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1/13 16:40:35
Name 물의 정령 운디
Subject 스타크래프트2가 나온다면 한번 만들어보고 싶은 유닛이 있으신가요?
이런 생각을 해보신 분들이 pgr에 얼마나 많이 있으실지는 잘 모르겠지만 스타크래프트2에서 제가 등장시키고 싶은 유닛들이 있어서 한번 올려 봤습니다.

테란 유닛

RPG Launcher

Mineral : 75
Gas : 25
무기 : RPG 로켓.
공격 타입 : 지대지, 지대공, 범위 한칸(SCM Draft 기준)의 스플래쉬 데미지.
H.P : 75
Damage : 25(+10)
Armor : 0(+1x3)
Range(사정거리) : 7
업그레이드 : 데미지 +10 RPG 로켓. (엔베에서 가능)
                   +1x3 아머 업그레이드

톱날 차량

Mineral : 100
Gas : 50
무기 : 톱날
공격 타입 : 지대지, 근접 공격. 자신에게 달라붙는 근접 유닛에게 초당 30의 톱날 데미지를 입힌다.
H.P : 120
Damage : 30(+2X3)
Armor : 1(+3)
업그레이드 : 데미지 + 2x3 톱날 데미지(아머리에서 가능)
                   +1x3 장갑 업그레이드
특수 기능 : 최대 8명의 인원을 태울 수 있다.

저그 유닛

스콜피온

Mineral : 100
Gas : 100
무기 : 산성액, 독침.
공격 타입, 지대지, 지대공 범위 한칸(SCM Draft 기준) 스플래쉬 데미지, 근접 공격(단일 공격)
H.P : 120
Damage(원거리) : 20(+6)
            (근접) : 20(+6)
Range(사정거리) : 6
Armor : 1(+3)
업그레이드 : 데미지 + 2x3 업그레이드
                  
프로토스 유닛

트왈라잇 다크 아콘

HP : 50
Shield : 200
Skill : 범위 1.5칸(SCM Draft 기준)의 마인드 컨트롤, 상대방 마법 유닛의 마나를 빼앗아 자신의 마나로 흡수.
Armor : 1

어떤 유닛들이 가장 마음에 드시는지요? 특히 톱날 차량은 스타크래프트2에서 테란의 근접 공격 유닛이 하나도 없다는 점을 착안해서 생각해본 유닛입니다. 혹시 이것 말고도 여러분들이 구상해본 유닛들로는 뭐가 있나요? 이에 대해서 마음껏 얘기를 나눴으면 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1/13 16:50
수정 아이콘
톱날 차량은 옛날 다크 레인의 슈레더 같은 느낌이네요~ 인팬트리 킬러.
거북거북
10/01/13 16:58
수정 아이콘
모던을 계속 하다보니 이젠 RPG만 보면 R~P~G~ 라는 그 특유의 억양이 머리 속에서 맴돕니다 ;;;
10/01/13 17:27
수정 아이콘
리듬 파워 근성!!
10/01/13 17:30
수정 아이콘
다 필요없고, 테라트론이요.. 흐흐...
달마.com
10/01/13 18:12
수정 아이콘
저도 테라트론이요~ *.*
SCVgoodtogosir
10/01/13 18:27
수정 아이콘
Motar(박격포)
Mineral : 150
Gas : 50
인구수 : 4
무기 : 60mm 박격포
공격 타입 : 지대지, 범위 다섯칸(SCM Draft 기준)의 스플래쉬 데미지.
H.P : 250
Damage : 100(+5 / 10 / 15) (단, 스플래쉬 데미지는 그라디에이션으로, 한칸당 10%씩 감소)
Armor : 0(+1x3)
Range(사정거리) : 15
업그레이드 : 조명탄 (아카데미에서 업그레이드 / 일정 범위의 시야를 밝힌다. 디텍팅 기능은 없음)
긴급방열 (아카데미에서 업그레이드 / 차려포 시간을 50% 감소)
+1x3 아머 업그레이드
특이사항 : 마린 셋으로 구성. 사용시 시즈탱크의 시즈모드처럼 차려포모드에서 겨냥대를 박아야 명중률 100%의 공격 가능
언덕효과 영향 받지 않음 (언덕 위에 있어도 데미지 들어감)
적 유닛 근접시 두명의 마린은 소총으로 근접 공격 가능
조명탄 업그레이드 하면 쿨타임을 갖는 조명탄 발사 가능 - 스캔이나 다른 시야 밝히는 효과 없이도 자체적으로 해결
긴급방열 업그레이드시 차려포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
건물에는 데미지 두배.


