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1/16 12:18:56
Name 김광훈
File #1 MSL진출전대진표.jpg (0 Byte), Download : 56
Subject 오늘은 서바이버리그, MSL 진출전이 있는 날입니다.


1. 변형태 VS 박용욱
1) 블리츠
2) 롱기누스
3) 신 백두대간


2. 이병민 VS 원종서
1) 롱기누스
2) 신 백두대간
3) 아카디아 II


3. 서지훈 VS 김민구
1) 신 백두대간
2) 아카디아 II
3) 블리츠


일단 첫 경기부터 얘기하자면 박용욱 선수는 이 경기에서 지면 정말 힘들어집니다.

와일드 카드전이 있지만 엄청나게 어려운 관문이기 때문에 변형태 선수를 이겨야겠죠.

박용욱 선수는 무엇보다도 이 경기를 위해 온게임넷 듀얼 예선을 포기했죠.

그게 자의든 타의든 간에 이 MSL 결정전을 위해 예선을 포기했다는 점은

이 MSL 진출전이 박용욱 선수에겐 전부라는 점입니다. 변형태 선수야 듀얼이 있죠.

그러므로 박용욱 선수는 이 경기에서 지면 끝이라는 생각으로 경기에 임할듯 하네요.

그리고 이병민과 원종서 선수의 대결. 요즘 테테전 연패에 연패를 거듭하는 이병민 선수.

이거마저 지면 적지않은 비난들이 사방에서 쏟아질거 같습니다. 진짜......

마지막으로 김민구 선수와 서지훈 선수의 대결. 두 선수 모두 이 MSL 진출전이

전부입니다. 같은 팀인거 다 집어치우고 둘다 사활을 걸고 경기에 임할것입니다.

와일드 카드전이 있으니 같은편을 잡아도 죄책감은 덜할 수 있습니다. 미안한 생각없이

진검 승부를 할듯 하네요. 특히 서지훈 선수는 CJ와 계약하고 2억 연봉을 받고 있죠.

연봉값을 못한다는 말을 듣는 서지훈 선수인데, 이를 악 물고 경기에 임할거 같습니다.

다만 서지훈 선수의 MSL 진출이 약간 어려워 보이는 점은 롱기누스가 없다는점.

테란이 저그에게 많이 유리한 맵인 롱기누스가 없는데도 서지훈 선수가 실력을

보여줄지, 아니면 김민구 선수에게 발목을 잡힐지 미지수입니다.

어쨌든 져도 와일드 카드전은 있습니다. 그러나 통과할 확률은 엄청나게 낮죠.

와카전 방식은 케스파 랭킹이 가장 높은 조용호가 시드를 받은 상황에서

벌어지는 8강 단판 토너먼트입니다. 그야말로 살얼음판을 걷는 경기가 되겠죠.

여기서 1위를 하고 김세현 선수와 붙어도 김세현 선수와 벌이는 3판 2선승제 경기를

2연속으로 이겨야 하죠. 김세현 선수에게 엄청 유리하도록 설정되어있습니다.

