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4/14 10:38:08
Name 철판닭갈비
Link #1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340
Subject [일반] 국힘 "유연근무제 활용한 주 4.5일제 추진…주 52시간 폐지"
국민의힘에서 주4.5일제를 '적극' 추진하겠다는 소리를 다 하고..세상이 변하고 있긴 한가 보네요. 하지만 기존에 제가 알던(=바라던..) 주4~4.5일제와는 좀 다르네요...
이재명도 지난 2월 국회 교섭단체 연설 시 주4일제를 추진할 것으로 천명한만큼 대선공약에 들어갈 것으로 보이는데, 그동안 민주당이나 이재명이 주장했던건 근로시간 감소+급여 유지 였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오늘 권영세 비대위원장이 말한 것은 울산 중구청 사례를 소개하면서, 4일간 8시간+1시간 일하고 금요일 오전 4시간만 일하고 퇴근하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노동시간은 줄이고 급여는 그대로 받는 민주당안은 비현실적이고 포퓰리즘적이라며 깨알같이 비판했네요.
그.러.나. 주52시간제를 폐지한다고도 합니다. 권 위원장 설명은, 그간 윤통이나 국힘에서 주장했던 내용과 다르지 않네요. 소위 말하는 유연근로가 필요한 직종에 주52시간제가 족쇄가 되기 때문에 자율화하자는거죠. 뭔가 직장인표는 얻고 싶고, 그렇다고 친기업적인 성향은 못 버리는 느낌을 받는건 저뿐인지...
유연근로 얘기하면서 포괄임금제 얘기 못하는게 비현실적이고 포퓰리즘적 아닌지 싶네요. 민주당은 포괄임금제 개선 지난 대선에도 공약에 있었고 이번에도 이재명 발언 보면 들어갈 것으로 보이는데, 30대 근로노동자 입장에서 민주당을 지지할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친중이니 친일이니 뭐 페미니 뭐니...내 인생에 제일 영향 끼치는게 근로인데요ㅠ
아무튼 국힘도 주4.5일제를 적극 추진하려고 하고 이재명도 주4.5일제 시행 이후 주4일제로 전환을 내세운 만큼 이번 대선에서 화두가 되어서 실제 이뤄지기를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14 10:44
수정 아이콘
법이야 만들면 그만이지만 대기업같은곳이 아닌 현장에서 지켜질지
철판닭갈비
25/04/14 10:48
수정 아이콘
주5일제가 도입과정에서 엄청난 진통을 겪었지만 막상 시행되니 안착된 것처럼 정부에서 의지를 갖고 시행하면 정착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25/04/14 10:49
수정 아이콘
솔직히 기대하진 않지만 잘 됐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모로
철판닭갈비
25/04/14 10:50
수정 아이콘
저도 진심으로 기대중이에요...제발!!
25/04/14 10:47
수정 아이콘
4일제, 4.5일제 현실이 가능할까요 제조업이나 교육업같은 특수케이스는 너무 요원한 일 같아요.
저는 차라리 하루 7시간 근무로 바뀌었음 좋겠네요
5시 퇴근만해도 애들 씻기고 먹이는데 훨씬 수월하던데......
복직하고 눈 딱 감고 1시간정도 육아기단축근무 하고있는데 너무 눈치보이네요 흐흐

하루 7시간으로 노동시간 줄이는건 기업입장에서도 내부 업무 효율화 추진하면 충분히 생산성 하락을 최소화하면서 달성 가능 할 것 같은데 어떻게 안될지..

5시 퇴근 '해줘'ㅜㅜ
철판닭갈비
25/04/14 10:49
수정 아이콘
오 말씀하신 방법도 좋아보입니다
진짜 1시간만 일찍 퇴근해도 삶의 질이 확연히 달라지죠
우리나라 사람들 너무 오래 일해요ㅠㅠ
25/04/14 10:57
수정 아이콘
1시간만 일찍 퇴근해도 아이들이랑 1시간 30분을 놀아줄 수 있더라구요.. 체력도 확실히 세이브 되고요. 누가 공약으로 좀 내줬으면..
츠라빈스카야
25/04/14 11:25
수정 아이콘
미국식으로 점심시간 없이 9 to 5 막 이러기.....라거나...
Pelicans
25/04/14 15:13
수정 아이콘
저희는 제조업인데 출근시간 8시 20분으로 조정하고 쉬는시간 줄이고 해서 5시 20분 퇴근으로 조정했어요
XX쇼 해서 40분 줄인거긴 한데 그것만으로도 집 도착 시간이 2시간이 줄어드는 기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저녁이 있는 삶 그자체에요
25/04/14 15:29
수정 아이콘
어우 부럽습니다