육공트럭
Mineral : 200
Gas : 100
인구수 : 2
무기 : 없음
공격 타입 : 탑승한 공격유닛에 영향. 시즈탱크 1기, 박격포 1문, 바이오닉 유닛 8기, 골리앗 2기 수납 가능.
H.P : 600
Damage : x
Armor : 1(+2x3)
Range(사정거리) : x
업그레이드 : 행보관 (업그레이드시 배럭에서 행보관 유닛 생산 가능 / 육공에 탑승시 선탑자리에 탑승(수송 가능 유닛 수에 영향 미치지 않음) / 이속 20% 증가 / 서플라이 +2)
베테랑 운전병 (업그레이드시 언덕길 및 눈길 타일에서 컨트롤 미스 75% 감소 / 이속 10% 추가 증가)
+2x3 아머 업그레이드
특이사항 : 공격유닛을 태워서 무빙샷 할 수 있음. 시즈탱크 태우면 시즈탱크로 무빙샷. Motar 태우면 박격포 무빙샷 -_-
SCV 탑승시키면 육공에 탄채로 타 유닛 수리 가능. 메딕도 마찬가지.
행보관 유닛 업그레이드시 서플라이 증가 효과
언덕 올라갈 때 / Snow 타일에서 일정 확률로 컨트롤미스 발생
저글링을 밟고 지나갈 경우 25% 확률로 즉사시킴
이동속도 풀업시 속업벌쳐와 자웅을 겨룰 수 있음
끝없는사랑
10/01/13 19:21
수정 아이콘
스톰 파워업 된 하템..

그 외엔 토쓰에 불만도 불안도 불평도 없겠습니다...
sun-horus
10/01/13 19:23
수정 아이콘
토스에게 탱크를 능가하는 사정거리를 가진 유닛을 주세요...
권보아
10/01/13 20:58
수정 아이콘
리듬 파워 집중력..
어진나라
10/01/13 21:49
수정 아이콘
저는 아이온 캐논 한번 만들어보고 싶습니다. 레이너가 멩스크 세력을 떠날때, 그걸 굳이 부수고 가야 했는지 궁금했거든요.
PSI 디스럽터도 한번 만들어보고 싶긴 합니다. 젤 나가의 마지막 피조물이 겨우 테란따위(?)가 만든 장치에 명령신호가 교란되는 안습한 상황을 직접 연출해보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간트리쏘에 행성분열기 달고 싶네요.

이 생각엔 문제가 있는데, 이미 스타2에 구현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죠. (저는 편해서 좋긴 합니다만...)

SCVgoodtogosir님 // 크크크..... 그러고보니 해병에게 '호파기' 기술 넣어보는 것도 재미있겠네요.
전상돈
10/01/14 01:00
수정 아이콘
SCVgoodtogosir님// 캬~육공트럭 크크 멋진발상이십니다!!
JeffBeck
10/01/14 12:12
수정 아이콘
토스...딴거 다 필요없고 두뇌탑재 드라군..
10/01/14 15:26
수정 아이콘
톱날차량 스펙에 비해 가격이 꽤 싼듯..;
톱날차량 + RPG 조합이면 가까이 붙어도 문제 떨어져도 문제군요..덜덜덜
근데 저 트윌라잇 다크아콘이 더 사기군요.. 상대방 종족은 무조건 마법유닛은 꿈도 못꾸게 만들 스킬조합..

