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6/25 15:18:19
Name 번개맞은씨앗
Subject [일반] 문화와 경제의 동반론
문화와 경제의 동반론

일반론이다. 나는 이렇게 본다. 문화와 경제는 함께 가야 한다. 이미 문화는 풍부히 축적했다면, 경제력을 키우도록 애를 써야 한다. 이미 돈은 풍부히 축적했다면, 문화를 키우도록 애를 써야 한다. — 뉴욕은 금융과 무역으로 큰 돈을 벌었고, 그걸 다시 문화에 투자했다. — 그 문화의 힘으로 다시 경제력이 상승하고, 그 경제의 힘으로 다시 문화력이 상승한다.

경제력을 가진자와 문화력을 가진자가 융합하는 것도. 함께 가는 거라 할 수 있다. 한쪽은 경제력을, 다른 한쪽은 문화력을 가진 남녀가, 가정을 이루는 것도 융합이고 — 군사 민족인 로마가 정복을 통해 경제력을 키우고, 그리스 문화를 흡수하는 것도 융합이라 할 수 있으며 — 조선의 사례처럼 아버지가 경제력을 키우고, 아들이 문화력을 키우는 것도 융합이라 할 수 있다.

개인의 삶을 생각해보자. 하나의 인간을 놓고 볼 때에도 마찬가지다. 탄생에서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생각해보자. — 경제력의 발전과 문화력의 발전, 두 가지 흐름이 진행되는 거라 해석할 수 있다. — 어느 사람이 사법고시에 합격하기 위해 시험공부에 매진했다면, 그것은 경제력을 키우는 행위였다 할 수 있다. 고전을 읽고, 애인과 예술 전시회를 다닌다면, 그것은 문화력을 키우는 행위라 할 수 있다.

다시 개인의 삶을 생각해보자. 어떤 사람은 부모로부터 경제력을 물려받고, 어떤 사람은 부모로부터 문화력을 물려받는다. — 어떤 사람은 경제력과 문화력을 모두 물려받고, 어떤 사람은 어떤 것도 물려받지 못하며 — 어떤 사람은 빚을 물려받고, 어떤 사람은 병든 문화를 물려받고, 어떤 사람은 천박한 문화를 물려받는다.

개인은 어찌 살 것인가? — 인생의 길이란 어느 하나만이 답이라 할 수 없다. 그 유력한 답 중 하나는 극복의 역사를 쓰는 것이다. 열악한 조건이더라도, 경제력과 문화력을 향상시키고자 해야 한다. 두 가지 과제를 모두 갖고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 이미 하나를 갖고 있다면, 다른 하나에 주목해야 한다. 둘다 없다면, 그중에 먼저 키울 것을 주목해야 한다. 둘다 키우면 되는 것이지, 왜 하나에 주된 집중을 해야 하는가 하면 — 둘 중 하나는 키우기가 어려운, 환경과 조건에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혹은 장기적으로 볼 때, 어느 하나에 먼저 집중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축구선수를 보자. 기본기에 먼저 집중을 하고, 체력과 근력은 나중으로 하는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체력을 키우고 웨이트를 하는 것은 나중에라도 꽤 단시간에 가능하지만, 기본기는 어려서부터 집중해서 키워야 하고, 나중에는 키우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결국은 기본기와 체력 ・ 근력이 함께 해야 한다. 그래야 전성기에 이를 것이다. 그러나 그 전성기에 도달하기 위해 순서가 필요할 수 있다. — 기본기에 집중한다고, 체력과 근력을 전혀 안 키우는 건 아니다. 체력과 근력에 최적화를 안 하고, 기본기에 훈련을 최적화하는 것뿐이다. 경제력에 집중하면서도 기회가 되면 문화적으로 도움받는 것들을 흡수할 수 있다.

경제력과 문화력은 동반되어야 한다. 그것은 짧은 기간에 마치 자전거에서 왼쪽 오른쪽, 핸들을 교대로 조절하는 것처럼 그렇게 진동할 수도 있는 일이지만, 꽤 긴 기간 동안 하나에 집중해야 하는 것일 수도 있다.

경제력과 문화력이 동반되지 않는, 극단적인 경우를 생각해보자. 경제력은 없이 오직 문화력만 추구할 때, 생계가 문제된다. 문화에 있어서 많은 경우 물질의 도움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그림을 그리려면, 물감은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음악을 하려면, 악기는 있어야 한다. 문화는 무에서 유를 창조하기 곤란하고, 많은 유가 필요하며, 그중 일종은 재료나 도구가 되는 것들이고, 다른 일종은 영감을 주는 것들이다. — 그것들은 경제력이 있어야 되는 것일 수 있다.

