을 받았습니다 [53] 승승장구8555 25/04/22 8555 38
104104 [일반] 오랜만에 자작곡 올립니다. [4] 포졸작곡가2203 25/04/22 2203 10
104102 [일반] 최근 1년동안 했던 게임들, 소소하게 평가를 해봅니다(2) [26] 공놀이가뭐라고6862 25/04/21 6862 6
104100 [일반]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72] 제논9880 25/04/21 9880 14
104099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8 [11] Poe4774 25/04/21 4774 28
104097 [일반] 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42] Kaestro10654 25/04/20 10654 7
104096 [일반] 아청법 관련) 슬슬 또 스텝을 밟기 시작하는 제도권 [52] 실제상황입니다15030 25/04/20 15030 13
104095 [일반] 이게 그거였구나 [6] 如是我聞6484 25/04/20 6484 22
104094 [일반] 저물가의 시대 이제는 끝인걸까? [20] 김홍기10170 25/04/19 10170 0
104093 [일반] 인터넷이 거대한 망무새가 되어간다 [83] 고무닦이12929 25/04/19 12929 46
104092 [일반] "문과 놈들이 해먹는 나라"…이국종 교수, 국방부에 사과 [199] Davi4ever12406 25/04/19 12406 7
104091 [일반] 콜드플레이 2일차 후기 [28] aDayInTheLife3556 25/04/19 3556 2
104090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1) - 한경제에서 용릉후 가문이 나오기까지 [7] 계층방정2364 25/04/19 2364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