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6/21 16:39:18
Name 彌親男
Subject [누구나 다 아는 스타이야기] - 각 팀별 메이저리그 우승자 현황
Opening event) 현재 각 팀별 우승자 보유 현황(현재 보유 현황이기 때문에 기준은 지난 글과 동일합니다.)

공동 8위 => 이스트로, 삼성 칸, MBC게임 히어로, 온게임넷 스파키즈, 한빛 스타즈(없음)

공동 6위 => STX Soul(박성준), 공군 ACE(임요환) (1명)

공동 4위 => SK텔레콤 (박태민, 김택용), 르까프 OZ (오영종, 이제동) (2명)

공동 2위 => CJ 엔투스 (서지훈, 마재윤, 김준영) 위메이드 FOX (이윤열, 한동욱, 박성균) (3명)

1위 => KTF 매직엔스 (강민, 박정석, 이영호, 변길섭) (4명)

일단 지난 글에서 SK텔레콤과 함께 공동1위를 차지했던 온게임넷 스파키즈 출신 우승자가 없다는 것이 놀랍네요. 참고로 공동 8위 5

개 팀 중 MBC게임, 온게임넷, 한빛은 모두 우승자가 있었으나 전부 이적 or 은퇴했습니다. SK텔레콤과 CJ엔투스도 비슷한 상황이구

요.

Main Event) 우승 당시 우승자의 소속팀별 통계

기준) 팀이라는 개념을 가진 우승자가 본격적으로 우승을 차지한 2001 한빛 소프트 스타리그 우승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양대 방송사

메이저리그에 대해서 따집니다. 당시 우승자기 때문에 은퇴자 모두 포함합니다.

Exception) IS!!!!!

IS같은 경우는 지금같은 경우에는 팀 경계가 굉장히 모호한 팀입니다. 당시에야 임요환, 홍진호, 이윤열, 김현진 선수등 쟁쟁한 선수들

이 다 모여있었지만 지금은 각각 흩어져서 임요환 선수는 케이텍으로, 홍진호, 이윤열 선수는 KTF로, 김현진 성학승 선수등은 케이텍

으로 갔기 때문에 굉장히 팀의 정체성이 모호합니다. 고민고민끝에 뺄까... 하다가 그러기에는 너무나 포함 안되는 경우가 많아서 다음

과 같이 합니다.

1) 임요환 - SKT T1 (3회)

2) 이윤열 - 위메이드 FOX (2회)

입니다. 이윤열 선수 같은 경우는 제가 2002년 당시에 스타를 소홀히 봐서 그런데 팀 소속이 애매하네요. 베스킨라빈스배 KPGA 4차

투어 우승부터 KTF 소속이었던걸로 알고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 정확히 알고 계신 분들은 리플로 달아주세요.

SK텔레콤 - 임요환(3), 최연성(5), 박용욱(1)

KTF 매직엔스 - 이윤열(2), 조용호(1), 이영호(1)

CJ엔투스 - 서지훈(1), 마재윤(4), 박태민(1), 강민(2)

위메이드 FOX - 이윤열(4), 박성균(1)

온게임넷 스파키즈 - 한동욱(1)

MBC게임 히어로 - 박성준(2), 김택용(2)

이스트로 - 없음

르까프 OZ - 오영종(1), 이제동(2)

한빛스타즈 - 김동수(1), 변길섭(1), 박정석(1), 김준영(1)

공군 ACE - 없음

STX Soul - 없음

삼성전자 칸 - 없음



명수 순위

공동 1위 : 한빛스타즈, CJ엔투스(4명)

3위 : SK텔레콤 T1(3명), KTF 매직엔스(3명)

공동5위 : 르까프OZ, MBC게임 히어로, 위메이드 FOX(2명)

8위 : 온게임넷 스파키즈(1명)

공동 9위 : 공군 ACE, 삼성전자 칸, STX Soul, 이스트로(없음)



횟수 순위

1위 : SK텔레콤 T1(9회)

2위 : CJ 엔투스(8회)

3위 : 위메이드 FOX(5회)

공동 4위 : MBC게임 히어로, 한빛스타즈, KTF 매직엔스,(4회)

7위 :  르까프 OZ(3회)

8위 : 온게임넷 스파키즈(1회)

공동 9위 : 공군 ACE, 삼성전자 칸, STX Soul, 이스트로(0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6/21 17:01
수정 아이콘
아.. 홍진호... ㅠ
정테란
08/06/21 17:02
수정 아이콘
맨위에 순위 좀 이상하네요. 변길섭 코치가 우승자로 들어간다면 박용욱 최연성 코치도 들어가야죠.
彌親男
08/06/21 17:08
수정 아이콘
정테란님// 지난번 글 내용에 나와있습니다. 변길섭 선수는 '플레잉 코치'입니다. 현역선수를 겸하는 코치이죠. 반면 최연성 코치와 박용욱 코치, 이운재 코치등은 그냥 코치입니다. 단순히 코치일만 합니다.(이 기준은 프로리그 6월 로스터 기준입니다.)