이제 반대편 극단을 생각해보자. 문화력은 없이 오직 경제력만 추구할 때, 그는 타락한 삶을 살 가능성이 크다. — 그가 과연 자존감을 무엇으로 채울지 문제되고, 그는 결국 아무것도 없이 세상을 떠나야 한다. — 그의 곁은 돈만 바라는 사람들로 채워질 것이다. 그의 눈은 돈에 있어서 경쟁자들로 채워질 것이다. 자녀는 자신을 돈으로만 보고, 친구는 이용가치를 가늠하며 속으로 딴 생각을 품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죽어서는 돈을 갖고 가지 못한다. 죽어서 돈을 갖고 갈 가능성은 0%이고, 죽어서 정신을 갖고 갈 가능성은 0%가 아니다. 사후세계가 있다면, 그곳에서 그는 더이상 부자가 아님이 명백하다. — 다른 사람들은 문화력을 갖췄고, 그는 경제력도 문화력도 없이 사후세계를 살아야 한다. — 죽기 이전에도 그는 다른 부자들에게 인정받지 못할 것이다. 결국 오랜 부자들은 문화도 필요하다는 생각에 이에 투자해왔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저 졸부라고 생각하고, 겉으로는 웃을지라도 속으로는 멸시할 것이다. 그 멸시를 통해서 나는 졸부가 아니고 문화력을 갖췄다는, 분별에 의한 자부심을 느끼고 있을 것이다. — 다른 부자들이 인정을 해주지 않으면, 평범한 사람들이나 가난한 사람들은 인정해주는가 하면 — 전혀 그렇지 않을 것이다. — 인정이라 한다면, 나처럼 하면 너희들도 부자가 될 수 있다는 성공학 강의팔이나 유치찬란한 힙합감성같은, 그런 것에 의하는 것에 불과할 것이다. — 그것이 그의 정신승리를 도울 수는 있겠지만, 죽음이 가까워질수록 이는 공허하게 느껴질 것이다.

부유한 사람들도 평범한 사람들도 가난한 사람들도 인정해주지 않고, 가족마저도 인정해주지 않는다면, 스스로는 자신을 인정해줄 수 있는가가 문제되고 — 인정이 잘 되지 않으니, 외로움이 몰려올 것이다. 자기가 스스로를 인정하고 있다면, 외로움은 밀려오지 않는다. 설령 밀려와도 방파제가 있어, 자아의 침식을 막아줄 것이다.

결국 경제력과 문화력이 모두 필요하다. — 뭐 거창한 재산가가 아니더라도, 뭐 거창한 예술가가 아니더라도 — 개인은 자신의 경제력과 문화력을 가늠하고, 궁극적으로는 그 둘다 발전시키고자 해야 한다. — 상황인식과 목적의식을 갖고 있다면, 발전할 기회는 많을 것이다.

인생은 다양한 길이 가능하다. 오직 하나의 길만이 정답은 아니다. 그러나 모든 길이 평등한 건 아니다. 한편으로는 수평적 다양성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좋고 나쁨이 있다. 위에 이야기한 것은 그중 높은 길 하나를 이야기한 것이다. 이러한 길을 전제로 한다면, 워라밸은 다음과 같이 봐야 적절할 것이다.

working을 경제력으로 해석한다고 해보자. life는 문화력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문화력을 키우지 못한다면, 그건 라이프가 아니다. 경제력을 키우지 못한다면, 그건 워킹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다. — life는 문화력이 아니라, 휴식을 의미하는 거라 주장하는 수가 있다. 그러면 워라밸을 통째로 부정해야 한다. 라이프가 그저 휴식이라면 워라밸은 사실상 — 워워밸이다. 오늘의 워킹과 내일의 워킹을, 휴식을 통해 균형잡는 것일 뿐이다. — 라이프는 문화력을 뜻하는 것이다. 문화력을 뜻하는게 아니라면, 워라밸을 통째로 부정해야 한다. 그 대신 다음과 같은 것으로 대체해야 할 것이다.

Money-Culture Balance

다시 한 개인을 놓고, 경제력과 문화력을 다음과 같이 매칭할 수도 있다. 실력은 경제력을 가리킨다. 인격은 문화력을 가리킨다. 사회의 문화는 개인의 인격에 대응하는 것이고, 경제력에 있어 내적인 것은 개인의 실력에 있는 것이다.