제조업은 기계 돌아가는 시간이 매출로 이어져서 10분 줄이기도 쉽진 않으셨을텐데 임직원분들이 많은 노력을 한 결과겠지요. 축하드립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5/04/14 17:12
수정 아이콘
쉬는 시간도 줄였으니까 기계 도는 시간이 막 엄청 줄거나 하진 않았을...
raindraw
25/04/15 08:19
수정 아이콘
이것도 좋네요. 기존에는 퇴근하고 밥먹고 이것 저것 하고 나면 자유시간이 1시간 남던 사람에게는 1시간 빨리 퇴근하면 그게 2배가 될 수도 있으니까요. 주 4일제건 뭐건 간에 남는 시간이 늘어나는 방향이면 좋겠습니다.
25/04/14 10:48
수정 아이콘
여가부폐지 같은 소리로 들립니다
cruithne
25/04/14 10:49
수정 아이콘
52시간 폐지가 목적이겠죠
덴드로븀
25/04/14 10:49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81160?sid=100
[권영세 "주 4.5일제 대선공약으로…법정 근로시간은 유지"] 2025.04.14.
<울산 중구청의 '금요일 오후 휴무' 제도를 소개하며>
직원들은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하루 8시간 기본 근무 시간 외에 한 시간씩 더 일하고 금요일에는 4시간만 근무한 뒤 퇴근하는 방식이다.
총 근무시간이 줄지 않기 때문에 급여에도 변동이 없다.

<초과근무수당 발생 기준>
• 연장수당 : 1일 8시간을 초과하거나 1주 40시간을 초과
• 야간수당 : 밤 10시부터 오전 6시
• 휴일수당 : 주휴일, 노동절, 법정공휴일 또는 약정 휴일
서흔(書痕)
25/04/14 10:53
수정 아이콘
조삼모사 덜덜
마카롱
25/04/14 10:56
수정 아이콘
기업 자율화. 유머인가요?
류지나
25/04/14 10:58
수정 아이콘
근무 시간을 안 줄이는 4.5일제는 솔직히 조삼모사로만 들립니다.
25/04/14 11:01
수정 아이콘
민주당에서 얘기할 때는 눈속임 불량정책이라고 하더니 본인들은 대선공약으로 적극 추진한다고 하네요.
로즈엘
25/04/14 11:15
수정 아이콘
근무시간이 동일한데 워라밸 개선이 되는게 가능한가.
그리움 그 뒤
25/04/14 11:19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저는 시대를 선도해나가고 있군요.
오전 근무시간 9시30분~12시 30분
점심시간 12시30분~2시
오후 근무시간 2시~5시 30분
- 1일 6시간 30분 근무
자영업이고, 제가 사장이니까 근무시간 제 맘대로(물론 직원들도 같은 시간 근무)
게다가 직원들 주중 하루 쉬고. 토요일 오전 3시간 근무. 직원들 주 29시간 근무.
직원들이 퇴사를 안합니다.
시무룩
25/04/14 11:22
수정 아이콘
출퇴근 왕복 4시간씩 하는 분들은 금요일에 4시간 일하러 출퇴근 시간을 4시간 써야하는거네요 크크
어차피 다 같이 저런식으로 출퇴근 하게 되면 금요일에 일찍 퇴근 한다고 퇴근 시간이 줄지도 않을꺼고
은행이나 관공서도 똑같이 퇴근할테니 업무를 볼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오히려 월화수목 퇴근 후 시간 꽉꽉 채워서 알차게 쓰는 분들은 여유 시간 한 시간 줄어들어서 스케줄 망가지고
이게 메리트가 있나요?
매번같은
25/04/14 11:36
수정 아이콘
뒤에 조건으로 제시한 52시간제 폐지에 더 눈이 가네요 크크.
그리고 지들이 대선에서 지고 다음 정권이 들어섰을 때 그 때 여당이 추진하는 4.5일 근무제 입법화에 동의를 해줄지는 의문. 이런저런 핑계를 대고 안하겠죠. 52시간 폐지부터 하자!!!라고 말할듯. 빠져나갈 구멍은 항상 마련해 놓는
쵸젠뇽밍
25/04/14 11:43
수정 아이콘
전 주 4일제도 반대하기 때문에 조삼모사를 하든말든에 가깝네요.