똑같은 말을 두번쓰게 됐네요.. ㅠㅠ
08/06/21 17:09
수정 아이콘
완벽한 데이터라면 게임리포트로 옮겨갈지도 모른다고 생각되는 1인..
물론 밑에 있는 글도 말이지요..(출전현황..)
彌親男
08/06/21 17:13
수정 아이콘
피스님// 저는 스타이야기에 초점을 맞추어서 여기가 맞다고 생각했었는데, 듣고 보니 그렇네요.

어차피 데이터가 위주가 되는 글은 이 글 정도가 마지막 일것 같습니다.
플러스
08/06/21 17:23
수정 아이콘
삼성칸이 현재 및 우승당시 우승자보유가 모두 0이군요... 좀 의외네요
The xian
08/06/21 18:09
수정 아이콘
중간 부분 KTF 우승자에 이윤열, 조용호 선수는 있는데 이영호 선수가 빠졌습니다.
택용스칸
08/06/21 18:48
수정 아이콘
칸도 정말 아쉬운 팀이네요. 토스만 만나지 않으면 우승후보 이성은. 허영무. 송병구 선수등은 정말 아쉽네요.
이성은 선수는 한동욱 선수처럼의 운빨이 필요한 걸까요..
라이디스
08/06/21 19:17
수정 아이콘
송병구 선수는 메이져에서 TPZ에 골고루 졌군요..;;;
08/06/21 21:07
수정 아이콘
라이디스님//그뿐만 아니라 3:0 3:1 3:2로 모두 져봤죠
헤어지지 말자!
08/06/21 23:36
수정 아이콘
전 김동수선수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2번 우승하지 않았나요? 왜 (1) 이지..
강도경 플레잉 코치도 지금은 없어졌지만 게임tv스타리그 2차에서 같은팀 박경락 선수를 이기고 우승했습니다.
그당시 1차는 한웅렬선수,2차는 강도경선수,3차는 이윤열선수
彌親男
08/06/22 17:32
수정 아이콘
The xian님// 헐 수정했습니다.
彌親男
08/06/23 10:57
수정 아이콘
헤어지지 말자!님// 그건 압니다. 하지만, 겜TV는 양대 메이저가 아니죠...

김동수 선수가 프리챌배 스타리그 우승당시에는 한빛스타즈 창단 전이라서 한빛스타즈 소속이 아닙니다. 그런 식으로 따지면 이스트로도 0이 아니겠죠. 당시 기욤선수가 이지호 감독과 함께 있을때였으니까 하나로통신배의 기욤우승이 이스트로에 들어가야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035 나에게 행복을 주었던 그들.. 그리고.. [6] 구름지수~4775 08/06/27 4775 2
35034 블리자드 월드 와이드 인비테이셔널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3부문 공식 대진표입니다.(수정) [18] 신예ⓣerran5767 08/06/27 5767 0
35033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 . 그리고 마재윤...? [4] 혀니7155 08/06/27 7155 1
35032 마재윤의 2군 강등을 보며.. [19] skzl7850 08/06/27 7850 20
35031 NGL, WC3L, 그리고 프로리그... [9] 프렐루드5302 08/06/27 5302 0
35030 매서운 눈빛을 가진 두남자 [2] Infinity4666 08/06/27 4666 0
35029 살아 있으라, 누구든 살아 있으라. [11] 몽땅패하는랜5223 08/06/26 5223 1
35028 [MSL 관전평] 여러모로 멍석을 깔아둔 디펜딩 챔피언 이제동. [10] Akira6983 08/06/26 6983 1
35027 테저전 트렌드와 저그가 지향해야할 길을 보여준 다전(아레나 MSL 8강 이제동-진영수) [19] 휀 라디엔트8065 08/06/26 8065 4
35026 어쩌면 부질없을거같은 마약, 희망 고문 [17] ToGI6045 08/06/26 6045 0
35025 박성준 선수는 운이 없네요. [28] 유남썡?8471 08/06/26 8471 0
35024 이제동 선수 너무 값진 승리 축하드립니다 [36] [LAL]Kaidou14126070 08/06/26 6070 1
35023 msl 8강 진영수 vs 이제동! [308] SKY926359 08/06/26 6359 0
35022 장문의 독백성 및 저징징성 글: '맵'과 '저그'의 관계 [78] wkdsog_kr6717 08/06/26 6717 3
35020 조커 김구현 [11] 피스5592 08/06/26 5592 0
35019 김구현 선수의 스카우트를 보면서 [23] 법관/기사단/칼8320 08/06/26 8320 0
35018 마재윤 선수의 2군 강등. [55] 피부암통키11618 08/06/25 11618 0
35017 역사는 반복될것인가? 아니면....... [12] SKY925255 08/06/25 5255 1
35016 WWI 2008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3 대진표가 공개되었습니다^^ (대진표 수정 참고요^^) [18] 잘가라장동건6657 08/06/25 6657 0
35015 6/24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SKT T1 VS 삼성 Khan [90] SKY927114 08/06/24 7114 1
35014 6/24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르까프 OZ VS STX Soul [90] SKY925212 08/06/24 5212 0
35013 이지호 전 감독님의 승진(!)은 축복받아야 한다. [14] 피크로스8716 08/06/24 8716 0
35012 블리자드 월드와이드인비테이셔널 초청자가 공개되다? [20] 신예ⓣerran6347 08/06/24 634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