경제와 문화는 함께 가야 한다.
실력과 인격은 동반되어야 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삼관
24/06/25 16:33
수정 아이콘
지금 한국사회의 혼란스러움이 성장통이면 좋겠네요 무너지지 말고
마침 저도 문화에 힘쓰는 중입니다 기타를 배우고 노래를 불러보고 일본어를 공부하고.. 인격은 아직 개차반이구요
번개맞은씨앗
24/06/26 03:08
수정 아이콘
사회신뢰도를 어떻게 높일 수 있을지가, 문화에 있어 관건이라 생각해요. 그것만 높일 수 있다면, 초저출산과 인구절벽에도 불구하고, 희망이 있다고 생각해요.
요키와 파피용
24/06/25 17:00
수정 아이콘
한국이 못 살떄는 우리음식을 못먹을 음식 취급하고 그나마 나은 사람은 인류학적 관점에서 접근을 했지요 그런데 이제는 맛 없어도 맛있게 먹고 있지요
좀 좋은 술이었던 마오타이가 명주로 올라가고 중국 현대 그림이 비싸게 거래되며 존중을 받는 것을 보면 경제력/국력이 문화로 투영이 되는것이 맞지 않을까요. 물론 경제력만 오르고 문화가 바쳐주지 못하는 경우가 있겠으나 예외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번개맞은씨앗
24/06/26 02:52
수정 아이콘
맞는 말씀이라 생각해요. 문화란게 외적 요소에 의해 이미지가 씌워져서, 관심 여부가 달라질 수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저는 이렇게도 생각해요. 한국과 일본의 공통적인 문화인데, 서양이 일본에만 관심이 쏠릴 때, 그것은 일본 문화로 인식되었을 거란 거죠. 보통 관심이 쏠리는 곳은, 국력이 더 강한 쪽이기 쉬울 테고요. 오늘날 K팝, K드라마의 인기란 것도 일부는, 한국의 경제적 성공 스토리에 그 원인이 있을 거라 생각해요. 빈국에서 선진국으로 단기간에 올라섰다는 그 역사란게, 제국주의 역사가 없는 선진국이란게, 가난한 나라에는 낭만이 될 수 있고, 관심의 이유가 될 수 있을 것 같거든요.
답이머얌
24/06/25 17:36
수정 아이콘
과거엔 문화력이 없거나 무관심한게 문제였죠. 다들 먹고 살기 힘들어서 경제력에만 몰빵하던 세대니까요. 이 분들이 늙어서 할수 있는 거라곤 음주와 장기 밖에 없죠.
그럼 지금은?
소비를 문화력과 착각하는게 문제가 되었죠. 대표적으로 여행. 여행으로 뭘 얻는지 개인적인 체험이 주가되어야겠지만 천편일률적으로 인스타 사진용 체험(장사꾼이 제일 좋아하죠.)만이 가득하죠. 예를 들댜보니 여행을 예를 들었는데, 뭔가 남들의 블로그나 유튜브를 보다보면 소비를 통해 나를 표현하는게 문화력으로 표현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문화라는게 수치화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개개인마다 취향에 따라 다양하다보니 그리고 물질적 기반이 소비라는 행위를 통해 구현되는 경우가 많다보니, 쉽게 알수 있는 경제력과 비교가 되네요.
24/06/25 22:05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최근에 흥미로운 포스트를 읽었는데, 현대의 힙스터는 소비를 통해서만 자기표현이 가능해졌다고 합니다. , 남들과 다른 자신을 표현해야하는데 그런것들은 대게 비싼물건이 되었다 하더군요. 과거의 힙스터가 저항정신의 아이콘이었다면 오늘날의 힙스터는 그저 수많은 대안문화의 하나로 자리잡았다는 글이었습니다.
번개맞은씨앗
24/06/26 02:42
수정 아이콘
시장 바깥에서 일어나던 많은 일들이, 자본이 그 틈새를 다 파고들어서 시장을 거치게 만들어진 점이, 소비와 문화력이 강한 밀착력을 갖게 된 이유가 아닐까 싶네요. 그리고 구세대의 경우, 도시화와 핵가족화로 인해 파괴된 문화들이 있다고 생각해요.
24/06/25 21:45
수정 아이콘
너무 옛날 논술 지문에 나왔던 소프트 파워와 하드 파워 같은 개념으로 전개하신 것 같은데요. 옛날에는 문화와 정치와 경제가 일체화되어 있었습니다. 어쩌면 지금도 그건 마찬가지입니다. 경제란 생산과 소비이고 그게 문화니까요. 중략하고 길고 길게 나가면 헤겔이 말한 민족 정신의 문제 아니겠습니까.
번개맞은씨앗
24/06/26 02:09
수정 아이콘
자급자족도 문화라 생각해요. 상거래없이, 이웃끼리 돕는 것도요. 그리고 언어에도 문화가 묻어있다고 생각해요. 그런 예시들은 생산과 소비의 영역은 아니라 할 수 있겠지요.
안군시대
24/06/25 22:08
수정 아이콘
역사적으로 봐도 경제적으로 융성하던 시기가 문화도 폭발적으로 발전하던 시기죠. 둘은 그냥 같이 가는거라고 생각해요.