주 4일제를 할 거였다면 진작에 시행되어서 지금 하고 있었어야합니다. 일자리를 나누는 역할도 있으니까요. 만약 10여년 전부터 주4일제를 해왔다면, 이제 주 5일제를 논의하기 시작해야하는 시기였다고 봅니다. 지금부터 논의해서 몇 년 뒤부터 시행하는 정도로.

너무 때 늦은 정책이예요.
WalkingDead
25/04/14 11:45
수정 아이콘
국힘의 평소 스탠스를 보면 도저히 믿을 수가 없네요. 막말로 대선 승리해도 안 지키면 그만이라.
철판닭갈비
25/04/14 12:37
수정 아이콘
민주당이 금투세 시행하려고 하니까 반서민적이라면서 까더니,
금투세 폐지하고 상법개정하려고 하니까 반기업적이라고 까던거 생각나네요...
다람쥐룰루
25/04/14 11:57
수정 아이콘
기업 마음대로 하라는 공약을 내고 노동자들이 찍어주길 바라는것도 웃기네요 4.5라고 제목만 달아놓으면 내용도 안보고 찍어줄거라 생각하는건지
25/04/14 12:15
수정 아이콘
저도 주4일 보단 일일 근로시간을 줄이면 좋겠습니다.
표팔이
25/04/14 13:03
수정 아이콘
김동연지사가 시작하던 일이긴 한데... 과연 실효성은? 저는 경기도 4.5일제도 이상한소리라고 생각하는 입장이라...
https://www.yna.co.kr/view/AKR20250318145200061?input=1195m
피아칼라이
25/04/14 14:35
수정 아이콘
앞쪽 얘긴 어차피 해줄 생각도 없을거고 저 발언의 목적은 52시간 폐지죠.

4.5일은 무슨 얼어죽을 4.5일인가요 말장난이죠.
Lina Inverse
25/04/14 14:35
수정 아이콘
주5일제가 좋습니다 양당은 제발 그대로 내비두길... 지금도 임시공휴제 남발로 거의 주4일제 하고있는 느낌인데
가이브러시
25/04/14 16:40
수정 아이콘
99994요? 그거 지금도 하고 있는건데..
DownTeamisDown
25/04/14 16:48
수정 아이콘
하고싶은말은 52시간 폐지일겁니다.
볼것도 없어요
거기에 포괄도 안빼고...
닉네임을바꾸다
25/04/14 17: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미 대법에서 일 8시간 무력화하셔서 1주에서만(40시간+연장12시간) 타임오버 안되고 수당은 제대로 지급하면 현재도 뭐 안되진 않죠...현행에서 1일 21.5시간도 이젠 합법이라 주 52시간안에만 맞추기만하면...
여기에 주52시간도 없에면 120시간도 쌉가능이란 소리죠 낄낄...윤모씨는 아크로비스타에서 보시고 흐뭇하실듯...그래 그거다라면서...
Jedi Woon
25/04/14 18:05
수정 아이콘
딱 조삼모사네요.
속내는 중국의 996 근무제를 한국에도 부활시키고 싶은 걸지도요
푸르미르
25/04/14 18:16
수정 아이콘
중소기업인은 9 to 6도 사치라 와닿지가 않네요..
뿌엉이
25/04/14 18:29
수정 아이콘
그냥 말장난 이네요 한시간씩 더 일하고 그것 만큼 일찍 퇴근하는게 의미가 있나?
솜니움
25/04/14 18:30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575784?sid=102

그 와중에 보복부는 전공의 근무시간을 주당 80시간에서 72시간으로 무려 8시간이나 줄여주겠다고 하니
성은이 하해와 같습니다. 올해 말에 다들 눈물 흘리면서 수련 들어설 듯요 크크

전세기는 잘 챙기고 계시려나...
SkyClouD
+ 25/04/16 02:13
수정 아이콘
다 때려치고 급여에서 수당부분 정리하고 포괄근무제 폐지, 시간급여로 철저하게 계산해서 주게 하면 싫어도 근로시간 줄어들겁니다.