토스는 어차피 드라군은 없어졌으니.. 유닛보다는 건물 건설 속도랑 자원을 수월하게 해줘야 합니다..[퍽]
특히 캐논 워프시간이 빨라졌으면..[먼산]
세츠나
10/01/14 17:37
수정 아이콘
RPG는 리듬 파워 집중력입니다.

이 모든 것을 좌우하는 것이 제 4의 근본 요소 근성이죠.
장군보살
10/01/15 07:22
수정 아이콘
어진나라님 말씀대로 이온 캐논이 다시 스타 2에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스타 1을 하면서 가장 아쉬웠던것이었지요. 스타1에서는 그냥 아무 쓸모없는 덩치만 큰 건물이었지만.. 원래는 엄청나게 가공할만한 파괴력을 가진 포라고 하지요. 보통 건담 만화에서도 그런 무기 자주등장하는데..한번 발사하면 행성도 거의 초토화시킬정도.. 실제로 스타2에 미션맵에서라도 나와서 쏘는게 가능해졌으면 좋겠습니다. 아마 대기시간과 딜레이가 엄청길거같은데..한번 쓰고나면 몇분동안 충전해야 사용가능 식으로.

그리고 또 하나 기대되는건 테라트론요. 진짜 합체가 가능하려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9992 M게임의 3가지 잘못. [5] zenith4228 10/01/23 4228 0
39991 우세승만큼이나 말이안돼는 재경기판정 [38] 소문의벽4560 10/01/23 4560 2
39989 99% 부족한 아쉬운 대회... [16] 견우야4192 10/01/23 4192 0
39988 이제동 선수의 우승을 축하드립니다(+ 관람평) [9] 불어라봄바람4661 10/01/23 4661 0
39987 우세승, 누가 유리하고 불리하고를 따지는게 중요한게 아닙니다 [32] 삭제됨4375 10/01/23 4375 3
39986 저질 진행, 저질 대처 [47] Infinity5008 10/01/23 5008 0
39985 [나름 리뷰] 정전만 아니였어도 최고의 명경기가 되었을 리쌍록 [8] Windymilly4729 10/01/23 4729 0
39984 이제동선수 우승 축하드립니다 [23] 삭제됨4433 10/01/23 4433 0
39983 방송경기에서 우세승 나온건 이번이 두번째네요 [7] xcessss4449 10/01/23 4449 0
39982 MSL 권위 상실인데요 ,, 3경기도 너무 아쉽네요 [21] 서현우4181 10/01/23 4181 0
39981 해설진들은 까지 맙시다.. [33] 핸드레이크5385 10/01/23 5385 1
39979 엠겜은 해명하라 [16] 루이스 엔리케4334 10/01/23 4334 0
39978 진정 다음 MSL은 열릴 수 있을까? [43] 난나야5984 10/01/23 5984 0
39976 이제동 선수 우승 축하드립니다. 그리고 잘싸워준 이영호 선수에게 정말 고맙습니다. [40] Ascaron5220 10/01/23 5220 4
39975 MBC게임 중계진도 조금 어이가 없네요... [78] 햇살같은미소7756 10/01/23 7756 0
39972 지금도 계속 응원하고 있으니까. 힘내라 이영호! [15] 청보랏빛 영혼4595 10/01/23 4595 0
39970 글하나 남겨봅니다. [11] Tratoss4516 10/01/23 4516 0
39969 논쟁을 막기위해서 이제동선수팬분들에게 당부. [24] 뉴[SuhmT]5663 10/01/23 5663 1
39968 팬들을 위한 결승전에서 벌어진 일들에 대한 소소한 고찰 [12] 롯데09우승4237 10/01/23 4237 1
39967 중요한 것은 판정이 아닙니다 [10] 캐쥬얼가이4540 10/01/23 4540 0
39962 esports에서 역전승은 없다. [7] Fedor4104 10/01/23 4104 0
39961 100123 NATE MSL The FINAL : 이제동 VS 이영호 (8) [296] 별비9370 10/01/23 9370 1
39960 사과 한번 하기 그렇게 어려우셨습니까? [13] 인필드4783 10/01/23 478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