고대 그리스/로마시대, 르네상스 시대의 베네치아, 벨에포크 시대의 프랑스, 중국의 당/송 시대 등등..
사람이란 게 먹고살기 힘들면 문화를 생각하기 힘들고, 등따숩고 배부르면 남들에게 인정받거나, 자아실현을 하거나 하는 욕구가 생기는 법이라 봅니다.
번개맞은씨앗
24/06/26 02:06
수정 아이콘
저는 좀 다르게 생각해요. 경제와 문화가 꼭 같이 가지만은 않고, 딜레이가 생길 수 있다고 봐요. 예를 들어서 6.25전쟁 이후 한국은 경제적으로 최저로 내려간 거라 할 수 있을 거예요. 그런데 문화도 최저로 내려갔는가 하면, 그게 아니라고 보거든요. 문화적 역량이 이미 있는 상태에서, 그 힘을 받아서 경제성장한 거라 보는 거죠. 폭탄이 경제는 파괴했을지라도, 문화는 전해져온 거란 거죠.
프뤼륑뤼륑
24/06/26 09:20
수정 아이콘
전반적인 논조에 대해 공감하여 추천박았습니다.
24/06/26 16:09
수정 아이콘
요새 소위 “k-“열풍이 많은데 이게 진정한 우리의 문화력인지 의구심이 많이 듭니다. 결국 화려하게 눈에 보이는것보다는 국민수준이 문화력이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790 [정치] MBC를 과연 지킬 수 있을까요? [50] 홍철12152 24/06/29 12152 0
101789 [일반] 한 달 전 글 A/S. 중국에서 입국 후 신분을 세탁한게 확인된 앨리스 궈 필리핀 시장 [11] 매번같은10132 24/06/29 10132 6
101788 [일반] 삼국지 장각 시점에서 본 황건적의 난 [1] 식별7450 24/06/28 7450 11
101787 [일반] 하락세가 멈추지 않는 엔화 [66] 及時雨13587 24/06/28 13587 0
101786 [일반] 행복하게 잘 살고 있다는 주식 사기범 이희진 근황 [58] GOAT13276 24/06/28 13276 6
101785 [일반] 已(이미 이)에서 파생된 한자들 - 써 이, 별 태/나 이 등 [8] 계층방정5996 24/06/28 5996 5
101784 [정치] 김진표 전 국회의장 "尹, '이태원참사 조작가능성' 언급" [107] 빼사스18813 24/06/27 18813 0
101783 [일반] <핸섬가이즈> - 오묘하고 맛깔나는 (호불호는 갈릴) B급의 맛.(노스포) [24] aDayInTheLife7800 24/06/27 7800 4
101782 [일반] 물고기 입속에서 발견된 쥐며느리? [19] 식별11791 24/06/27 11791 11
101781 [정치] 美 6개 경합주 유권자 "민주주의 위협 대처, 트럼프 > 바이든" [29] 베라히10036 24/06/27 10036 0
101780 [정치] 최근 핫한 동탄경찰서의 유죄추정 수사 [437] wonang20729 24/06/26 20729 0
101779 [일반] 육아 1년, 힘든 점과 좋은 점 [59] 소이밀크러버8260 24/06/27 8260 38
101778 [일반] 콰이어트 플레이스: 첫째날 (스포유, 전편 보신분은 스포무) [9] 헝그르르7145 24/06/27 7145 0
101777 [정치] [서평]《대통령과 한미동맹》 - 자율성은 동맹과 상충하지 않는다 [21] 계층방정6850 24/06/27 6850 0
101776 [일반] [추천사] 핸섬가이즈, 썩시딩 유 '시실리2km' [37] v.Serum8459 24/06/27 8459 7
101774 [정치] 저한테 미친여자라 그랬죠? [51] 어강됴리14975 24/06/26 14975 0
101773 [일반] 인터넷 가입 피싱 사기 전화 이야기 [24] 류지나7952 24/06/26 7952 1
101771 [일반] 병원 에피소드(전혀 무겁지 않습니다) [16] 두부두부8865 24/06/26 8865 19
101770 [일반] 우리는 왜 '오너'의 경영권을 당연하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100] 사람되고싶다13047 24/06/26 13047 50
101769 [일반] 삼국지 장각은 거대한 음모의 희생자였을까? [4] 식별6949 24/06/26 6949 10
101768 [일반] <테이크 쉘터> - 증폭하다 끝끝내 삼켜버릴 불안.(스포) [4] aDayInTheLife6435 24/06/25 6435 1
101767 [일반] 문화와 경제의 동반론 [13] 번개맞은씨앗8306 24/06/25 8306 2
101766 [일반] 턱 이에서 파생된 한자들 - 턱? 빗? 유방? [10] 계층방정7316 24/06/25 7316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