야근이 필요한 곳이 있고, 아닌곳이 있는데 일괄로 규제하는것도 웃기고, 되도 않는데 포괄임금으로 붙여서 야근 막 부려먹는것도 웃기고, 근로시간이나 규정 제대로 지키지도 못하던 시절에 붙인 주휴수당을 아직도 개선 안하는 것도 웃기죠. 기본급으로 넘겨서 싹 정리하고 좀 다 정상화했으면 좋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211448
공지 [일반] [공지]2025년 대선을 앞두고 선거게시판을 오픈합니다. [3] jjohny=쿠마 25/04/04 999
공지 [일반] 선게에 단축키가 부여되었습니다. ( 8 키) [9] jjohny=쿠마 22/01/11 34993
6507 [일반] 드럼통에 들어간 나경원 [8] 어강됴리696 25/04/15 696
6506 [일반] 오늘 오후 안철수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충격과 공포의 영상 [13] 매번같은1210 25/04/15 1210
6505 [일반] 한덕수 권한대행이 대선판에 뛰어들까요? [45] a-ha3797 25/04/15 3797
6504 [일반] 이번 조기대선 TV 토론회에는 최소 4명의 후보가 출연을 합니다. [19] 매번같은3324 25/04/15 3324
6503 [일반] 리얼미터, 한덕수 첫 3위 등장 [53] 빼사스5682 25/04/14 5682
6502 [일반] 국힘 "유연근무제 활용한 주 4.5일제 추진…주 52시간 폐지" [39] 철판닭갈비3742 25/04/14 3742
6501 [일반] 3자대결에서 이준석 후보의 지지율이 15%에 육박했습니다. [105] 퍼그8079 25/04/13 8079
6500 [일반] 국민의힘 양향자 "호남표 가져올 것" 대선출마 [10] Davi4ever2665 25/04/13 2665
6499 [일반] 오늘자 안철수의 대선공약들.jpg [53] 호옹이 나오3390 25/04/13 3390
6498 [일반] 유승민 대선경선 불출마 "국민의힘, 반성과 변화의 길 거부" [8] Croove2162 25/04/13 2162
6497 [일반] 선거게시판 페이지당 작성제한 완화 공지 jjohny=쿠마456 25/04/13 456
6496 [일반] 오세훈, 대선 불출마…"비정상의 정상화 위해 백의종군" (+다른 후보들 반응) [40] Davi4ever5487 25/04/12 5487
6495 [일반] 트럼프를 꿈꾸는 윤석열 전 대통령 (안구주의) [58] 빼사스5917 25/04/11 5917
6494 [일반] 이재명 대선 출마 선언 영상 및 기자회견 / 한동훈, 나경원도 출마 선언 [37] Davi4ever4171 25/04/11 4171
6493 [일반] 오늘 발표된 뉴스핌-미디어리서치 여론조사 결과 [68] a-ha8649 25/04/10 8649
6492 [일반] 김문수 캠프 윤곽.. 김재원, 민경욱, 차명진, 박수영, 인요한 등 [27] 퍼그5087 25/04/10 5087
6491 [일반] 3년전 용산 대통령실 이전 [92] Rio9918 25/04/09 9918
6489 [일반] 이재명, 문재인 정부 탈원전 정책 공신 정재훈 영입 [49] 퍼그7366 25/04/08 7366
6488 [일반] 1987년에 경의를! [17] kimera3294 25/04/08 3294
6487 [일반] [속보] 제21대 대통령 선거, 6월3일 확정 [14] 유머3791 25/04/08 37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