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1/08 02:44:54
Name loadingangels
Subject 선수들의 몸값에 대해...
선수들의 몸값이 높다..

그 기준은 무엇 일까요?

이 pgr에서 는 선수들 몸값얘기가 나오면 자신을 기준으로 하거나 변호사 의사 분들을 빗대는 경우가 참 많습니다..

이제 모 인턴 긑내고 자리잡을려하면 30대 초반은되야되니 부터 시작해서 말이죠..

20대 초반에 그 액수를 누가 만져보냐? ..

연봉 500받기 쉬운지 아느냐?..

그런데 제 생각엔 그 기준 설정이 잘못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이제 이스포츠 선수들은 예전의 자체팀이 아닌 기업의 후광을 받고 뛰고잇습니다..

기업의 후광을 받고 등장하는 선수들  원채 서민의 기준을 넘어서는것이 하루 이틀이 아니였거늘...말이죠..

쉽게 설명하죠..

내 주변엔 찾을래야 좀처럼 찾아볼수 없는 억대 연봉자는

스포츠 신문에 허구한날  날라다닙니다...

박찬호 선수의 뿌리는 공 하나의 가격이 자동차 가격입니다...

한기주 선수는 19살의 나이로 계약금만 10억을 타냅니다...

대체 미셸위는 1억의 위대함을 알수나 있을까요?

삼성의 간부중 심정수 선수보다 연봉이 높은 간부가 과연 몇이나 있을까요?

순수 연봉만 7억5천이죠...

스포츠 스타들에게 억대라는건 대단하다 보다 그저 평균정도일 뿐입니다..  

스포츠 스타 뿐만 아니죠....

20대 초반의 여배우는 기업 광고의 모델료만 6개월 단발 15억 정도 한다고 합니다..

기간은 6개월 이지만 촬영은 하루.....

정말 하루의 노력으로 억 억 떨어 집니다...

밑에 글을 보니..homy님이 1년에 고작 20경기 하는 선수에게 2억이라는 돈은  큰 돈이라 하셨지만...

2억을 받는 선수 임요환 이윤열 선수는  그 마마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임요환 선수의 영향력 이라는건 솔직히 저는 2억 이상이라고 봅니다....

그로인해 오리온이 생기기도 했고 sk 탄생의 주역 입니다...

sk같은 대기업

지금은 어려워 졌지만 그래도 이스포츠판에서 굴직한 기업 팬택...

이런 대기업 팀들이 있어서 이 판도 이렇케 커진것 아니겠습니까?....

이런 선수들은 단순히 1년에 몇경기 라는 단순한 개념이 아니라..

가치로써 증명하는것 이겠지요...


아마도 이런 현상은 이스포츠와 팬들이 어려울때부터 같이 자라서 그런지

갑작스런 선수들의 환경변화에 팬들은 익숙하지 않아서 이겠지만요..







ps)프로리그 주 5일제에 반대합니다..

지금이 pgr poll 게시판 뿐 만 이 아니더라도 싸이트 마다 압도적으로 개인리그쪽을 대중이 손을 들어주고 잇습니다..

분명 프로리그 탄생으로 인해 김정민 해설 말대로 여러 사람 살리기도 했고

많은 프로게이머 지망생 들에게 꿈을 주었구요..

(개인리그만 이었다면..선수들 입장에서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극심했을 것이고..
요즘 청소년들의 인기직종 1위가 프로게이머 라던데..현재 개인리그만 있다면 그 하겠다는 놈 짐 싸들고 다니면서 말렸을 껍니다..)

뿐만아니라   프로리그는 정말 이스포츠의 가장 큰 선물 이었죠..........

그런데 왜 프로리그가 적이 되나요...

분명 둘은 공존 해야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GrandBleU
06/11/08 09:03
수정 아이콘
헉 오타가... 연봉500 받기는 쉽죠 ... 5000이 어려울뿐 ^^;;
06/11/08 09:16
수정 아이콘
예로드신 야구나 골프 그리고 CF모델료등은 이미 대중화가 된것들입니다. 솔직히 아직은 매니아층에 편중되 있는 현재의 스타판과 이것들을 비교한다는건 무리가 있지 싶네요.

스타관련 방송의 시청율은 아직까진 너무 안습인 수준이라....
못된놈
06/11/08 16:11
수정 아이콘
근데 스타가 바둑보다는 시청률 더 잘나오죠..?
06/11/08 16:27
수정 아이콘
바둑은 연봉이 아니라 상금 아닌가요?
loadingangels
06/11/08 17:41
수정 아이콘
어.../예...
그래서 당연히 야구나 cf모델료 보다는 프로 게이머 선수들의 연봉이 적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6908 듀얼 예선 대진표 떴네요~~ [62] 하이5759 06/11/09 5759 0
26907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서른두번째 이야기> [11] 창이♡3299 06/11/09 3299 0
26906 프로리고 주 5일시행 결정 관련 잡다한 생각 끄적끄적..... [3] OPMAN4151 06/11/09 4151 0
26905 [Kmc의 험악한 시청] 2006/11/08 [2] Ntka4694 06/11/09 4694 0
26903 개인리그가 홀로 생존할 수 있는가?(프로리그 확대를 막을 수는 없다.) [33] 홍승식4926 06/11/09 4926 0
26902 스타리그 3-4위전에 대한 생각.. [8] bianca3807 06/11/09 3807 0
26900 프로리그 확대에 대한 반박. [11] Coolsoto3695 06/11/09 3695 0
26899 [기록정리]심심해서 써본(?) 결승전을 보는 또다른 재미.... [8] 오우거4463 06/11/09 4463 0
26898 프로리그 최악의 시나리오 [4] 귀족4043 06/11/09 4043 0
26897 정수영 감독님이 대체 뭘 그렇게 잘못한 건가?? [59] 김광훈6319 06/11/09 6319 0
26896 스코틀랜드에 다녀왔습니다 ^^ [11] 라비앙로즈3996 06/11/09 3996 0
26894 이참에 공군 팀도 창단해서 프로리그 참여했으면 좋겠습니다. [47] 다주거써4074 06/11/09 4074 0
26892 그들만의 학교 [12] hoho9na3948 06/11/09 3948 0
26890 [잡담] 대가가 너무 큽니다. [10] Go_TheMarine4068 06/11/09 4068 0
26889 [sylent의 B급통계] 이윤열 vs 박정석 @ <슈퍼파이트 2nd> [22] sylent5367 06/11/09 5367 0
26887 "Bohemian"으로 돌아온 "박기영" ^^ [19] iloveus4333 06/11/09 4333 0
26885 공군현역 방송경기 출전 무지 환영합니다... [6] 이즈미르3655 06/11/08 3655 0
26884 어린 목동 소년의 위대한 전설 [24] KIB4105 06/11/08 4105 0
26883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서른한번째 이야기> [7] 창이♡4284 06/11/08 4284 0
26882 임요환이라는 이름의 파워에 혀를 내두를 수 밖에 없군요. [44] 김호철7265 06/11/08 7265 0
26881 웃기다고 할지 모릅니다만. [13] My name is J4008 06/11/08 4008 0
26880 이제 여섯시간 뒤, 아시아 클럽챔피언이 결정됩니다. [25] EndLEss_MAy4403 06/11/08 4403 0
26879 LSC(여성부 스타리그) Final 4 1주차 - 엇갈린 명암. [10] BuyLoanFeelBride4363 06/11/08 436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