오늘 벌어지는 서바이버 리그 MSL진출전...... 와일드 카드전이 어려운걸 감안해보면

꼭 이번에 이겨야합니다. 누가 이길진 몰라도 험난한 여정이 될듯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1/16 12:24
수정 아이콘
퍼펙트 테란 살아나야 하는데... ...
Mr. A-Jo
06/11/16 12:30
수정 아이콘
13일전까지만 해도 박용욱선수을 응원했는데...
이젠 지든 이기든 뭐...
이유있음
06/11/16 12:32
수정 아이콘
그럼 윤열선수도 아직 희망이 있는겁니까??
김광훈
06/11/16 12:32
수정 아이콘
와일드 카드전 때문에 이윤열 선수에게도 아직 희망은 있습니다. 미세하지만 말이죠.
06/11/16 12:36
수정 아이콘
와일드 카드전을 다 뚫고 올라가면 김세현 선수를 2번 이겨야 비로소 MSL에 진출합니다.
Min_KG21
06/11/16 12:37
수정 아이콘
하지만 3전 2선승 2번이라는거...-_-;;;
06/11/16 12:38
수정 아이콘
서지훈, 김민구 두 선수 모두 예선에서 탈락하는 바람에 저기압일텐데...
이기는 선수는 분위기가 바뀌는 계기가 되겠지만(어쩃든 하나는 본선 진출이니까요)
지는 선수는 상당히 침체될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같은 CJ팀인데 안좋네요. 박대만 vs 윤용태전과 마찬가지로 보는 입장에서는 너무 가슴아픕니다.
글루미선데이
06/11/16 12:59
수정 아이콘
에결연패등 모든 부진 이번 예선으로 날려버렸으면..
박용욱 선수 심기일전하고 주장다운 면모 이제는 보여줘야죠~
06/11/16 13:05
수정 아이콘
음.. OOO, OOO,OOO 화이팅~!! 이렇게 쓰고 싶은데...
어제 응원한 선수들이 거의 전부 떨어져버려서...
오늘은 결과 나올때까지 참겠습니다...;;;;
타인의하늘
06/11/16 13:38
수정 아이콘
변형태, 원종서, 서지훈선수 화이팅~
민구선수..미안합니다;;
HypnotiX
06/11/16 14:32
수정 아이콘
박용욱,원종서,서지훈 화이팅!!!!!
MistyDay
06/11/16 15:26
수정 아이콘
변형태선수 MSL갑시다-
서지훈선수 김민구선수는 어느쪽이 와카전을 치르든 둘다 올라왔으면하네요 ㅠㅠ
영웅의물량
06/11/16 16:07
수정 아이콘
김세현 선수는 왜 저런 방식으로 하는거죠?
서바이버 방식을 잘 모르겠습니다-_-;
06/11/16 16:31
수정 아이콘
임요환선수가 훈련병이므로 서바이버리그에 참가를 못해서 그 대체선수를 뽑는 과정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363 [연애상담] 이별 후 재결합 성공사례 듣고 싶습니다 - 감사합니다 [38] 락앤롤10538 06/11/22 10538 0
27361 homy님의 개인리그 개선안을 읽고... [4] LSW4149 06/11/22 4149 0
27360 차기시즌 시드권자 소개(後) - 신한 3rd 스타리그 [11] KuTaR조군4582 06/11/22 4582 0
27359 가장 복잡한 프로리그 시나리오(8개팀 5승 5패) [14] 아유4249 06/11/22 4249 0
27358 스스로에게 가장 어려운 선택을 한 T1 선수들에게 [25] 거짓말4616 06/11/22 4616 0
27357 이야기의 제왕 스티븐 킹. [14] Sly4352 06/11/22 4352 0
27354 [잡담]음악인 이승환에 관해서(2) [20] 북극곰4893 06/11/22 4893 0
27353 PGR 설문조사에대한 프로리그 결과 분석.. [175] loadingangels4857 06/11/22 4857 0
27352 자....... 이제 내일 모레 벌어지는 서바이버 2R E조 결승전! [15] SKY924767 06/11/21 4767 0
27350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서른여덟번째 이야기> [22] 창이♡4107 06/11/21 4107 0
27349 무비스배(이게다 임요환 덕분이다배) 서바이버 와일드카드전 결승전! [149] SKY925352 06/11/21 5352 0
27348 현실은 언제나 냉정하다..(사랑과 우정사이..) [7] 영혼을위한술4477 06/11/21 4477 0
27347 몸은 편하고 마음은 힘든 수험생.. [29] 미라클신화3996 06/11/21 3996 0
27346 종족의 역류- 테란같은 저그, 토스 같은 테란, 저그 같은 토스 [12] 체념토스4318 06/11/21 4318 0
27345 [잡담]음악인 이승환에 관해서 [34] 북극곰4625 06/11/21 4625 0
27343 제 3회 슈퍼파이트 마재윤 vs 이윤열 데이터 정리 [16] 골든마우스!!5481 06/11/21 5481 0
27342 무비스(이게다 임요환 덕분이다)배 서바이버 와일드카드전 시작되었습니다! [509] SKY925908 06/11/21 5908 0
27339 [팬픽]AB형인 그녀의 특이한 애정표현요구 [6] Lunatic Love5000 06/11/21 5000 0
27338 광우병. 미국산 쇠고기. 과연? [16] 제로스의꿈4085 06/11/21 4085 0
27337 제3회 슈퍼파이트 맵대진이 결정되었군요. [53] 황제의 재림6747 06/11/21 6747 0
27335 차기 리그 시드자 소개 - (前) 곰TV 10th MSL [9] KuTaR조군4231 06/11/21 4231 0
27333 옵저빙의 차이 [37] Coolsoto5721 06/11/21 5721 0
27332 새로운 개인리그 게임방식 [14] 아유3986 06/11/21 398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